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나옹과 오대산 북대 (Master Naong and Bukdae of Odaesan Mountain- Buddhist History and Meanings of Odaesan Mountain in the Late Goryeo Dynast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0.03
27P 미리보기
나옹과 오대산 북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62권 / 33 ~ 59페이지
    · 저자명 : 황인규

    초록

    본 논문은 고려말 고승이자 삼화상인 나옹 혜근이 오대산 사찰에서 주석하고 중창한 사실에 대하여 살펴본 후, 오대산의 북대의 불교가 지니는 불교사적 의의를 검토한 연구이다.
    나옹은 전국의 지방을 유력하다가 고대 불교의 상징인 오대산의 사찰에 두 차례 머물렀다. 나옹은 출신 산문인 사굴산문의 발상지인 오대산에 머물면서 그의 스승 지공의 유지를 받들어 양주 회암사를 중심으로 흥법하기 앞서 오대산의 불교를 중흥하려고 한 듯하다.
    나옹은 현재의 미륵암인 오대산 북대에 위치한 상두암에 머물렀으며, 이 때 양평 용문산에서 머물고 있던 중국의 임제종의 고승 고담과 교유했으며, 오대산의 고운암을 중창하고 신성암에 머물렀던 승려 환암 혼수와 교유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오대산 불교 뿐만 아니라 한국 불교사에 있어서 주목할 만하다. 오대산에서 중국 임제종 고승의 선풍을 선양하고 환암이 나옹의 가르침을 받았기 때문이다. 나옹은 후에 다시 오대산 남대의 남쪽의 영감암에서 다시 머물면서 오대산 불교를 중흥시키고자 그 뜻을 다짐했던 듯하다.
    관련 사료에 의하면 나옹은 오대산 중대에서 게송을 남겼으며, 삼인봉을 바라보며 수도하였으며, 북대의 미륵암에 머물면서 그 부근의 나옹대에서 적멸보궁을 향하며 수행했다고 한다. 조선 후기에 작성되어 사료적 가치가 좀 떨어지긴 하지만, 『오대산사적기』에 의하면 나옹은 북대에 위치한 도솔암과 동대에 위치한 관음암을 중건하였다고 전하지만 확실하지 않으며 주석하였던 듯하다.
    나옹은 오대산 중대에 흐르는 옥계수를 바라보며 시를 남겼는데, 오대산의 중심인 중대에 위치한 상원사에서 불교를 흥성하고자 다짐했던 듯하다. 그의 그러한 뜻은 그의 문도들에게 계승되어 여말 선초기 오대산 불교를 중흥하게 하였다.

    영어초록

    This paper reviews the significance of Bukdae (北臺, North Dae), northern part of Odaesan Mountain after Naong Hyegeun (1320 ~ 1376) stayed at the temples in the area in the late Goryeo Dynasty.
    Master Naong stayed twice at the temples in Odaesan Mountain, a symbol of ancient Buddhism. While staying at Sangdu-am (present Mireuk-am) Hermitage located in Bukdae, the northern part of Odaesan Mountain, he was associated with Godam from the Linji School (臨濟宗) of China, and also with Hwanam Honsu who rebuilt Goun-am Hermitage and stayed at Sinseong-am Hermitage. This is remarkable not only in the Buddhist history of Odaesan, but also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Later Naong stayed at Yeonggam-am Hermitage in Namdae, the southern part of Odaesan Mountain. He seemed to have vowed to revive Buddhism in Odaesan area.
    According to the historical documents, Naong left a verse in Jungdae, center of Odaesan Mountain, and practiced facing Saminbong Peak. While staying at Sangdu-am Hermitage in Bukdae, he practiced at the nearby Naongdae, worshiping the Jeokmyeolbogung, a shrine for the Buddha's sarira. According to Odaesan Sajeokgi (五臺山事蹟記), Naong was said to have reconstructed Dosol-am in the North and Gwaneum-am in the East of the mountain, but it is not clear.
    Naong composed a poem looking at Okgyesu spring, which flows through the Jungdae (中臺), the center of Odaesan Mountain, apparently vowing to promote Buddhism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s such, Naong wanted to stay at Buddhist temples in Bukdae, such as Sangdu-am Hermitage, to promote Buddhism in Odaesan area. His will was inherited by his disciples who revived Buddhism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Dynas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