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동 쌍계사 명부전 목지장시왕상 연구 (A Study on the Wooden Ksitigarbha and Ten Underworld Kings statue of Myeongbujeon Hall at Ssanggye Temple in Hadong)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4.12
51P 미리보기
하동 쌍계사 명부전 목지장시왕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63호 / 113 ~ 163페이지
    · 저자명 : 심주완

    초록

    이 글은 1644년에 제작된 쌍계사 명부전 지장시왕상의 도상과 양식적 특징을 분석하여 조성 시기를 확정하고 작가를 추정하였다. 쌍계사 명부전상은 1639년 대웅전 삼세칠존불상을 봉안하고 5년 후인 제2차 대불사의 과정에서 조성되었다.
    쌍계사 명부전상은 지장보살 1위, 도명존자 1위, 무독귀왕 1위, 시왕상 10위, 귀왕 2위, 판관 2위, 동자 2위, 사자 2위, 장군 2위 등 총 23위로 구성되었는데 이 구성은 멸실이 없이 1644년에 제작되었던 그대로 전해진 것으로 판단된다. 23위의 쌍계사 명부전상은 조선 후기 명부전 존상의 구성 중에서 최소한의 구성이다. 특히 동자상은 2위로 구성되어 있는데 조선 후기 10위로 정착되기 이전의 존상 구성을 보여 주고 있다는 점에서 고식의 구성이라는 점을 밝혔다. 쌍계사 명부전상의 동자상은 조선 후기에 10위 정착되는 변화 과정에 있는 존상 구성인 것이다.
    조선 후기 존상 구성에 있어서 쌍계사 명부전상은 귀왕과 판관의 배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조선 후기에는 유교 사회의 영향으로 판관보다 귀왕이 우위에 배치되는 경향이 많지만, 조선 후기를 시작하는 17세기 전반기는 경전의 배치에 따라 판관이 귀왕보다 우위에 배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향후 면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하겠지만 쌍계사 명부전상의 판관과 귀왕은 경전상의 배치로 변경하는 방안도 고려되어야 한다.
    쌍계사 명부전상은 복장 발원문에 의하면 봉안 장소는 쌍계사가 분명하며 조성 연대는 1644년이다. 2001년에 작성된 지장보살상의 복장 중수기에는 지장보살상의 조성 연대를 1637년으로 기록하고 있지만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도상과 양식 분석을 통해서 쌍계사 명부전상의 모든 존상은 1644년에 조성되었음을 밝혔다.
    쌍계사 명부전상의 도상적 특징은 16세기의 도상을 계승하고 있으면서도 합장한 무독귀왕, 큼지막한 수염과 양손에 책을 든 시왕상 등에서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쌍계사 명부존상의 양식적 특징은 세장한 구도에 평판적이고 방형의 형태미를 보이고 있지만 유연하면서도 장중한 미감을 드러내고 있다. 쌍계사 명부존상은 쌍계사 대웅전 약사불상(1639)을 계승하면서 쌍계사 팔상전상(1644), 용연사상(1643), 관룡사상(1652)과 친연성이 높다. 그래서 쌍계사 명부존상은 복장 발원문에 기록된 조성 연대인 1644년에 제작된 것이다.
    쌍계사 명부전상은 쌍계사 나한전을 제작하였던 조각승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1644년 명부전과 나한전의 존상은 수조각승 승일 스님을 중심으로 응혜 스님의 협업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쌍계사 명부전 존상은 명부전 존상인 용연사상(1643)의 수조각승으로 활약한 응혜 스님이 주도했을 가능성이 높다. 응혜 스님은 1630년대 수련기를 거쳐 1644년에 쌍계사 명부전상을 조성하면서 전성기를 맞이하였으며, 1670년대 새로운 시도를 모색했던 인물로 당대를 대표하는 조각승이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nalyzes the iconography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the Wooden Ksitigarbha and Ten Underworld Kings statue of Myeongbujeon(冥府殿) Hall at Ssanggyesa(雙磎寺) Temple, which was produced in 1644, to confirm the timing of production and estimate the artist. The statue of Myeongbujeon Hall at Ssanggyesa Temple was made five years after the statue of Daeungjeon Hall was enshrined in 1639.
    The statue of Myeongbujeon Hall at Ssanggyesa Temple consists of a total of 23rd places, including 1 Ksitigarbha, 1 Monk Domyeong(道明尊者), 1 Mudokguiwang(無毒鬼王), 10 Ten Kings of Underworld(十王), 2 Spirit King(鬼王), 2 Court Official of Underworld(判官), 2 Buddhist Boy(童子), 2 Divine messenger(使者), and 2 Divine Warrior(將軍), which are believed to have been passed down as they were produced in 1644, without destruction. The 23 statue of Myeongbujeon Hall at Ssanggyesa Temple are the least composed of statue of Myeongbujeon Hall of the lat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it was revealed that Buddhist Boy statue is composed of two statues, and it is a composition of ancient times in that it shows the composition of the statue before it was settled into 10 statu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2 Buddhist Boy statue of Myeongbujeon Hall at Ssanggyesa Temple is a composition of the statue in the process of change, which is settled into 10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arrangement of Spirit King and Court Official of Underworld for the statue of Myeongbujeon Hall at Ssanggyesa Temp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due to the influence of Confucian society, Spirit King tends to be superior to Court Official of Underworld, but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when the late Joseon Dynasty began, it is highly likely that Court Official of Underworld was superior to Spirit King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scriptures.
    According to the records of the composition, the place of enshrinement of the statue of Myeongbujeon Hall at Ssanggyesa Temple is clearly Ssanggyesa Temple, and the composition date is 1644. The iconographic characteristic of the statue of Myeongbujeon Hall at Ssanggyesa Temple is that it has inherited the iconography of the 16th century and is attempting new change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statue of Myeongbujeon Hall at Ssanggyesa Temple was made by the same sculptor as the one who produced the Nahanjeon(羅漢殿) Hall at Ssanggyesa Temple. It is believed that the statue of Myeongbujeon and Nahanjeon hall in 1644 was made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Monk Eunghye(應惠), centering on monk Seungil(勝日), a sculptor.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statue of Myeongbujeon Hall at Ssanggyesa Temple was led by Monk Eunghye, who served as the representative sculptor of the Wooden Ksitigarbha and Ten Underworld Kings statue at Yongyeon Temple (1643).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