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무산(제천시)의 식물다양성과 식생 (Vascular Plant Diversity and Vegetation of Samusan Mt. in Jecheon-si, Korean Peninsula)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9 최종저작일 2018.08
23P 미리보기
사무산(제천시)의 식물다양성과 식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자원식물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31권 / 4호 / 396 ~ 418페이지
    · 저자명 : 김중현, 김진석, 남기흠, 정은희, 이경의, 항요섭

    초록

    본 연구는 사무산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을 조사하였다. 2014년 6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총 9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관속식물은 108과 306속 424종 8아종 48변종4품종 1교잡종으로 총 50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종다양성이 높은 과는 국화과(70분류군), 화본과(52분류군), 장미과(30 분류군), 콩과(28분류군), 사초과(20분류군)이었다. 한반도 고유종은 10분류군이며,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적색목록식물은14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Ⅴ등급 5 분류군, Ⅳ등급 11분류군, Ⅲ등급 14분류군, Ⅱ등급 10분류군,Ⅰ등급 21분류군으로 총 61분류군이 관찰되었다. 외래식물은43분류군으로 귀화율 8.6%, 도시화지수 13.4%로 나타났다. 삼림식생은 소나무림과 굴참나무림, 상수리나무림, 신갈나무림, 느티나무림, 아까시나무림으로 대별된다. 삼림의 수직구조는안정적이며, DBH-Class 분석 결과는 교목층의 우점종이 한동안 유지될 것으로 나타났다. 사무산은 식물종다양성이 높고 고유종, 희귀식물, 호석회성식물 등 주요 식물들이 다수 분포하며, 식물지리학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함에도, 인위적인 교란과 훼손에 대한 어떠한 보호조치도 없기 때문에생물자원이 지속적으로 소실되고 있다. 따라서 산림식생 보전을 위한 대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and the vegetation of Samusan mountain on Jecheon-si, located in the middle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vascular plants which were collected in 9 times from June 2014 to October 2015 were identified as 502 taxa in total, including 102 families, 314 genera, 445 species, 6 subspecies, 49 varieties, 1 form and 1 hybrid. The largest families were as follows; Asteraceae (70 taxa), Poaceae (52 taxa), Rosaceae (30 taxa), Fabaceae (28 taxa), and Cyperaceae (20 taxa). Of them, Korean endemic plants numbered 10 taxa, and vascular plants listed in the red data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numbered 14 taxa.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61 taxa in total. Among them, 5 taxa revealed the floristic grade Ⅴ, 11 for floristic grade Ⅳ, 14 for floristic grade Ⅲ, 10 for floristic grade Ⅱ, and 21 for floristic grade Ⅰ. The alien plants were identified as 43 taxa and the percentage of naturalized index (NI) was 8.6%, and urbanization index (UI) was 13.4%, respectively.
    Samples of the forest vegetation on the Samusan Mt. were mainly classified as Pinus densiflora, Quercus variabilis, Q.
    acutissima, Q. mongolica, Zelkova serrata and Robinia pseudoacacia forest. The vertical structures of the forest were stable and the DBH-Class analyses showed that the dominant tree species would be maintained. In the surveyed areas, high plant diversity was shown, and a number of endemic, rare, calcicole plants and phytogeographically important plants were found.
    Nonetheless, numerous and diverse biological resources native have been consistently disturbed or damaged by human activities without some form of protection. Therefore, it is needed to set up strategies for conservation forest vegetation in this study area.
    Abstract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and the vegetation of Samusan mountain on Jecheon-si, located in the middle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vascular plants which were collected in 9 times from June 2014 to October 2015 were identified as 502 taxa in total, including 102 families, 314 genera, 445 species, 6 subspecies, 49 varieties, 1 form and 1 hybrid. The largest families were as follows; Asteraceae (70 taxa), Poaceae (52 taxa), Rosaceae (30 taxa), Fabaceae (28 taxa), and Cyperaceae (20 taxa). Of them, Korean endemic plants numbered 10 taxa, and vascular plants listed in the red data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numbered 14 taxa.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61 taxa in total. Among them, 5 taxa revealed the floristic grade Ⅴ, 11 for floristic grade Ⅳ, 14 for floristic grade Ⅲ, 10 for floristic grade Ⅱ, and 21 for floristic grade Ⅰ. The alien plants were identified as 43 taxa and the percentage of naturalized index (NI) was 8.6%, and urbanization index (UI) was 13.4%, respectively.
    Samples of the forest vegetation on the Samusan Mt. were mainly classified as Pinus densiflora, Quercus variabilis, Q.
    acutissima, Q. mongolica, Zelkova serrata and Robinia pseudoacacia forest. The vertical structures of the forest were stable and the DBH-Class analyses showed that the dominant tree species would be maintained. In the surveyed areas, high plant diversity was shown, and a number of endemic, rare, calcicole plants and phytogeographically important plants were found.
    Nonetheless, numerous and diverse biological resources native have been consistently disturbed or damaged by human activities without some form of protection. Therefore, it is needed to set up strategies for conservation forest vegetation in this study area.
    Key words - Korean endemic plants, Physiognomy, Vascular plants, Vege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자원식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