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圓嶠 李匡師의 書藝論과 書藝審美 (The Calligraphy theory and the aesthetic of Calligraphy on Wongyo Lee KwangSa)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0.11
8P 미리보기
圓嶠 李匡師의 書藝論과 書藝審美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 수록지 정보 : 문화기술의 융합 / 6권 / 4호 / 179 ~ 186페이지
    · 저자명 : 김도영

    초록

    圓嶠 李匡師(1705~1777)는 18C 문예부흥기에서 한 시대를 대표했던 학자 예술가이다. 1755년(영조31) 나주벽서사건으로 인해 연좌, 완도군 薪智島로 이배되어 총 23년간의 유배생활 끝에 운명하였다. 이때 俗筆로 흐른 서법과 서풍의 문제점을 바로 잡고자『圓嶠書訣』을 집필하였고, 서법적으로 본질을 새롭게 정립코자 하는 우리 민족 고유의 주체적·자각적 서풍인 東國眞體를 완성했다는 평가를 받는 독창적 서예술 구현으로 호남 일대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쳤다. 圓嶠의 서예심미는 양명학의 心眞을 근저로 하는 ‘蒼勁拔俗의 嚴密美’,‘萬毫齊力의 陽剛美’,‘盡力推展의 生命美’로 전개된다. 그는 올바른 필법 구사를 위해서는 자유로운 조형과 생기가 있는 筋骨 畫意를 서예의 관건으로 인식하고 篆隷 古碑의 연마를 제안하였다. 생기가 있는 획이란 三過와 佶曲하는 가운데 蒼勁拔俗하여 자연스럽게 天機가 스며들고, 필묵은 萬毫齊力의 推展으로 운영하는 것이다. 이러한 서예심미는 三過折筆과 佶屈宛轉, 萬毫齊力과 推展去 등의 필법이 뒷받침되어 筋骨과 神氣로써 神彩를 드러내었고, 우리 민족 고유의 독창적 필세와 필의를 추구하고, 천연의 眞性을 드러내며 活物로써의 생명력 넘치는 圓嶠體로 발현되었다.

    영어초록

    Wongyo Lee KwangSa (1705~1777) is a scholar and artist who represented an era in the period of change and revival of Korean culture and art in the 18th century. In 1755 (31st Yeongjo), he was transferred to Sinjido due to the Naju Byeokseo Incident, and died in exile for a total of 23 years. He tried to correct the problems of the flow of calligraphy in common writing and the flow of calligraphy in the Joseon Dynasty, and wrote 『Wonkyo Seogyeol』. By realizing an original artistic state that is evaluated as having completed the 'Dongguk Jinche', which is a unique and subjective and self-conscious calligraphic flow of the Korean people who wants to reestablish the essence of calligraphy, it has had an absolute influence on the Honam area. Wonkyo's calligraphy aesthetics are developed into the beauty of ChanggyeongBalsog based on Shimjin of Yangminghak, Yanggangmi of Power of controlling all the stands of brush hair, and Vitality of Push out the brush with all your might. He recognized free sculpting and energetic, muscular strokes as the key to calligraphy, and suggested honing the old tombstones written in JeonYe. Vibrant stroke means that Cheongi naturally permeates in the midst of Samgwa and Gilgok, and the brush is operated with Push out the brush with all your might of Power of controlling all the stands of brush hair. These calligraphy aesthetics radiated sinchae with geungol and singi, and were expressed in Wongyo font, full of vitality as a living creature, pursuing the unique pilgrimage and pilgrimage unique to our nation, revealing the true nature of n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기술의 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