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狼山의 歷史性 (Historicity of Shilla's Mt. Nangsan (狼山))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4.08
28P 미리보기
신라 狼山의 歷史性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라문화 / 44권 / 1 ~ 28페이지
    · 저자명 : 주보돈

    초록

    인간은 나약한 존재이다. 그래서 자연 현상을 두려워하고 숭배하기까지 하였다. 자연 숭배 대상의 최상위에는 하늘, 태양이 자리하였다. 그렇지만 일상의 삶과 가장 가까이에 있으면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산이었다. 산은 높았으므로 하늘과 직접 통교하는 통로라는 믿음을 갖고 있었다. 그래서 산악을 각별히 신성시하여 숭배의 대상으로 삼았다.
    신라 산악숭배도 이른 시기부터 발달하였으나 체계화된 것은 국가가 발달하면서였다. 특히 중국문화의 수용으로 산악도 크기, 거리, 영향도 등 중요도에 따라 등급이 매겨졌다. 언제부터인지는 알 수 없지만 신라도 三山과 五岳을 선정하여 제일급의 국가 제사의 대상으로 삼았다. 삼산과 오악의 구체적 대상은 신라의 정치ㆍ사회의 발전에 따라 달라졌지만 가장 중시된 것은 경주분지에 자리한 얕은 구릉인 낭산이다. 낭산은 통일 이전에 삼산의 중심이면서 동시에 오악의 中岳이기도 한 사실을 여기서 밝혔다. 산악숭배는 불교가 수용ㆍ공인ㆍ정착ㆍ확산되면서 이와 굳게 결합해져 갔다. 물론 그런 과정에서 후자가 점점 우세해져 마침내 전자는 그 하위로 포섭되어졌을 터이다.
    낭산은 신성시되기 시작한 이후 여러 차례 변모의 과정을 거쳤다. 특히 통일 이후 문무왕대에 사천왕사가 완공되어 신라 호국 도량의 본산으로 자리함에 따라 낭산의 성격도 확연히 달라졌다. 낭산 자체가 단순한 산악신앙의 범위를 뛰어넘어 불교적 세계관인 須彌山으로 인식되었다. 낭산 주변에 무덤이나 사찰 등 신앙과 연관된 기념물이 적지 않게 들어서는 것도 그와 깊이 연관되어 있는 것이다. 오늘날도 현장에서 실물로써 쉽게 확인할 수 있음은 그를 여지없이 증명해 주는 사실이다.

    영어초록

    Humans are weak existence, and therefore, they were afraid of natural phenomena and even worshiped them. The sky and the sun were placed at the top in terms of nature worship subject. However, mountains were the subject that affected human life the most, as they are located close to our daily life. People had a belief that a mountain is the passage to enter into a friendly relation with the sky, since the sky is high. For this reason, people held mountains sacred and worshiped the mountains.
    Although, mountain worship in Shilla was developed at early stage, the systematization of mountain worship began, after nation started to develop. Due to the acceptance of Chinese culture, a mountain was rated, according to its size, distance and effect. Although its is unclear since when, Shilla selected three major mountains (三山) and five major peaks (五岳), and targeted them for the first class national ancestral rites. Even though, specific subjects of the major three mountains and five major peaks differed, according to Shilla's political and social development, the most importantly regarded was Mt. Nangsan, low hill located in the Gyeongju basin. This study reveals that Mt. Nangsan was the center of three major mountains and also central peak (中岳) of the five major peaks before Unified Shilla. Mountain worship was solidly combined with Buddhism, as Buddhism was accepted, recognized, established and diffused. In such a process, Buddhism gradually became dominant, and mountain worship probably became subordinate to Buddhism. Since Mt. Nangsan began to be worshiped, the mountain went through several transformation processes. Especially, Sacheonwang Temple (四天王寺) was completed after unified Shilla, and it placed itself as the head temple of Shilla's patriotic temples, and thus, the status of Mt. Nangsan clearly became different as well. Mt. Nangsan was recognized as Mt. Sumisan (須彌山), which is the Buddhist's view of the world, beyond simple scope of faith in mountains. The reason why many monuments related with faith, such as tombs or temples surrounding Mt. Nangsan, were located is deeply associated with it. The fact that those monuments are easily confirmed at site nowadays proves such an association clear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