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三國・統一新羅時期의 無等山과 光州 (Mudeungsan Mountain and Gwangju during the Three Kingdoms and the Unified Silla Periods)

7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1.06
78P 미리보기
三國・統一新羅時期의 無等山과 光州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호남학 / 69호 / 1 ~ 78페이지
    · 저자명 : 변동명

    초록

    삼국에서 통일신라에 이르는 사이의 무등산을 광주 지역사회와 연관시켜 검토하였다. 광주의 역사적 흐름에 비춰 무등산을 조망함으로써, 이 산과 관련된 사람들의 지난날을 훑어보며 그 면모의 일부나마 드러내는 것을 겨냥하였다. 먼저 無等山의 名號를 광주의 고을 명칭과 연결지어 다룸으로써 이 산을 광주 지역사회와의 관련 속에서 이해하는 발판을 마련한 다음, 이어서 無等山信仰과 無等山歌 그리고 開仙寺址 石燈을 소재로 삼아 주로 통일신라시기의 무등산 내지는 그로써 표상되는 광주 지역사회의 움직임을 더듬어 헤아렸다.
    無等山은 늦어도 통일신라 이래 武珍岳이라 불렸다. 무등산이라는 명호가 등장한 것은 고려시기에 들어서였다. 무진악과 무등산은 同語의 異表記로 간주하는 게 보통이다. 그 독음과 의미를 두고는 견해가 대립하는데, ‘무돌뫼’ 혹은 ‘무들뫼’로 달리 읽으면서 각각 ‘무리지어 모인 돌[石]의 산’ 혹은 ‘물[水]이 있는 들녘의 산’으로 풀이한다. 그런데 ‘武’의 일본어 독음인 ‘다케(たけ)’에서 ‘독’[石]이 연상된다. ‘武珍岳’을 ‘독돌뫼’로 읽고 그 의미를 ‘石石山’으로 새기면, 동일어를 중첩해 복수형을 표시한 것으로 이해하여 ‘돌들로 이루어진 산’이라는 풀이가 가능하다. 산마루의 장대한 암석군이 돋보이는 이 산의 명호로서 제격이거니와, 그러한 무진악이 景德王의 漢化政策과 고려왕조의 성립이라는 변화를 거치면서 武等岳(山)을 거쳐 無等山으로 정착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광주의 옛 이름으로는 武珍州가 대표적이다. 무진악에서 유래하였거니와 아마도 백제에서는 武珍郡이었던 듯싶은데, 통일신라에 들어 무진주가 성립하면서 고을의 주된 명호로 자리를 잡았다. 광주의 다른 옛 이름인 奴只는 냇물이 흐르는 들녘을 연상시킨다. 광주의 옛 이름들이 무등산 및 그 앞의 들녘에서 유래한 바, 그곳을 터전으로 삼아 온 지역민의 삶을 표상한다는 점에서 자못 함축적이다. 아울러 고을의 주된 명호가 무진주라는 점에서 무진악 곧 무등산이 광주 지역사회를 상징하는 존재임을 확인할 수가 있기도 하다.
    무등산신앙은 광주 일원에서 전해오는 민간의 풍속으로서, 무등산을 주재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산신을 숭배하는 전통 관습이다. 광주의 유력한 토착세력을 상징하는 전통시기의 정치적이며 사회・문화적인 습속이었는데, 통일신라에서는 그러한 무등산신앙을 小祀에 편제하여 중앙의 규제를 받도록 정하였다. 왕경을 중심으로 일원적인 통치체제를 정비하는 일환이었는데, 광주의 토착세력은 신라 중앙의 그러한 정책에 꽤나 협조적이었다. ‘무진고성’(무등산고성)의 축조라든지 그 결과 탄생한 무등산가에 함축된 광주 지역사회의 동향에서 헤아릴 수가 있었다. 신라의 백제 병합으로 신라 중앙과 접촉을 시작한 이래, 광주의 토착 유력계층은 중앙귀족에게 협조하는 타협의 길을 걸었다. 중앙귀족과의 연계를 발판으로 삼아 광주를 이끄는 전통적인 유력 사회계층으로서의 위치를 다지며, 나아가 노령 이남에서 토착세력을 대표하는 위상을 확보하고 또 지켜나가고자 하는 게 통일신라시기 광주 지역사회의 선택이었다. 이후 9세기 前半에 이르도록 광주 지역사회의 그러한 방침은 대체로 일관되고 유효하게 작동하였다. 무등산신앙과 무등산가를 더듬어 광주 지역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무등산의 존재 의미를 되짚었거니와, 이 산이 광주나 다름없는 상징적 존재임을 거듭 확인할 수가 있었다.
    9세기 말엽 광주에 甄萱의 後百濟가 들어섰다. 신라 중앙과 타협하고 중앙귀족에게 협조하던 지역 토착세력이, 기왕의 고식적인 방책을 버리고 왕경 경주의 통제에서 벗어나 독자세력으로 자립하였다. 무등산 開仙寺址 石燈의 銘文에는 그처럼 이제까지와 다른 길을 선택하기에 이른 광주 지역사회의 분위기가 담겨 전한다. 진성여왕 5년(891) 10월 무렵 새겨진 石燈記에 의하면, 開仙寺라 전하는 사찰에서 토지를 매입하는 佛事에 국왕이나 왕실은 관여하지 못하였다. 신라 중앙의 경우도 기껏해야 관여했을 가능성이 짐작되는 정도에 지나지 않았다. 당시 국왕이라든지 신라 중앙에서는 해당 佛事에 가능한 한 참여해야 할 필요가 있었으며, 더불어 그러한 중앙의 요구를 반영하고자 지역사회의 일부에서 애를 썼음에도 불구하고, 그런 수준에 그쳤다. 광주 지역사회의 분위기가 신라에 호의적이지만은 않았음을 암시한다. 아직 신라 중앙과 완전히 단절된 것은 아니었다. 그렇지만 전반적으로 反新羅的인 기운이 만연한 가운데, 저들과의 관계를 되짚으며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려는 지역 토착세력의 은밀한 준동이 있었다. 眞聖女王 6년(892) 견훤이 자립하여 스스로 왕을 칭하기에 이르기까지 광주 지역사회의 분위기는 그러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d Mudeungsan Mountain during the three kingdoms and the Unified Silla period in connection with the Gwangju community. By looking at Mudeungsan Mountain in light of the historical trend of Gwangju, it aims to reveal at least a part of the people’s past lives connected with the mountain. First of all, by connecting the name of Mudeungsan Mountain with the name of the town in Gwangju, it laid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mountain in connection with the Gwangju community. And based on the faith of Mudeungsan Mountain, Mudeungsan Song and the stone lantern at Gaeseonsa Temple site, it mainly examined Mudeungsan Mountain and the movement of the Gwangju community represented by it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Mudeungsan Mountain was called Mujinak since the Unified Silla period at the latest. It was during the Goryeo Dynasty that the name Mudeungsan appeared. It is common to regard Mujinak and Mudeungsan as the same words but written differently. There are conflicting views on the reading and meaning. Differently read as “Mudolmoe” or “Mudeulmoe”, they are interpreted as “the mountain of stones gathered in groups” or “the mountain in fields with water”, respectively. However, it reminds us of “Dok”(石) in “Dake”(たけ) which is the Japanese reading sound of “mu(武)”. If “Mujinak(武珍岳)” is read as “Dokdolmoe”, and the meaning is “doldolsan(the mountain of stone and stone)”, it is understood as a plural form by overlapping the same words, and it is possible to interpret the word “the mountain of stones”. It is a perfect name for this mountain, which stands out for its magnificent rock groups. As such Mujinak went through the changes of King Gyeongdeok's Hanwha polic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Goryeo Dynasty, and it was settled as Mudeungsan after passing through Mudeungak(Mudeungsan) and reached today.
