•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서부의 문수신앙과 西夏 오대산의 개창 (The Belief of Manjuśri Bodhisattva in Western China and the Emulation of Mt. Wutai in Tangut)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7.12
31P 미리보기
중국서부의 문수신앙과 西夏 오대산의 개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토학회
    · 수록지 정보 :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28호 / 41 ~ 71페이지
    · 저자명 : 계미향

    초록

    본고는 당(唐)대부터 유행했던 오대산 문수보살신앙이 중국 서북부인 돈황과 위구르, 서하국(西夏國)에서는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서술되었다.
    실크로드의 거점 도시인 돈황 막고굴에는 토번의 돈황 지배기에 여러 문수변(文殊變)이 조성되었다. 이어 오대(五代)에는 막고굴 제61굴에 대형의 오대산전도(五台山全圖)가 조성되어 돈황인들의 오대산 신앙의 중심지가 되었다. 제61굴에는 문수보살상도 조성되었기에 그곳을 달리 문수당(文殊堂)이라고도 하였다.
    한편 북경 인근의 만리장성 거룡관에는 위구르인들의 오대산 신앙을 엿볼 수 있는 기록이 남아 있어 그에 대해서도 간략히 살펴보았다. 이어 11세기에 건국된 서하국에서도 오대산 문수신앙이 크게 유행하였다.
    그러나 서하인들은 송(宋)과의 정치적인 이유로 산서성 오대산 순례가 불가능했기에, 서하왕실은 오대산 순례를 희망하는 중국 서북부 지역 불자들의 요청으로, 영주(靈州) 하란산(賀蘭山) 백초곡에 오대산신앙을 이식하였다.
    서하국의 오대산 신앙이 우리에게 더욱 뜻 깊은 이유는 하란산 문수신앙의 발원지가 바로 신라의 천축구법승 무루(無漏)의 수행지였기 때문이다. 안사(安史)의 난(755년)으로 영주에서 등극한 당 숙종은 하란산 백초곡에서 수행하던 무루를 현몽하고, 그를 어렵게 모셔와 불공삼장과 함께 행재소(行在所)에서는 물론, 장안의 황궁에서도 구국 기도를 이끌게 하였다.
    그로부터 약 300년 후 같은 지역에서 건국한 서하왕실에서는 무루가 수행하던 하란산을 오대산으로 상정하고, 그가 수행하던 백초곡에 문수보살을 주존으로 모신 여러 사찰을 창건하여 서하인들의 신앙의 중심지로 삼았던 것이다.
    또한 그들은 무루의 소상을 모신 영주(靈州) 하원(下院)의 굉불탑(宏佛塔)도 크게 보수하였다. 서하왕실의 이런 노력은 이미 한국과 일본에 이식되어 있던 오대산신앙을 모범으로 삼아 자신들의 신앙처를 마련한 결과이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belief of Manjuśri Bodhisattva begun from Dang dynasty that how it was flourished and developed in Tunhuang, Uigur and Xixià[西夏國]. At the time which was under the rule of Turfan some altar portrait of Manjuśri Bodhisattva[文殊變] was enshrined in Mogao Caves[莫高窟]. At the time of Wu Dai[五代] a large complete map of Mt. Wutai was established in the sixty first cave of Mogao of Tunhuang which was a base of Silk road culture and also a foundation of Manjuśri belief of Wutai mountain by Tunhuang residents. The sixty one cavern of Mogao was also called by Manjuśri-hall since a statue of Manjuśri Bodhisattva was enshrined. On the other hand it is found a record of Mt. Wutai belief by Uigur people in the Hall of Jù-lóng[居庸關] of the Great Wall near Peiking of China .
    The empire of Xixià established in 11st century the Manjuśri belief of Mt. Wutai was also flourished but the Xixià people could not pilgrimize Mt. Wutai of Shanxi province at that time for diplomatic problem with Sòng dynasty of China. So the royal family of Xixià by the demand of northwest Buddhist of China wishing pilgrimize on Mt. Wutai had emulated the belief of Mt. Wutai in the valley of Mt. Hèlán of Língzhōu.
    The examine of Mt. Wutai belief in Xixià is attractive for this writer that the source of the belief on Manjuśri Bodhisattva in Mt. Hèlán was a site of practicing asceticism by Muru[無漏], a Buddhist pilgrim of Silla for ancient India. At the time of the An Lushan Rebellion in 755 A.D. emperor Sùzōng[肅宗] ascended the throne from a feudal lord who experienced a master Muru appeared in his dream who practiced asceticism in the valley of Mt. Hèlán of Língzhōu. The emperor invited the master Muru and the master Bùkōng[不空] to lead the religious rite for national salvation in the imperial palace of Chángān[長安] and also in the place of honored visit by emperor.
    After three hundred years the royal family of Xixià designated Mt. Hèlán as a second Mt. Wutai of Língzhōu and constructed some temples that enshrined Manjuśri Bodhisattva in the valley of Mt. Hèlán where the Master Muru still practiced asceticism that made the place as a foundation of Mt. Wutai belief on Manjuśri Bodhisattva by Tangut people. The Tangut people repaired Great Buddhist Stupa of Xiàyuàn[下院], Língzhōu that had enshrined statue of the master, Muru in the past. All of Buddhist devote of royal family of Xixià comes from an establishment of religious base of their own that emulated the belief of Mt. Wutai which copied the belief of Manjuśri Bodhisattva in Mt. Wutai in China that was flourished in Korea and Japan provi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