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燕行 路程의 절반, 十三山 (Shisanshan, Halfway on the Envoys’Journey to Beij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9.06
39P 미리보기
燕行 路程의 절반, 十三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古典硏究 / 38권 / 1호 / 253 ~ 291페이지
    · 저자명 : 김일환

    초록

    十三山은 현재 중국 遼寧省 石山鎭 지역으로, 압록강부터 북경에 이르는 노정의 중간 지점에 놓여 있다. ‘十三山’이라는 명칭은 驛站의 이름이면서, 동시에 이 지역에 있는 13개 가량의 산을 가리킨다. 13세기 초에 사신으로 金나라를 다녀왔던 陳澕가 시에서 언급한 이후, ‘十三山’은 명나라에서 청나라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조선 사신들이 남긴 시와 글에 등장하였다. 독특하게 ‘13’이라는 숫자로 이루어진 지명과 요동벌(요동평야)의 끝에 우뚝 솟은 지형을 두고 사신들은 몇 가지 흥미로운 관심과 반응을 보여주었다. 우선 그 지역에 흩어져 있는 크고 작은 산들의 숫자를 세어 이름의 정확성을 따지는 사람들이 있었다. 이들 중 일부는 수효가 맞지 않다며, ‘돌산’을 뜻하는 ‘石山’(shíshān)이 중국어로 발음이 비슷한 ‘十三’(shísān)으로 와전되었다는 오래된 견해를 지지하기도 했다. 3대에 걸쳐 ‘13일’에 ‘十三山’을 통과한 일이 있었는데, 그 후손들은 지속적으로 대중사행 업무를 수행한 선조들의 노고와 가문의 영광을 기억하고자 했다. 임진왜란을 겪었던 이는 10년에 3번에 걸쳐 명나라를 다녀왔다는 것으로 ‘13’을 풀어내기도 했다. 海州-牛家庄-廣寧으로 이루어진 노정으로 이동해야 했던 시기의 사신들은 遼澤이라 불린 긴 습지의 끝에 위치한 十三山 봉우리를 ‘希望峰’처럼 인식하기도 했다. 어떤 이들은 楚나라 왕과 神女가 사랑을 나누었던 ‘巫山十二峯’를 언급하면서 낭만적인 사랑을 노래했다. 이것은 외교 임무를 수행하느라 지속적으로 유예된 성생활에 대한 성적 욕망이 무의식적으로 드러난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이처럼 십삼산을 소재로 한 다양한 조선 사신들의 반응을 통해 역사 의식이나 외교라는 공적인 임무 수행의 강박에서 벗어난, 여행으로의 使行이 갖는 한 특징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영어초록

    Shisanshan(十三山) is about halfway between the Amnokgang River and Beijing, in present Shishan Zhen(石山鎭), Liaoning, China. Shisanshan is the name of the post station and indicates the 13 mountains in this area as well. From the time that Jin Hwa(陳澕) visited the Jin Dynasty as the envoy in the early 13th century and mentioned Shisanshan in his poem, ‘Shisanshan’ was continuously mentioned in writings and poems written by Korean envoys from the Ming dynasty to the Qing dynasty. The envoys recorded some curious interest in and reactions to the unique place name made of the number ‘13 (Shisan)’ and the geographical feature soaring high at the end of the Liaoning Plain. Some people discussed the accuracy of the name by counting the large and small mountains scattered in this area. Some pointed out that the number of mountains was not accurate and so ‘石山’ (shíshān), meaning the ‘stony mountain’, was misunderstood as the name ‘十三(shísān)’ because of a similar pronunciation (in Chinese). There was a family that traveled through ‘Shisanshan’ on the 13th every month for three generations. The descendants tried to remember the endeavors of their ancestors continuously visiting China for the envoys’ mission and the honor of the family. Those who experienced the Japanese invasion in 1594 interpreted the number ‘13’ as meaning the visit to the Ming Dynasty three times over 10 years. Before the late 17th century when the northward route from Liaoning to Shenyang was created, the envoys who had to follow the route from Haizhou through Ujiazhuang to Guangning recognized the peak of Shisanshan at the end of the long wetland called ‘Liaoze’ as the ‘Peak of Hope’. The envoys, completely exhausted both in body and mind, wrote poems longing for their hometowns and families which seemed to appear when they came to the peak of the mountain. Some talked about the romantic love with the ‘twelve peaks in Wushan’(巫山十二峯) with the king and the exorcist during the Chu period. Such description seems to unconsciously expose the sexual desire of sexual life suspended for a long time due to the diplomatic mission. A variety of reactions of Joseon envoys regarding the Shisanshan demonstrated the diplomatic mission as the journey of an envoy free from the historical awareness or the burden that the mission was the official du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