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범일(梵日)의 오대산 주석과 영향 관계 검토 (A Review on Beomil(梵日)’s Mt. Odaesan Residence and Influencial Relationship)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4.02
26P 미리보기
범일(梵日)의 오대산 주석과 영향 관계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109호 / 325 ~ 350페이지
    · 저자명 : 염중섭

    초록

    범일의 전기를 전하는 『조당집』의 「범일전」에는 범일이 명주도독의 초청으로 강릉의 굴산사로 옮겨온 후로는 줄곧 굴산사에 주석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범일을 계승한 제자 개청의 비문에는 개청이 범일을 찾아갔을 때, 그가 오대산에 머물고 있었음이 확인된다.
    또 15세기 자료인 『임영지』 <범일>에는 범일이 오대산에서 태어나 오대산에서 입적했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즉 범일과 오대산의 관계는 범일의 생존 시부터 조선 전기까지 계속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본고는 범일과 오대산의 관계를 중심으로 주변 상황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먼저 범일의 사굴산문이 영동(嶺東)으로 확대되고, 이후 영서(嶺西)로 영향권으로 둔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또 <개청비문>을 검토하여 범일이 오대산에 머문 시기가 864-867년 무렵임을 밝혔다. 또 선불교 교화 시기에 신라 안에서의 선불교 인식을 범일을 중심으로 검토했다.
    그리고 범일에게는 앞선 세대의 고승인 자장의 영향이 존재한다는 점과, 자장계 불교를 통합하려는 노력이 강하게 작용한다는 점을 드러냈다. 이는 강릉을 중심으로 하는 명주불교를 주도해야 했던(州師: 명주의 스승) 범일로서는 당연한 행보라고 하겠다. 이로 인해 오대산과 관련해서는 개청 외에도 신의와 신경이라는 초기 범일계를 주도한 승려들이 나타나는 모습이 나타나게 된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Beomiljeon> in Jodangjip, which conveys Beomil’s biography, Beomil was invited by Myeongju Dodok to move to Gulsansa Temple in in Gangneung and resided ever since. However, the epitaph of Gaecheong, the disciple who succeeded Bumil, confirms that he was staying at Mt. Odaesan when GaeChoeng visited Bumil.
    Also, according to <Beomil> in 『Imyeongji』, chronicles of Imyeong of 15th century. Beomil was born and passed away in Mt. Odaesan. In other words, the relationship between Beomil and Mt. Odaesan continued from the time of Beomil’s life until the early Joseon Dynasty.
    This paper seeks to review the surrounding situatio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omil and Mt. Odaesan. Through this, it confirms that Beomil’s Sagulsanmun was first expanded to the Yeongdong, and later to the Yeongseo. In addition, from the review on Gaecheong epitaph, it reveals that Beomil stayed in Mt. Odaesan between 864 and 867. Furthermore, it examines the perception of Zen Buddhism in Silla during the Seon Buddhism reformation period, focusing on Beomil.
    It also reveals that Beomil was influenced by Jajang, a prominent monk of the previous generation, and that there was a strong effort to integrate the Buddhism of Jajang lineage. This can be said to be a natural move for Beomil, who had to lead Myeongju Buddhism centered in Gangneung as a Jusa (teacher) of Myeongju. This, in relation to Mt. Odaesan, results in the emergence of the monks who led the early Beomil lineage including Shinui and Shingyeong in addition to Gaeche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