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설악산 권역 사찰과 관련한 시문의 감상 (Impression of the poems related to the temples in the district of Mt. Seorak)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5.12
30P 미리보기
설악산 권역 사찰과 관련한 시문의 감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각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각사상 / 24호 / 79 ~ 108페이지
    · 저자명 : 임연태

    초록

    한국문학에서 설악산은 어떤 위치를 보이고 있는가? 설악산 권역의 사찰들은 또 어떤 인연으로 문학과 만나고 있는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작업에서 이 논고는 출발했다. 물론 문학이라는 범위 속에서 그 시간적 범위를 고려 말에서 조선 말기까지로 한정 했고, 설악산 권역의 사찰이라는 전제 속에서는 내설악과 외설악의 사찰을 중심으로 다루었다.
    먼저 글의 서문에서는 설악산에 대한 인문 지리적 개설을 살피고 설악산 관련 시문은 금강산의 그것에 비해 수적으로 적을 뿐 아니라, 연구 사례도 그리 많지 않은 상황이지만 근래 이에 대한 관심의 폭이 확대되고 있음을 설명했다. 이어 논고의 본론에서는 설악산 관련 시문을 시문의 소재에 따라 일곱 개의 테마를 설정하여 관련 시를 예시하고 창작자들의 시작(詩作) 동기와 시적 감흥 그리고 사상적 배경을 더듬어 보았다. 이 논고를 위해 70여 편의 한시를 수집하여 30여 편을 인용했다.
    ① 선비, 시로 산승과 교류하다 : 정치권력의 중심이자 사상과 문학 등을 주도하던 유학의 선비들과 설악산의 산승들이 시를 통해 서로의 정신과 일상을 교류하였음을 들며, 그 시의 내용이 격의 없는 소통의 일면을 보이고 있음을 살폈다.
    ② 멀리서 설악산을 보며 읊다 : 조선의 선비들이 설악산 인근을 지나며 산의 자태를 시로 읊은 사례들을 들면서 그 속에 세속적인 욕망을 초탈하려는 도가적 의지와 김시습이 설악산 오세암에서 출가한 사실과 관련한 소회를 기탄없이 드러내고 있음을 보았다.
    ③ 봉정, 그 덕의 높이를 찬탄하다 : 설악산 정상 대청봉 아래 위치한 유서 깊은 사찰 봉정암에 대한 시인들의 감회는 그 절이 갖는 역사적 종교적 의의와 걸맞게 매우 숭엄한 내용으로 일관되고 있음을 설명했다.
    ④ 오세암, 시대의 아픔을 아로새기다 : 매월당 김시습의 출가 사찰인 오세암에 대한 시는 대체적으로 시대에 대한 저항의식과 자유를 향한 인간 의지의 표출을 다루고 있다.
    ⑤ 영시암, 떠난 화살처럼 돌아오지 않다 : 내설악 영시암을 창건한 김창흡의 삶과 그가 은둔 생활에서 시로 남긴 설악산에 대한 심회와 소박한 삶의 편린들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김창흡이 내설악에 은둔한 것을 계기로 설악산이 조선 후기 지식인들의 관심에 보다 밀접했으며, 그로부터 설악산에 대한 시와 기행문 등이 다양하게 창작되었음을 분석했다.
    ⑥ 설악의 정경 시로 거듭나다 : 설악산의 자연이 빚어내는 경관은 이루 말 할 수 없을 정도다. 폭포와 기암괴석 그리고 역사유적에 대한 지식인들의 탐방이 잦아지고 그 탐방의 감회를 쓴 시들도 다수 창작되었다. 작가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대개 설악산의 명승지를 소재로 쓴 시들은 ‘무상’과 ‘신선의 세계에 대한 동경’ 등으로 그 주제가 정리되고 있다.
    ⑦ 외설악, 신흥사에서 새로움을 읽다 : 신흥사를 답사한 시인들의 감회가 잘 드러난 시편들은 신흥사의 역사 인문학적 정통이 세봇의 삶과 덜어진 것이 아니라는 것을 간파하고 있다. 그래서 승속이 따로 격리된 것도 아니고 절과 마을의 경계가 뚜렷한 것도 아니어서 유서 깊은 산사를 방문하는 지식인들이 흥을 돋우는 풍경 속의 산사를 그려내고 있음을 살폈다.
    이상과 같이 테마별로 설악산과 사찰에 관련된 시편들을 살핌으로써 대체적으로 호방한 시들이 설악산을 배경으로 창작되었으며 그것은 은둔의 산으로서의 이미지를 갖지만 오히려 그 운둔이 현실의 도피가 아니라 보다 자유롭고 적극적인 삶을 갈망하는 지식인들의 노력이라는 점을 도출하였다.

    영어초록

    Which state Mt. Seorak has in the Korean literature? In what sort of Karmas the temples at the district of Mt. Seorak meet with literatures? In the work to find out the answer to such questions, this writing started. Of course, I limited for the time range from the end of Goryeo to the end of Joseon in the bounds of literature. I dealt with the temples in the district of Mt. Seorak focusing on the temples of Internal Seorak and External Seorak.
    At first, in the preface, I looked over geographical factors of Mt. Seorak. Although the poems and research cases related to Mt. Seorak were fewer than the ones of Mt. Geumgang, the concerns are getting expanded theses days.
    And also, in the main body of this writing, I set seven subjects according to poem sources of Mt. Seorak. I showed some related examples to look over the motivation of poets to write poems, poetic impressions, and those ideological backgrounds.
    For this writing, I collected about 70 Chinese poems and quoted some 30.
    ① A scholar, Interchanging poems with a mountain monk.
    ② Making a poem as looking at Mt. Seorak in a long distance.
    ③ Bongjeong, Praising the height of its virtue.
    ④ Ose hermitage, Remembering the pain of time.
    ⑤ Yeongsi Hermitage, Never coming back like an arrow.
    ⑥ Rebirth as the landscape poem of Seorak.
    ⑦ Outside of Seorak, Reading a new at Shinheung Temple.
    I looked over the poems related to temples and Mt. Seorak by dividing into 7 subjects like above. I came to a conclusion that most of unrestrained poems were created in the background of Mt. Seorak. Although it has the image of the secluded mountain, it is not the escape from reality. It can be said as the effort of literatis who wished to have more liberal and positive l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각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