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리산 연구의 동향과 과제 - 지리산권문화연구단의 성과를 중심으로 (The Trends and Tasks of Researches on Mt. Jiri - With a focus on the achievements of Jirisan Region Cultural Research Institut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6.12
26P 미리보기
지리산 연구의 동향과 과제 - 지리산권문화연구단의 성과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도문화연구 / 31호 / 9 ~ 34페이지
    · 저자명 : 강정화

    초록

    본고는 지리산권문화연구단이 지난 9년여 동안 수행한 지리산 관련 연구 성과를 개략 적으로 정리하고 향후 추진해야 할 과제를 살펴본 것이다. 지리산권문화연구단은 2007 년에 문학ㆍ역사ㆍ철학ㆍ지리ㆍ생태 등 여러 분과의 박사급 연구자 10여 명이 지리산 연구를 위해 결성한 국내 최초이자 유일의 산악문화 연구단이다. 지리산권문화연구단에서는 그동안 지리산 관련 인문분야의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 하여, 대략 연구논문 300편, 자료총서 33권, 연구총서 11권, 번역총서 8권, 교양총서 7권, 마을총서 1권이라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산출하다. 지리산은 역사적으로 국내 여느 산에 비해 인간의 삶과 밀접하게 연계된 공간이다. 따라서 지리산권역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조선시대 지식인의 지적 활동과 관련한 자료가 풍부하게 남아 있다. 예컨대 지리산을 유람하고 남긴 유람록이나 기행시, 지리산권역 ㆍ호남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南冥學派와 蘆沙學派, 근ㆍ현대의 東學과 빨치산의 활동 등에 대해 다양한 분야의 연구 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이는 산 연구에 있어 인문분야 연구자가 없던 국내 학계에 ‘산의 인문학’ 또는 ‘산학(山學) 연구’의 학술적 토대를 구축하고, 나아가 국내 여타 산 문화 연구로의 관심을 촉진시키고 확산하는 데에 크게 기여하다. 그리고 향후 이의 지속적 연구를 위한 과제도 점검하다. 무엇보다 연구자가 이를 지속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여건이 형성되어야 하고, 나아가 지리산 연구를 수행할 새로 운 연구자를 폭넓게 확보해야 한다. 또한 지리산을 넘어 국내외 명산과의 비교 연구로까 지 나아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각 분야별 심화 연구 및 분과 간 공동연구가 절실히 요청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roughly sort the findings of Mt. Jiri research conducted by the Jirisan Region Cultural Research Institute (hereinafter “the Institute”) for the last nine years and propose its future tasks. The Institute is the nation’s first and only research institute (about mountain culture) that was formed by ten doctoral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literature, history, philosophy, geography, and ecology. The Institute was formed to conduct research on Mt. Jiri in 2007. The Institute has carried out ongoing research on humanities related to Mt. Jiri. It has achieved eye-opening results including approximately 300 research papers, 33 collections of data, 11 collections of research, eight collections of translations, seven collections of liberal arts, and one collection of villages. Mt. Jiri’s culture is more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than any other mountain in the nation’s history. These studies preserve a rich repository of materials related to the intellectual activities of intellectuals that were active around the region of the mountain during the Joseon period. There has been, for instance, active research conducted across various fields: travel journals and poems after a trip to Mt. Jiri, the Nammyeong School and the Nosa School that were active around Yeongnam and Honam within the perimeter of Mt. Jiri, and the activities of Donghak and North Korean partisans in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They established an academic foundation for “humanities of the mountains” or “research on mountain studies” in the academic circles of South Korea, where there had been no research in humanities on the mountain. This made a huge contribution to the facilitation and spread of interest in research about other mountain cultures in the nation. The present study also reviewed tasks for ongoing research for the future. It is most important that there should be conditions arranged for researchers to conduct ongoing studies. It is also critical to secure a broader scope of new researchers to conduct research on Mt. Jiri. Those efforts should extend to comparative studies between Mt. Jiri and other celebrated mountains home and abroad. This desperately calls for in-depth research in each field and joint research between different disciplin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