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僑窩 成涉의 散文批評 一考 -筆苑散語』를 중심으로 (A study on Gyo Wa(僑窩) Seong Seop(成涉)’s prose criticism-focused on 《Pilwonsaneo(筆苑散語)》-)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2.10
28P 미리보기
僑窩 成涉의 散文批評 一考 -筆苑散語』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근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63권 / 7 ~ 34페이지
    · 저자명 : 조정윤

    초록

    『筆苑散語』는 18세기 영남 문인 僑窩 成涉(1718~1788)이 저술한 시화서로, 우리나라 및 중국 고금의 인물과 문학에 관한 정보와 비평이 풍성하다. 본 논문은 『筆苑散語』를 중심으로 성섭의 산문비평 양상과 특징을 검토한 것이다.
    성섭은 道가 내재된 순정한 문장을 지어야 한다는 道文一致의 문학관을 지향하였고, 이러한 문학관이 잘 구현된 문장으로 唐宋文을 들었다. 젊어서는 蘇軾의 詩文을 특별히 애호하였는데, 三蘇 및 歐陽脩 문장에 대한 朱熹의 비판적 비평을 접한 뒤로는, 이전보다 더욱 철저한 道文觀을 견지하고 소식 문장에 대해서도 일부 부정적 견해를 보였다.
    또한 그는 古文辭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순정한 문장을 추구하는 韓歐正脈論의 견해를 드러냈다. 이러한 입장은 명 전후칠자 및 고문사를 추구하는 근기 남인의 문장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드러내는 한편, 서인 계열 문장가인 김창협의 문장을 이상적인 문장으로 평가하기도 하고, 문집에 수록된 산문 작품 대부분이 論, 說, 記, 序 등의 의론문 중심의 문체인 것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성섭의 산문비평은 허목 등 南人 문사에 대해 호의적인 평가를 보인다는 점에서 남인의 정체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근기 남인이 일반적으로 의고문풍의 전통 아래 문학적 변화를 추구하였던 면모와 달리 明 의고문풍을 강하게 비판하고, 주자학을 바탕으로 하여 당송고문의 문장법을 추구한 점은 도학적 학문 분위기 속 영남 남인의 일면모를 드러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 aspects of literary criticism of an Yeongnam writer, Seong Seop (成涉, 1718-1788), focused on 『Pilwonsaneo(筆苑散語)』.
    『Pilwonsaneo(筆苑散語)』 is a kind of poetry and painting book, mainly about characters, anecdotes, and literature of present and past in Korea and China.
    Seong Seop had a literary view of Domunilchi(道文一致) that one should build a pure sentence containing the Tao(道), and he chose the prose of DangSong(唐宋文) as a sentence that was well realized. Among them, he was particularly fond of poetry and prose of Sosig. However, after reading JuJa’s criticism on the sentences of So Sig(蘇軾), his father, his brother, and Gu Yangsoo, Seong Seop maintains a more thorough view on relationship between the Tao and literature and has a critical view on Sosig’s sentences.
    This view shows that although he is a Namin, he negatively perceives Gomunsa(古文辭), revealing a critical view on the sentences of a Namin in the region near Seoul who pursues Jeonhuchilja(前後七子) of the Ming and Gomunsa(古文辭). It appears to evaluate the sentences of Kim Chang-hyeop and Seoin writers who are in the position of Classical literate style of Han-yu and Gu Yang-soo(韓歐正脈論) and pursue pure and upright words as ideal sentences. The characteristic of preference for pure and upright writing of classical literate style of Han-yu and Gu Yang-Soo(韓歐正脈) is also confirmed in the prose that abstracts other people's sentences in the literature, and that most of the prose he created is centered on ideological texts such as Ron(論), Seol(說), Gi(記), and Seo(序).
    Seong Seop's critique of prose reveals the identity of Namin in the sense that he favorably evaluates words of Namin like Heo Mok. However, unlike the aspect that Namin in the region near Seoul generally pursued literary changes under the tradition of Archaism of Literature(擬古主義), he strongly criticized the Archaism of Literature(擬古主義) and pursued the art of writing of the Dangsonggomun(唐宋古文) based on the neo-Confucian in the history of prose literature. He also shows a side of Namin in Yeongnam in the confucian academic atmosphe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