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지용 산수시 연구 (A Study of Jung, Ji-Yong's Landscape Poetry with A Focus on His Treatment of Time-Spac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0.12
26P 미리보기
정지용 산수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돈암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돈암어문학 / 23권 / 127 ~ 152페이지
    · 저자명 : 박명옥

    초록

    지용은 일제 말 운신의 폭이 좁아졌기 때문에 새로운 시 형식을 추구하게 된다. 지용은 새로운 시 형식, 즉 우리의 고전을 빌어 와 본인이 추구하는 예술세계를 그리고자 하였다. 고전 중에 산수시를 미학적 원천으로 삼았는데 이것은 내용에 비해 형식의 제약을 덜 받기 때문이었다. 내용은 현실에 대한 직접적인 관심의 부분이기 때문에 자유롭지 못했고, 그에 비해 형식은 별 제약을 받지 않았기 때문이었던 것이다. 친일도 배일도 하지 못한 상황에 지용은 불안정한 현실 극복하고자 우리 국토를 여행하면서 현실의 시공간을 뛰어넘어 현실도 과거도 아닌 초월적 시공간을 취한다. 결국 지용은 친일과 변절을 강요당하던 일제의 압력 속에서 자신을 지키기 위해 시간과 공간을 무화시켜 산수 자연에 침잠했던 것이다. 무한히 순환하는 자연의 시간은 일차적으로 공간화의 방식으로 인식된다. 그리고 공간화된 시간은 또 다시 자연 경물을 통해 시 안에 표현된다. 시간과 융합된 공간은 ‘사실 그대로’를 넘어 ‘구성된 사실’로서 형상화 된다. 이러한 산수시의 세계는 지용에게 유토피아이다. 그러나 유토피아는 현실 어느 곳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지용은 산수자연에 파묻혀 시간과 공간을 무화시킴으로써 영원성을 추구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영어초록

    The increasingly tight surveillance over dissident literati during the final years of Japanese occupation forced Ji-Yong to seek a new form of writing poetry. His quest led to the classical canon of Korean literature in which he found a model that he wanted to use to portray the world of art. The model he discovered was landscape poetry, which he employed as a source of esthetics because it allowed him greater latitude with respect to format as opposed to content. Since the content matter had a direct relationship with reality that concerned him, there wasn’t much he could do about it; however, the new format posed little constraint. That is why he opted for it, it seems.
    Under circumstances in which he could neither accept nor reject Japan, iyong decided to overcome the unstable conditions of his time by taking a tour of his homeland. This enabled him to apply the transcendental time-space approach to his activities as a poet in a state that was neither in the past nor in the present. In a situation where he had to fend off the oppressions of imperial Japan, landscape poetry became his mode of expression as it allowed him to immerse himself in the landscapes of nature by neutralizing the effects of time and space therein. Ji-Yong saw nature’s time in perpetual motion as a mode of spatialization, as it were, and, in turn, that kind of time finds its way into his poetry via the elements of natural scenery. Space integrated with time in such a manner takes shape as a “constructed fact” above and beyond the realm of “factual reality.” For Ji-Yong landscape poetry thus constructed is a utopia, which by definition does not exist anywhere in the real world. And that is why Ji-Yong pursued something of an eternity by, again, neutralizing the effects of time-space as he remained buried in n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돈암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