    As the old name of Gwangju, Mujinju is representative. It originated from Mujinak, and it seems that it was probably called Mujingun in Baekje. But when Mujinju was established in the Unified Silla period, it became the main name of the town. Noji, another old name of Gwangju, reminds us of a field where a stream flows. The old names of Gwangju originated from Mudeungsan and the field in front of it, and it is implicit in that it represents the lives of local residents who had lived there.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main name of the village is Mujinju, it can be confirmed that Mujinak, or Mudeungsan Mountain, is a symbol of the Gwangju community.
    The faith in Mudeungsan Mountain is a folk custom passed down from the Gwangju area, and is a traditional custom of worshiping the mountain gods who are believed to preside over Mudeungsan Mountain. It was a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custom in the traditional period that symbolized the influential indigenous power of Gwangju. In the Unified Silla period, the faith of Mudeungsan was organized in rituals to be regula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t was part of the reorganization of a unified governing system centered on the capital, and the indigenous powers of Gwangju were quite cooperative with the policy of central Silla. It can be estimated from the construction of “Mujingoseong” (an Old Castle in Mujin, Mudeungsangoseong) and the trends in the Gwangju community contained in the Mudeungsan song. Since the start of contact with the center of Silla by Silla's annexation of Baekje, the indigenous and influential classes of Gwangju had taken a compromise path to cooperate with the central nobility. Based on the connection with the central nobility, it was the choice of the Gwangju community in the Unified Shilla period to establish its position as the traditional influential social class leading Gwangju and furthermore to maintain the status of the indigenous power in the southern region of Noryeong mountain range. Later, until the first half of the 9th century, such policy of the Gwangju community was generally consistent and effective. By looking into the faith of Mudeungsan Mountain and the Mudeungsan song, the meaning of the existence of Mudeungsan Mountain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local community of Gwangju was retraced, and it was repeatedly confirmed that this mountain is a symbolic existence that is Gwangju.
    At the end of the 9th century, Later Baekje was established in Gwangju by Gyeonhwon. Local indigenous forces that compromised with the central government of Silla and cooperated with the central aristocracy, abandoned their previous tricks, and emerged as independent forces getting out of the control of the capital Gyeongju. The record of the Stone Lantern at Gaeseonsa Temple Site in the Mudeungsan Mountain contains the atmosphere of the Gwangju community, which had taken a different path than before. According to the writings engraved on the stone lantern in the 5th year of Queen Jinseong(891) around October, neither the king nor the royal family were involved in purchasing land at a temple known as Gaesansa Temple. In the case of central Shilla, it was estimated that it was only possible to be involved in the purchase. At that time, the king or the central Silla needed to participate in the work of Buddhism as much as possible, and in spite of the efforts of some of the local communities to reflect the demands of the central government, it was limited to that level. It shows that the atmosphere of the Gwangju community was not favorable to Silla. It was not yet completely cut off from the center of Silla. However, in the midst of the anti-Silla-like atmosphere in general, it is a part where the secret movement of the local indigenous forces trying to find a new way to retrace the relationship with them is detected. In the 6th year of Queen Jinseong(892), the atmosphere of the Gwangju community was like that while Gyeonhwon became independent and called himself k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