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 사비 도성 내 부소산성의 위상 (On the Status of Busosanseong Fortress of Sabi, the Walled Capital of Baekje)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2.05
27P 미리보기
백제 사비 도성 내 부소산성의 위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백제학회
    · 수록지 정보 : 백제학보 / 40호 / 35 ~ 61페이지
    · 저자명 : 이병호

    초록

    이 글은 문헌사료와 발굴 성과를 분석하여 백제 사비기 부소산성이 차지하는 도성 내의 위상이나 성격을 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Ⅱ장에서는 「翰苑」 백제전에서 인용한 「括地志」에 등장하는 百濟 王城 관련 기사를 부소산성에 관한 발굴 조사 내용과 비교해 보았다. 「괄지지」라는 중국의 역사책은 7세기대 백제의 사정을 반영한 사료적 가치가 높은 책으로, ‘백제 왕성’의 규모나 ‘北面한다’는 기사는 부소산성의 현상과 부합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돌을 쌓아 만들었다’는 기사는 부소산성 성벽이 土築이므로 오류라 할 수 있지만 당시 중국인의 인식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결코 간과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Ⅲ장에서는 부소산성의 初築 시기와 내부에서 발견된 불교 관련 자료들을 검토하여 사비 도성 내 부소산성의 위상을 검토해 보았다. 부소산성 동문지 일대에서 발견된 ‘大通’명 문자자료는 이 성곽이 538년 이전에 축조되기 시작한 사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또 내부 사자루와 군창지 일대에서 발견된 佛像이나 佛頭, 光背, 각종 기와류 등은 부소산성이 불교적인 聖所로서 중요시되었음을 잘 보여준다. 부소산성은 단순한 逃避城이나 後苑이 아니라 국가적인 의례 시설과 각종 중앙행정관서, 불교 사원 등이 배치된 백제 사비기 왕성으로서 의 위상을 가지고 있다. 사비기 백제의 왕궁은 부소산성과 그 아래 별도의 평지성 등 2개소의 왕궁이 공존하는 형태로 운영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increase our understanding of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Busosanseong Fortress as a planned part of Sabi, the fortified capital city of Baekje in the Sabi period (538-660), based on the accounts contained in historical records and the findings of archaeological excavations. Chapter II compares the record on the fortified royal palace of Baekje contained in Comprehensive Land Records (Kuodi Zhi) and Garden of Academia (Hanyuan) with the archaeological discoveries made at the BusosanseongFortress site. According to the Chinese history book, Kuodi Zhi, which provides an accurate depiction of the then situation of the fortress and also contains a valuable record about Baekje in the seventh century, including the size of the kingdom’s fortified palace, the fortress “faced northward”. The assertion that the fortification was built by “piling up stones” is, however, incorrect because Busosanseong is actually an earthen-walled fortification. This record may be justifiable, however, it can’t be overlooked in that it reflects the knowledge of Baekje shared by Chinese historians of that time. In Chapter III, the discussion focuses on the status of Busosanseong Fortress as an integral part of the capital city of Baekje during the Sabi period based on ancient records about its initial construction and Buddhist artifacts discovered inside the fortress. The textual record containing the inscription “Daetong” (大通) discovered near the east gate site of Busosanseong Fortress shows that construction of the fortress began sometime before 538. Archaeologists have also found Buddhist statuettes, a Buddha’s head and halo, and a variety of roof tiles at the sites of Sajaru Pavilion and Gunchangji, all of which suggests that the fortress was also a Buddhist sanctuary. In conclusion, Busosanseong Fortress was neither a place of shelter in times of emergency nor the rear garden of a royalpalace, but rather a fortified royal palace of Sabi Baekje comprising government offices, religious structures used for state rites, and Buddhist temples. It also appears to have been connected with another fortification below Busosanseong Fortress, making it one of two fortifications that formed the royal palace of Baekje in the Sabi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