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芍玉 洪鐘應의 醉石亭과 駱山詩會 -『槎橘』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wisŏkJŏng(醉石亭) of JakOk(芍玉) Hong Jong-eung(洪鐘應) and the Naksan Poetry Club(駱山詩會) -Focusing on the 『Sagyul(槎橘)』)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3.12
36P 미리보기
芍玉 洪鐘應의 醉石亭과 駱山詩會 -『槎橘』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學報 / 49권 / 65 ~ 100페이지
    · 저자명 : 진민희

    초록

    본고의 목적은 첫째, 19세기 駱山詩會의 실체를 밝히는 것이다. 그간의 연구에서는 19세기 중반 北社의 趙冕鎬·申錫愚, 南社의 徐有英·金尙鉉 등이 駱山詩社(駱社)에서 활동했음을 언급해 왔으나, 낙산시회의 실체에 대한 연구는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바가 없었다. 이에 시회의 구체적 장소와 참여 동인들의 명단을 제시하고, 그 활동 양상을 살폈다. 둘째, 낙산시회가 이뤄진 공간인 芍玉 洪鐘應(1803~1866)의 別墅, 駱山 醉石亭을 조명한다. 취석정은 북촌시사의 동인들이 즐겨 찾는 곳이었을 뿐만 아니라, 서울 北社·南社·東社의 참여 문인들이 대대적으로 교유 활동을 펼친 문화 공간이었다.
    본고의 연구방식은 『芍玉集』·『海藏集』·『玉垂集』 등 주요 참여자들의 문집과 더불어 『槎橘』이라는 자료를 교차 확인하며 낙산시회의 활동양상을 재구하였다. 『사귤』에는 낙산시회를 총 3편의 詩題로 나누어 구성했다. 「駱山韻」·「復會駱山」·「駱山雅集」이 바로 그것이다.
    홍종응의 취석정은 낙산시회 뿐만 아니라, 1860년 북사·남사의 교류 현장으로 활용되었다. 이후 1862년 남사와 북사의 합사가 이루어지고, 1863년 북사·남사·동사의 합사는 바로 취석정에서 결행되었다. 이로써 낙산 취석정 시회는 19세기 서울 내 대형 시사 모임을 주도하고 이후 시사 간의 대대적인 결합을 도모한 장소로 의미가 깊다.
    첫째, 지금까지 막연하게 예측되었던 낙산시사의 실체를 확인한 것이다. 둘째, 19세기 중반을 대표하는 문인들의 창작활동과 문예적 교유의 한 현장을 짚어낼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서울 낙산의 지역사 연구는 물론, 낙산의 지역성을 문화·문학 콘텐츠로 개발하는 사업에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rimary goal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reality of the 19th century Naksan Poetry Club. Previous studies have mentioned that Jo Myŏn-Ho(趙冕鎬)·Shin Sŏk-woo(申錫愚) of Buksa and Sŏ Yu-Yŏng(徐有英)·Kim Snag-Hyŏn(金尙鉉) of Namsa were active in the Naksan Poetry Club in the mid-19th century. But, there has been no full-scale research on the reality of Naksan Poety Club. Accordingly, the specific location, list of participating members and the activities of the Poetry Club were examined.
    The second main goal of this paper is to present these places for the first time: Villa(別墅) of JakOk Hong Jong-eung(芍玉 洪鐘應, 1803~1866) and ChuiSŏkJeong(醉石亭) in Naksan(駱山), where the Naksan Poetry Club was held. ChuiSŏkJeong was not only a favorite place for members of Bukchon poetry club, but also a cultural space where participating poets from Buksa(北社)·Namsa(南社)·Dongsa(東社) in Seoul exchanged extensively.
    This paper's research method cross-checked the anthologies such as 『Jakokjip(芍玉集)』·『Haejangjip(海藏集)』·『Oksujip(玉垂集)』 and the data called 『Sagyul(槎橘)』 to re-examin the activities of Naksan Poetry Club. In 『Sagyul(槎橘)』, Naksan Poetry Club is organized into three title: 「Naksanwoon(駱山韻)」·「BuhoiNaksan(復會駱山)」·「Naksanajip(駱山雅集)」 In 1860, Hong Jong-eung's ChuiSŏkJeong Poetry Club was used as an exchange site between Buksa and Namsa. Later, in 1862, the merger of Namsa·Buksa was established, and in 1863, the merger of Buksa·Namsa·Dongsa was established at ChuiSŏkJeong. As a result, the ChuiSŏkJeong is meaningful as a place that led large poetry gatherings in Seoul in the 19th century and later promoted a large-scale combination of poetry clubs.
    The expected eff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confirmed the reality of Naksan Poetry Club, which has been vaguely predicted so far. In particular, the need to recognize it separately from 'Dongsa' was raised. Second, it can contribute to the study of the regional history of Naksan. This study, which revealed Naksan ChuiSŏkJeong, could help the project to develop the regionality of Seoul into cultural and literary cont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