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退溪詩의 空間認識과 山水觀 (Spatial Awareness and Perspective on Nature in Toegye’s Poem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7.12
23P 미리보기
退溪詩의 空間認識과 山水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총 / 30호 / 7 ~ 29페이지
    · 저자명 : 손오규

    초록

    이 논문은 退溪詩에 나타난 空間 認識과 山水觀을 美學的으로 해석하고 연구하였다. 퇴계는 미학에 대해 직접적으로 언급하거나 저술을 남기지 않았다. 그러나 퇴계는 자신의 철학을 학문적으로 체계화 하여 「聖學十圖」 등을 완성하였다. 이것은 미학이 철학의 하위 영역이기 때문에 퇴계철학을 원용하여 그 이론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의 미학적 접근이란 방법론의 실효성과 근거제시가 좀 더 분명하게 되었다.
    퇴계의 공간인식은 구체적으로 자연이라는 객관적 대상이며 물리의 세계에 대한 지각과 인식을 말한다. 그리고 자연은 氣의 실현에 의한 구체적 형상을 지닌 존재적 가치를 함유하고 있다. 이 자연이 예술의 소재로 활용되어 시작품이란 예술형식으로 구체화 되었을 때 산수미를 표상하게 된다. 그래서 산수관은 예술적 대상으로 인식한 자연의 미적 위상을 의미한다.
    이런 관점에서 퇴계시의 공간인식과 산수관은 생활의 근거이자 생태적 환경인 自然을 객관적 대상으로 한다. 나아가 객관적 대상인 자연으로서의 환경에 퇴계의 주관적 인식과 가치가 결합되어 문화경관을 형성하게 되니, 大我認識의 생활공간이 천인합일의 산수관으로 발전하게 된다. 또 퇴계시에 나타난 수양실천을 위한 장소로서의 공간인식은, 구체적 작품에서 역사적 시간성이 현재적 공간성으로 전환됨으로써 稽古親賢의 실재적 산수관으로 발전하였다.
    마지막으로 퇴계시에서 노래하는 자연은 우주적 관점으로 확산되며, 인간과 대자연과의 관계 속에서 인생과 철리의 깨달음에 대한 감동을 형상화하였다. 그 결과 山水歌詠의 소재요 대상으로서의 공간인식은, 시작품이란 예술형식을 통해, 대자연의 조화와 질서에 동참(與天同和)하는 山水觀으로 승화하게 되었다.

    영어초록

    Toegye’s ideal was in learning and nature. He explained theories based on Li(rational principle, 理) and Qi(material force, 氣). His belief was closed related to ethics. He contemplated the roots of universal rules about human action as the nature’s universal rule or Li(理) can be perceived by human consciousness.
    First, the roots and universal rule of human action are the same as the universal rules of natural phenomena when all of the natural phenomena are considered as works of Qi(氣). Therefore, ethics is the ethical value conversion of the universal rule, Li(理).
    Second, the ground for Toegye’s theory of mind is universal truth by the natural philosophical observation and insight. Therefore, he perceived that the historical temporality was connected to and coexists with nowness. The nowness can be found in life of realizing nature, and this is the boundary of the oneness of God and man.
    Third, the oneness of God and man perceived realization of great cause as the best value. This can be called “beauty of ideology(理念美)” that means return to original existence, love for nature and life in seclusion. Therefore, the oneness of God and man was Toegye’s outlook on the universe and the world and love for nature.
    Fourth, restoration of ancient text(古文復古) was to restore ancient sages’ life to suggest realistic examples. At the same time, it is the source of universal cultural heritage, a part of mythic original form, and the exploration for essence of roots.
    Fifth, Toegye suggested prototype of learning in his book Seonghaksipdo(聖學十圖). The book encouraged readers to improve themselves physically and mentally by talking about ancient sages’ life that symbolizes restoration of oneness with ancient sages through ideological sublimation and internal subjectivization.
    Sixth, Toegye’s poem composition under the theme of nature was artistic activity that gave shape to his ideology with nature as mediation. He could realize his ideal of seclusion through oneness with environment, which contributed to development of imaginary art.
    Seventh, Toegye’s subjective world pioneered aesthetic boundary of humanization of nature and naturalization of human. Therefore, he sang boundary of laws of nature that participate in roots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with nature. This is the aesthetic status of the originary enlightenment that consists of perspectives on nature. Toegye’s love for nature represents the beauty of ideology(理念美) of the philosophic world that his poems about nature and the assimilation with nature describ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