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로를 통한 금강산 유람의 변천고찰 (A Study on Changes to the Excursion of Mt. Geumgang through the Route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0.03
34P 미리보기
경로를 통한 금강산 유람의 변천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77호 / 9 ~ 42페이지
    · 저자명 : 이영숙

    초록

    조선 시대의 유림에게 금강산 유람은 평생 한 번은 이루고 싶은 소원이었으며 누구나 원하는 일이었으나 쉽사리 이루기 힘든 일이기도 했다. 고려 시대 李穀의 「東遊記」를 시작으로 18세기까지 수십 명의 인물이 금강산을 유람하고 남긴 기록들이 이를 증명하기도 한다. 그러나 금강산은 시대가 흐르면서 조금씩 더 접근하기 쉬운 공간으로 바뀌고, 그 내에서도 예전에 보여 주지 못했던 새로운 모습들을 보여 주며, 유람도 좀 더 적극적으로 변화하여 오늘날 여행과 같은 모습으로 바뀌어 가는 것을 볼 수 있다.
    금강산으로 가는 길에 있어서 17세기 이전과 18세기를 비교한 변화에는 첫째 한양에서 금강산을 찾아가는 경로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는 점이며, 둘째는 유람기일에 대한 변화로 전체 유람 기간이 많이 길어졌으며 유람에 나선 사람들이 이전보다 압도적으로 많아졌다는 점 등 다섯 가지 정도의 변화가 나타났다.
    금강산 내에서의 변화로는 첫째 전체 유람 기간 중 금강산 내에서 머문 기간이 5~6일로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며 10일 이상 머문 사람들이 그다음을 차지할 정도로 금강산에 머물며 유람한 기간이 길어졌다는 점이다. 둘째는 17세기 이전까지 주로 유점사에서 외산의 유람을 시작했는데, 신계사가 외산 유람의 시발점과 종착점이 되었다는 점 등 네 가지 정도의 변화가 나타났다.
    삼일포, 해금강, 총석정의 유람에서 삼일포 유람은 이전에 비교해 큰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1714년 이하곤의 「東遊錄」에서 해금강이라는 명칭이 처음으로 등장하고, 삼일포 동쪽의 바다를 해금강이라 일컫게 된 점은 큰 변화이다. 또한 거리상의 이유로 많이 찾지 않았던 총석정을 더 많은 이들이 찾게 되었다는 점도 이전과는 다른 변화이다.

    영어초록

    An excursion to Mt. Geumgang was a lifetime wish for Confucian scholars in Joseon. Everyone wanted to go sightseeing to the mountain, but it was not an easy thing to do. It is demonstrated by the abundance of records left by dozens of figures in the 18th century as well as Lee Gok's Dongyugi in Goryeo after their sightseeing at the mountain. As time passed, however, the mountain became more easily accessible little by little and exhibited its new aspects that were not available before. People became more active to go sightseeing to the mountain, taking a trip like today's people.
    There were five major changes to the paths to the mountain between the 17th and 18th century including that there were few alterations to the path from Hanyang to the mountain. The overall duration of sightseeing at the mountain increased as the excursion dates changed, and the number of people that went sightseeing to the mountain made an overwhelming increase.
    There were changes in the mountain, as well: first, a stay of five to six days at the mountain during the entire excursion period recorded the highest frequency and was followed by a stay of ten days or more at the mountain, which indicates that people stayed at the mountain longer and longer for sightseeing. Secondly, they began their sightseeing for the outer parts of the mountain at the Yujeom Buddhist Temple until the 17th century. In the 18th century, the Singye Buddhist Temple became the starting and ending point of sightseeing for the outer parts of the mountain. In addition, there were two more changes in the mountain.
    The study then examined sightseeing at Samilpo, Haegeumgang, and Chongseokjeong. There were no big changes to sightseeing at Samilpo. A big change happened after Lee Ha-gon first used the name Haegeumgang for the sea east of Samilpo in his Dongyurok in 1714. Another change happened as more and more people visited Chongseokjeong, which was not popular due to long distance befo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