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곤륜산과 백두산에 관한 한국의 유선문학과 수근목간 형세론 (On the mystical images of the Kunlun Mountains in Korean fairyland expedition literature(遊仙文學) and the topographical features of Baekdu mountain system(白頭大幹) in Korean geographical history.)

6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9.02
67P 미리보기
곤륜산과 백두산에 관한 한국의 유선문학과 수근목간 형세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仙道文化 / 26권 / 161 ~ 227페이지
    · 저자명 : 이경룡

    초록

    단군신화의 태백산 이미지는 현실적인 정치적 정통론이 강하기 때문에 그에 관한 묘사는 동이족의 삼신산 신화를 비롯하여 서쪽 곤륜신화의 신선세계 또는 불교 수미산의 신화와 다르다. 따라서 태백산은 한국의 유선문학에서 크게 활용하지 않았다. 또한 한국문화의 도교와 신선사상이 속세를 초탈하고 이상향에 관한 종교적 동경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봉래산과 곤륜신화는 중요한 소재가 되었다. 한국의 유선문학은 늦어도 최치원부터 시작되었다. 고려말기와 조선시기의 유선문학에서는 삼신산과 곤륜산의 이상향을 상상하였고 이상향의 동경을 곤륜산에 기탁하였다. 이러한 이상향 동경은 고려말기부터 청학동을 찾아내어 구체화시켰다.
    백두산에 관련하여 신라말기와 고려시기의 한반도 지리학을 대표하는 것은 도선국사의 수모목간(水母木幹) 형세론이다. 이것은 송악산의 산맥이 백두산에서 내려왔고 평양 대동강과 개성 송악산의 지리적 상호보완관계를 설명한 형세론이다. 그렇지만 도선국사의 형세론은 다시 백두산에서 지리산까지 전국의 형세론으로 발전하였고 동시에 고려왕조의 덕운이 수근목간(水根木幹)이기 때문에 복색을 청색으로 바꾸어야한다고 정치적으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조선시기 성리학자들은 오덕종시설을 믿지 않았기 때문에 왕조의 덕운론을 무시하였지만, 형세론을 발전시켜서 한반도 주변의 일본열도와 바다까지 확대시켜 동북아시아의 지리를 이해하였다. 남사고는 남해바다를 비롯하여 일본열도와 류큐열도의 지리를 이해하였다. 그런데 서양의 지리학 지식이 도입된 뒤에 이익은 「만국전도」에 근거하여 도선국사의 수근목간 형세론을 버리고 남북국경지역을 이해하는 목간수근의 형세론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도선국사의 수모목간 형세론은 고려시기와 조선시기의 지리학에서 끊임없이 개선되고 발전되었다. 따라서 도선국사의 수모목간 또는 수근목간 형세론은 한국 전통적 지리학의 커다란 발명이며 창견이라고 높이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image of Taebaeksan Mountain in Dangun(檀君) mythology, because of its strong political orthodoxy, differs from that of Samshin(三神山) in the northeast asia, the supernatural being’s world in the mythology of the Kunlun Mountains, or the myth of Mt. Sumi in Buddhism. Thus, the fairyland expedition literature of Korea(遊仙文學) did not make much use of Taebaeksan Mountain. In addition, Bongrae Mountain(蓬萊山) and the Kunlun Myth have become an important subject in the process of shedding the secular world and developing a religious desire to live in an ideal world. Korea's fairyland expedition literature began with Choi Chi-won(崔致遠) at the latest. During the lat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the fairyland expedition literature has entrusted the ideal of Samsinsan and Kunlun Mountain. This idealized fairyland was discovered and embodied in Cheonghak-dong(靑鶴洞) from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In relation to Mt. Baekdu, Doseon legate(道詵國師)’s the topographical feature that interpromotes the relation of water and wood in five elements theory(水根木幹論) is a creative geographical argument that represents the geography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late Silla Dynasty and the Goryeo Dynasty. Its original theory(水母木幹) explains that the mountain range of Mt. Songak came down from Mt. Baekdu and also in the Goryeo Dynasty explains the geographical complementarity relationship between Mt. Songak in Gaeseong and the Daedong River in Pyongyang.
    The theory of Doseon legate was developed into the geographical theory of the situation of the whole country from Mt. Baekdu to Mt. Jiri. And it was politically interpreted that the fortune of the Goryeo Dynasty is equal to the relation of water and wood in five elements theory, so the color of the costume should be changed from white to blue because the blue color of the Goryeo Dynasty is wood element.
    On the basis of this, they insisted on the restoration of territory of the Goguryeo Kingdom to the Khitan and the Yeojin peoples.
    However, Neo-Confucians in the Joseon Dynasty ignored the fortune of the dynasty because they did not believe in the five elements theory, but they on the basis of Doseon legate’s theory expanded the understanding of the geography of Northeast Asia to the Korean East sea and the Japan Islands. The geographer Namsago(南師古) understood the geography of Northeast Asia including the Korean Eouthern sea, saying that both the Japanese islands and the Ryukyu Islands were extended in the Baekdu Mountains.
    After Western knowledge of geography was introduced, Lee Ik(李瀷) accepted the globe of earth and abandoned Doseon legate’s topographical feature of the Korean Peninsula. He presented the north and south national boundaries of Korea according to the Map of the World. He changed Doseon legate’s topographical feature of the interpromoting relation of water and wood in five elements theory to the topographical feature of the interpromoting order of wood and water.
    As such, the topographical feature of Doseon legate has been continually improved and developed in the geography of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Therefore, it is highly regarded that the theory of Doseon legate is a great invention and creation of traditional geography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仙道文化”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