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제사유적과 산천제 - 월출산 유적과 부안 죽막동 유적을 중심으로 - (Ritual Sites and Ritual Ceremony in Mountains and Streams during Goryeo Dynasty: focusing on Wolchulsan Ritual Site and Jungmak-dong Ritual Site in Buan Count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6.12
32P 미리보기
고려시대 제사유적과 산천제 - 월출산 유적과 부안 죽막동 유적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연구 / 175호 / 87 ~ 118페이지
    · 저자명 : 김아네스

    초록

    이 글은 고려시대 제사유적의 고고 자료와 산천의례에 관한 문헌 기록을 바탕으로 산천제의 의례 장소, 제물과 폐백에 관하여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월출산 제사유적은 산 정상부에서 위치하였는데 여기에 神祠가 있었다. 산정은 산신이 깃든 신성한 공간으로 여겨서 신라 때부터 신사를 설치하였다. 월출산의 신사는 신라의 소사 제장을 계승한 것으로 고려 때에도 국가 제장이었다. 부안 죽막동의 제사유적은 고려시대 보안현 馬浦 신사와 연관이 있었다. 이 신사도 역시 신라의 것을 계승한 것이다. 마포 신사는 전주목의 지방관이 치제하는 고을 제장이었다. 월출산과 부안 죽막동 유적에서 수습한 고려시대 유물은 청자로 만든 제사용 그릇과 의식 용구가 대부분이었다. 국가 제장이었던 월출산 유적에서는 고려 전기 11세기~12세기에 제작한 고급의 순청자 제기와 질이 낮은 녹청자 제기가 함께 출토되었다. 국제 신사에서 국가제사를 설행하기도 하며, 일반 백성이 제사를 올리기도 하였기 때문이다. 제사 주체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제기를 사용한 결과 제사유적에서 품질이 다른 제사용 자기를 수습한 것이다. 국가 산천제의 제물로는 희생을 마련하여 혈사를 올렸다. 지방관이 주제한 고을제사에서는 지방의 사정에 따라서 제육이나 나물 등의 제물을 마련하였다. 월출산과 부안 죽막동 유적에서는 모형 말이 출토되었다. 마형 의기는 제사에서 쓴 폐백으로 공헌한 것이었다. 사료를 보면 산천제의 폐백으로 옷과 말이 있었다. 옷은 신복이었으며 말은 신승물로 봉헌되었다. 산천제에서 말 공헌이 가지는 의미는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말은 빠른 이동수단이었기 때문에 주제자의 바람을 하늘, 천신에게 빠르게 전할 매개물로 봉헌하였다. 또 다른 의미로ㅔ 군사가 있을 때 전승을 기원하기 위하여 말을 폐백으로 바쳤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ritual ceremony in mountains and streams during Goryeo Dynasty by examining the archeological finds and archives. The most noted site for ritual ceremony in mountains and streams are Wolchulsan(mountain) Ritual Site and Jungmak-dong Ritual Site in Buan County. Wolchulsan Ritual Site was situated on the mountaintop where shrine was built nearby. Wolchulsan Ritual Site, inherited from Shilla, remained as a national ritual site in Goryeo Dynasty. Jungmak-dong Ritual Site was Mapo(port) shrine in Boan-hyeon under the jurisdiction of Jeonju-mok. At this site, also inherited from Shilla, the magistrate of Jeonju-mok served as the chief presider of the ritual ceremony.
    Most of the artifacts from Goryeo Dynasty collected at Wolchulsan Ritual Site and Jungmak-dong Ritual Site are utensils for rituals made of celadon. Both high-quality pure celadon utensils for ritual and low-quality green celadon utensils made in early Goryeo era, presumably between 11th and 12th century, were discovered at Wolchulsan Ritual Site. That is because classy pure celadons were used for the national ritual ceremonies at Wolchulsan whereas low-quality celadons were for the private rituals among commoners at the same place. The host of the ritual ceremonies used different types of utensils. Therefore, artifacts of different qualities were found in the same ritual site.
    Blood sacrifice such as killing a pig was presented as offerings in national ritual ceremonies. At ritual ceremonies presided by the commander of local area, meats or vegetable were served by the host’s choice. Model horse was discovered at the ritual sites in Wolchulsan and Jungmak-dong. Horse-shape utensils were offered as sacrifice for ritual ceremonies. Offering horses to god during the ritual ceremony in mountains and streams can be construed in two ways. Due to their speedy mobility, horses considered a medium that can transfer the host’s wish to the heavenly gods. Another reason for offering was to for victory in case a war breaks out and mobilizing military is requi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