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내산 예배의 신학적 의미(출 24: 9-11) (The Worship at Mount Sinai and it's theological Interpretation(Exodus 24:9-11))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6.06
27P 미리보기
시내산 예배의 신학적 의미(출 24: 9-11)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논단 / 84권 / 223 ~ 249페이지
    · 저자명 : 한동구

    초록

    출 24장 9-11절에서는 시내산에서의 예배의 광경을 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예배의 신학적 의미를 탐구하는 데 있다. 출 24장 9-11절의 신학적 의미를 정확히 밝히기 위해서는 본문의 전승사적 위치를 먼저 검토해야 한다. 그 후 본문의 신학적 의미를 정밀히 검토한다.
    시내산에서의 예배는 호렙산에서는 제사를 드리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새로운 것이며, 이를 넘어서고 있는 것이다. 포로기에 성전을 잃어버린 이스라엘 민족에게 다시금 예배에 대한 희망을 불러일으키며, 동시에 하나님께 드리는 예배의 신학을 새로이 천명한다.
    현 본문의 저자는 예배의 재건을 위해 전통적으로 하나님의 거처로 이해된 시내산을 선택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그는 포로기의 다양한 신학적 성찰에 근거한다: 신명기 사가의 호렙산 전통, 에스겔의 성전에 대한 성찰 그리고 야뷔스트의 '찾아오시는 하나님'에 대한 신학적 성찰. 현 본문의 저자가 호렙산 전통에 머물러 있지 않고, 시내산에서의 예배를 주장한 것은 예배는 역사의 모든 순간에 반복되어야 하며, 동시에 일상에서도 드려져야만 했기 때문이다.
    시내산에서의 예배는 원초적 예배이며, 동시에 일상에서 항상 반복되는 예배의 모형으로 불가피 했다. 시내산에서의 예배, 일상에서 드리는 모든 예배의 모형으로, 특별한 신학적 의미를 갖는다. 첫째, 예배에서는 땅과 하늘이 하나가 되어, 예배하는 자로 하여금 하나님의 체험을 가능하게 한다. 일상에서 예배하는 자는 땅에 속하나, 예배를 드리는 동안 하늘에도 속하게 되어, 하나님 체험이 일어나게 된다. 둘째, 시내산에서의 예배는 바벨론의 존귀하고, 찬란한 예배보다도 더 영화로운 예배였음을 상기시킨다. 이는 하나님께 예배하는 자는 세상을 초월하며, 세상의 영화를 넘어 설 수 있음을 가르쳐 준다. 셋째, 예배를 통하여 하나님과 영적으로 교통하며, 이러한 기쁨을 누릴 수 있음을 전한다.
    따라서 현 본문의 저자는 예배드리는 자에게 세상에 속하나, 세상과 구별되는 거룩한 예배를 강조한다. 이는 그들이 세상에 속하나, 세상을 넘어섬이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출 24장 9-11절에서는 전체적으로 '이스라엘 백성이 출애굽 하여 시내산에 체류하는 동안, (천상) 성전에서 장엄하게 드려졌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는 호렙산이 이스라엘 민족의 기원점인 것과 같이, 본문의 중심적 의도는 시내산에서의 예배는 이스라엘 예배의 모형을 제시하는데 있다고 보아야 한다. 다시 말하여 시내산에서의 예배는 파괴된 예배를 복원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말함과 동시에 시온산에 다시 건립된 제 2성전에서의 예배의 모형을 제시하는데 있다고 보아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출 24장 9-11절은 포로기적 상황을 극복하는 것이 목적이었다고 보아야 한다.

    영어초록

    Exodus 24:9-11 describes the scene of the worship at Mount Sinai. This study explores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of this worship. In order to clarify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of Exodus 24:9-11 accurately, one must first review the tradition-historical position of the present biblical text. Thereafter,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of the present text shall be thoroughly reviewed.
    Given the fact that no worship had been being held at Mount Horeb, this worship at Mount Sinai is new and exceeding. It entertains a hope for the Israelites, who lost their sanctuary in the captive period, to worship again, and, at the same time, newly proclaims a theology of worship for God.
    The author of the text selects Mount Sinai, traditionally understood as the dwelling of God, for rebuilding worship. For such purposes, the author relies on various theological reflections of the captive period: Traditions of Mount Horeb as described by the Deuteronomist, Ezekiel's reflections on sanctuary, and the Yahwist's theological reflections on 'God who visits'. The author asserts worship at Mount Sinai, instead of merely maintaining the traditions of Mount Horeb, because worship must be repeated at all times in history, while being held in daily lives of the Israelites at the same time.
    The worship at Mount Sinai was elemental, and, at the same time, inevitably a model of the worship being repeated in daily lives. The worship at Mount Sinai, as a model of all worship held in daily lives, has special theological significance. First, the earth and the heavens become one in the worship, and such worship enables a worshipper to experience God. The worshipper, who worships in one's daily lives, belongs to the earth, but gets to belong to the heavens as one worships and experiences God. Second, the worship at Mount Sinai reminds that it was more glorious a worship than that of Babylon, which was noble and brilliant. It teaches that a worshipper of God transcends this world and its honors. Third, it conveys that one can communicate with God spiritually through worship and celebrate such joy.
    Therefore, the author of the text emphasizes holy worship distinguished from the world, for worshippers who belong to the world. It enables those, who belong to the world, to transcends the world.
    Exodus 24:9-11 shows that, 'as the Israelites, in their exodus, stayed at Mount Sinai, the worship was solemnly held in sanctuary (of the heavens)'. This provides that, just as Mount Horeb was the beginning point of the Israelites, the central intent of the text is to render the worship at Mount Sinai as a model of the Israelite worship. In other word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the worship at Mount Sinai speaks to the appropriateness of restoring broken worship, and, at the same time, proposes a model worship at the second sanctuary rebuilt at Mount Zion. Given such purposes, Exodus 24:9-11 shall be understood to be aimed towards overcoming the circumstances of the captive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