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여 부소산성 출토 토기 명문의 판독과 해석 (Decipherment and Interpretation on Earthenware Relics Unearthed from Busosanseong Fortres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21.06
28P 미리보기
부여 부소산성 출토 토기 명문의 판독과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목간학회
    · 수록지 정보 : 木簡과 文字 / 26호 / 167 ~ 194페이지
    · 저자명 : 이병호

    초록

    부여 시가지 북쪽에 위치한 扶蘇山城은 백제 사비기의 왕실이나 국가의 중요한 시설이 밀집된 곳이다. 2020년 12월 공개된 ‘을사년’이 새겨진 토기는 부소산성 내부의 북문지에서 가까운 현재의 궁녀사 주변에서 출토되었다. 이 글에서는 ‘을사년’명 토기의 판독과 해석, 명문의 기재 의미와 성격 등을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을사년’명 토기의 명문 판독과 해석을 시도하였다. ‘을사년’이 새겨진 토기의 명문은 토기가 건조장으로 이동하기 전에 陶工이 직접 쓴 것으로, “乙巳年三月十五日牟尸山菊作 ”으로 판독된다. 그중 ‘을사년 3월 15일’은 제작시기로 645년 3월 15일에 해당하며, ‘牟尸山’은 馬尸山(郡), 오늘날 충남 예산 덕산면에 소재하는 토기 공방을 가리키고, ‘菊’은 토기를 제작한 공인의 이름이며, ‘ ’은 대형 항아리 자체를 가리키는 백제의 器名에 해당하는 용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해당 토기의 명문을 기재한 의도한 그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백제에서는 ‘ ’자처럼 ‘瓦’변에 특정한 한자를 조합시켜 토기의 器名을 가리키는 용례가 다수 존재하며, 특히 능산리사지의 대형 항아리에는 ‘을사년’과 유사한 명문이 확인되어 비교된다. 이처럼 대형 항아리에 명문을 기재한 것은 지방 특산물인 토기를 현물로 납부하면서 그 내용을 적은 付札에 해당한다. 이는 백제에서도 각지의 특산물을 현물로 貢納하는 ‘調’가 존재했음을 알려주며, 일본의 牛頸(우시쿠비)窯跡群에서 유사한 刻書土器가 출토되어 두 지역의 영향 관계를 시사한다.
    한편 ‘을사년’명 토기와 함께 출토된 ‘北舍’명 토기는 적어도 3종류 이상의 器種에 비슷한 모양의 도장이 날인된 것이 확인된다. ‘北舍’의 명문 자체가 가진 의미나 출토 유적들의 성격을 종합해 볼 때 ‘북사’는 부소산성 내부에 있었던 왕실이나 중앙행정기관의 官署를 가리키는 용어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백제 사비기 부소산성 내부의 物流 시스템은 지방에서 특산물로 공납한 토기와 관영공방에서 생산한 토기를 함께 공급받아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Busosanseong Fortress, situated north of downtown Buyeo, contains many sites of important facilities that were either the property of the government or the royal family of the Sabi Baekje Period. Earthenware objects inscribed with the Chinese characters “乙巳年” (pronounced ‘Eulsanyeon’, meaning ‘Year of Eulsa’) were discovered near the quarters of Gungnyeosa Shrine, which is close to the North Gate site inside Busosanseong Fortress, and disclosed to the public in December 2020.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haracters inscribed on these relics along with their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Chapter 2 of this paper presents an attempt to interpret the characters inscribed on the relics in question. The characters were handwritten on the relics by a potter before moving them to the drying place. They indicate that the vessel (large-sized jar: ) was made by a potter (named 菊, pronounced guk) in Mosisan (present day Deoksan-myeon, Yesan-gun, Chungnam-do) on March 15, 645.
    Chapter 3 attempts to ascertain the meaning of the Chinese characters. There are cases in which Chinese characters were combined (e.g. “瓦” was combined with “長” to make “ ”) to indicate the name of an earthenware object during the Baekje Period. It can be seen that a large-sized jar found at the site of an ancient temple in Neungsan-ri is inscribed with characters indicating the “Year of Eulsa”, as is the case with the relics discussed in this paper. The inscription incised on the surface of a large-sized jar is equivalent to a tag attached to a special local product such as pottery to provide related information when it was presented to the central government as a tax. The practice of presenting special local goods to the central government (called 調, pronounced jo) during the Baekje Period has its parallel in the pottery kiln sites at Ushikubi(牛頸), Japan, pointing to a connection between the two regions.
    Meanwhile, at least three types of earthenware objects inscribed with the characters “北舍” (pronounced buksa), unearthed together with those inscribed with the characters “乙巳年”, have been found to date. Researchers assume that the characters “北舍” refer to either the royal family or a central government office of Sabi Baekje. Judging from these characters, the officials in charge of logistics at Busosanseong Fortress appear to have used both earthenware vessels presented in provinces and objects produced at a workshop run by the central government during the Sabi Baekje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木簡과 文字”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