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금석문의 역일기록과 삭현망회 4주 월력 시간관 (The Calendar Records of Silla's Epigraphic Inscriptions and the 4-week Monthly Calendarof Sakhyeon-manghoe)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5.04
39P 미리보기
신라 금석문의 역일기록과 삭현망회 4주 월력 시간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63호 / 1 ~ 39페이지
    · 저자명 : 김일권

    초록

    이 글은 『삼국사기』 시간기록 분석의 연장선에서 신라 금석문의 역일기록 특성을 살피고, 그 과정에서 주목된 ‘삭현망회 4주 월력 시간관’을 도출한 연구이다. 역일기록이 담긴 금석문을 81종으로 선별한 뒤,(연월일 60종, 연월 11종, 연도 10종) 이를 대상으로 역일기록을 추출하면 형태상 연월일 85건과 연월 73건의 총 158건 자료로 집계된다. 연월일 자료에 대한 시기별 분포를 살피면 6C 15건, 7C 14건, 8C 17건, 9C 34건, 10C 5건으로 신라말 9C에 크게 확대된 면모이고, 이를 해당시기 역법으로 재차 살피면 선명력 사용(11건)이 가장 많아 주목된다. 다음으로 금석문에는 특정 날짜가 자주 보여 이를 모아보면, 보름날 기록이 19건으로 매우 높고, 그외 초하루 5건, 그믐날 5건, 초파일 6건이며, 특이하게 하현일도 2건으로 나온다. 이는 비문 관련 날짜가 일정한 간격을 지닌 음력 1일, 8일, 15일, 22일, 30일의 5일을 주목한 면모이고 이 날짜들이 팔관재일 관련의 불교 재일이라는 점에서 종교적 휴일의 성격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이를 갖고 당시 신라인들의 월력 시간관을 추론 모색해보면, 중국력에 의한 4주 주기(7・7・8・8)의 삭현망 월력과 범력(인도력)에 의한 4주 주기(8・7・8・7)의 현망회 월력이라는 두 종류 시간관이 도출되며, 둘다 4주 주기로 순환하는 월력 체계이되 초하루를 중시하는 중국적 월력과 그믐날을 중시하는 범력이 혼재된 양태로 분석되었다. 이 신라의 규칙적 월력 시간관이 이후 고려의 휴일 제도에 기초가 되었고, 또 조선말기까지도 흔적을 남기고 있음을 엿볼 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 study tha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calendar records in Silla's epigraphic inscriptions as an extension of the analysis of time records in the Samguk-Sagi and derives the 'Sakhyeon-manghoe 4-week monthly calendar time view' that was noted in the process. After selecting 81 types of epigraphic inscriptions containing calendar records, when calendar records are extracted from these, a total of 158 data are tallied, with 85 cases of day and 73 cases of month. The distribution of the day data by period shows a greatly expanded aspect in the late Silla 9th century. When examining this again as a calendar from the corresponding period, the use of the Seonyeong calendar is the most notable.
    Next, when we collect the records of specific dates that frequently appear in epigraphs, there are 19 records of the full moon, followed by 5 records of the first day, 5 records of the last day, 6 records of the eighth day, and, uniquely, 2 records of the halfmoon day of the month. This shows that the dates related to the epigraphs are focused on the 1st, 8th, 15th, 22nd, and 30th days of the lunar calendar, which are at regular intervals, and since these dates are Buddhist Palgwanjaeil, they are interpreted as having the nature of religious holidays. Therefore, if we try to infer the time-based lunar calendar of the Silla people, two types of time-based systems can be derived: the Sakhyeonmang lunar calendar with a 4-week cycle (7・7・8・8) according to the Chinese calendar, and the Hyeonmanghoe lunar calendar with a 4-week cycle (8・7・8・7) according to the Beomryeok (Indian calendar). Both are lunar calendar systems that circulate in 4-week cycles, but they were analyzed to be a mixed aspect of the Chinese lunar calendar that emphasizes the first day and the Beomryeok that emphasizes the last day of the month. This regular lunar calendar system of Silla later became the basis for the holiday system of Goryeo, and we can see traces of it ev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