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여 부소산성 신출토 명문토기 (Newly excavated earthenware with inscriptions from Buyeo Busosan Fortress)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1.06
19P 미리보기
부여 부소산성 신출토 명문토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목간학회
    · 수록지 정보 : 木簡과 文字 / 26호 / 147 ~ 165페이지
    · 저자명 : 김대영

    초록

    본고는 2020년 부소산성 재난방재시스템 구축공사 중 새롭게 확인된 명문자료를 중심으로 출토 현황과 그 편년적 위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부소산성은 1980년부터 국립문화재연구소와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하였으나 아직 城의 내부는 약 6% 정도만 조사가 진행된 상황이다.
    이번 재난방재시스템 구축 공사 중 확인된 유구에 대한 긴급발굴조사를 진행하면서 부소산성 내부 평탄지에 위치하고 있는 유구의 개략적인 정보를 알 수 있었는데, 이 중 부소산성 중앙부에서 서쪽으로 약간 편향되어 위치하는 궁녀사 남쪽 지점에서는 수많은 백제토기와 함께 문자자료가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확인된 문자자료는 ‘乙巳年三月十五日牟尸山菊作’과 ‘北舍(북사)’가 있다. ‘乙巳年三月十五日牟尸山菊作’의 명문은 초반부는 토기의 제작시기, 중반부는 만든 사람에 대한 기록, 마지막 ‘作’자의 뒤에는 제작된 토기의 기종이 적혀 있는 것으로 추론된다. 이와 유사한 명문 형태는 부여 능산리 사지 출토 토기와 익산 왕궁리 유적 출토 개배에서도 확인된다. ‘北舍’명 토기는 부여 관북리 유적, 쌍북리 유적, 금성산, 궁남지, 익산 토성 등에서 확인된 바 있는데, 토기가 출토된 유적은 공공적 성격을 가진 건물이나 중심 시설에 속하는 부속 건물로 이해되고 있다.
    백제가 사비로 천도(538년)한 이후 ‘乙巳年’은 백제 사비기에는 585년, 645년, 백제가 멸망한 뒤로는 705년이 해당된다. 토기가 출토된 궁녀사 지점은 백제시대 문화층이 2번에 걸쳐 조성되었는데, 명문토기는 이 중 上層에서 확인되었다. 함께 출토된 유물은 보주형 뚜껑과 전달린 토기의 비율이 높은 것이 특징적이다. 이와 같은 유물 구성은 관북리 유적 ‘北舍’명 토기가 출토된 건물지군의 유물 구성과 매우 흡사하다.
    관북리 유적에서 ‘北舍’명 토기가 출토된 지점은 유적의 북동쪽으로 부소산록 축대의 남쪽에 위치하는데, 건물지군은 관북리 일대가 대단위 성토(6세기 후반~7세기 초반)된 후 조성된 제2생활면에서 확인된다. 그리고 ‘北舍’명 토기가 출토된 궁남지는 무왕35년(634)에 조성되었고 백제의 익산지역 경영 역시 백제 무왕(600~641) 때 본격화 된다.
    명문토기들과 함께 공반된 토기는 백제 토기가 분명함과 동시에 출토된 정황과 토기의 편년관으로 볼 때 이들 토기자료를 백제가 멸망한지 반세기 정도 지난 8세기 이후로 편년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앞에서 살펴본 자료를 종합해 보면 명문토기에서 확인되는 ‘乙巳年’은 백제 사비기 후기인 645년에 해당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flects an examination of the current status and significance of excavation focusing on the newly identified textual data discover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disaster prevention system for Busosan Fortress in 2020. The investigation into the Busosan Fortress ruins has been conducted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and the National Buyeo Cultural Heritage Research Institute since 1980, but only about 6% of the interior of the fortress has been investigat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disaster prevention system, an emergency excavation survey was conducted to preserve and record the remains, and textual data were found along with numerous pieces of buried Potteries in the southern part of Gungnyeo Temple, located slightly west of the central Busosan Fortress.
    The identified textual data were ‘乙巳年三月十五日牟尸山菊作’, ‘北舍’ inscribed into Baekje Potteries. It is assumed that the characters ‘乙巳年三月十五日牟尸山菊作’ refer to when the Potteries was made, to what type it belonged, and by whom it was made. Inscriptions of similar structures were also found on the Potteries excavated in the ruins of Neungsan-ri, Buyeo and Wanggung-ri, Iksan.
    The ruins that contained the Potteries inscribed with ‘北舍’ are understood to be auxiliary facilities of some public buildings or central facilities. The ‘北舍’ Potteries was identified in the east drain of the building site, which was constructed at the second stage of the ruins of Gwanbuk-ri, Buyeo, located just south of the Busosan Fortress, as well as in the Iksantoseong Fortress, Ssangbuk-ri historical site, Geumseongsan Mountain, and Gungnamji.
    Since Baekje moved its capital to Sabi in 538, the ‘乙巳年’ could mean the year 585, 645, or 705. The site of Gungnyeo Temple, where the Potteries was excavated, was constructed twice by the cultural deposition layers of the Baekje period, and the inscribed Potteries was identified in the upper deposition layers. The relics excavated together are characterized by their high proportion of the cloth-shaped lid and the Potteries with handles. The composition of such relics i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building district in Guanbuk-ri site where the ‘北舍’ Potteries was excavated.
    The site of the excavation of the ‘北舍’ Potteries in the ruins of Guanbuk-ri is to the northeast of the ruins and south of the Busan Fortress’ embankment. The building district is identified by the secondary living quarters created after the large-scale expansion of the Guanbuk-ri area in the late 6th to early 7th century.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of Gungnamji (638) and the management of the Iksan area by Baekje began in earnest during King Mu’s reign (600-641).
    The Potteries excavated together with the inscribed ones is clearly of Baekje, and considering when the latter was produced, it is difficult to date these Potteries after the 8th century, about half a century after the fall of Baekje. Therefore, if you combine the data examined earlier, it is highly likely that ‘乙巳年’ inscribed on the Potteries corresponds to the year 645, which places it during the late Baekje Sabi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木簡과 文字”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