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변호사시험 선택과목 제도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elective subjects test system in the Bar Exam)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4.01
33P 미리보기
변호사시험 선택과목 제도 개선방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법학논고 / 84호 / 1 ~ 33페이지
    · 저자명 : 강명수

    초록

    변호사시험 관련 법령에서 7개의 전문 법률과목을 규정하고 있는 것은, 다양한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춘 실무가를 배출하여 보다 폭 넓은 법률서비스를 제공할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인데, 전문 법률과목 지정에 대한 법의 취지와 달리 현실에서는 기본 필수과목에 대한 공부 부담과 합격률 저하에 따른 중압감으로 인해실제 필요성이 있거나 흥미가 있는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시험 부담이 적은 과목을 선택하고, 이러한 현상이 점점 더 심화되어 가고 있다. 기존에도이러한 문제점 개선을 위한 논의들이 있었으나 개선되지 않고 지금에 이르고 있는데, 법학전문대학원 제도 출범 15년이 지났고, 25개 각 법학전문대학원에서 변호사시험을 치르는 것이 정착되었으며, 2024년 제13회 변호사시험부터 CBT 방식으로 시험을 치르는 등 시대적 변화 상황에 따라 이제는 선택과목 제도도 개선될시기가 되었다. 시험이 아닌 교육을 통한 법조인 양성이라는 제도 취지, 현행 선택과목 시험 제도가 가지는 문제점 등을 고려해 볼 때 2과목(6학점) 이수를 조건으로 한 학점 이수제가 적절한 대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국가 시험이가지는 공적 신뢰성, 해당 법률과목에 대한 전문성 검증, 교육의 균질성 보장 등의 관점에서 공통시험 실시가 필요하며, 과목 상호간 편차를 최소화하고 해당 법률과목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 점검 및 평가의 객관성 보장 등을 위해 객관식 P/F 시험 실시가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시험 시행 시기는 학습 부담 완화 및 선택과목 선정의 자율성 담보를 위해 1년에 여름, 겨울 등 두 번 실시하도록 하고, 일부 학교의 사정으로 인해 학점 이수가 어려운 경우를 대비하여 다른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강의 수강을 이수 요건으로 인정해 주거나, 해당 선택과목에 대한공통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이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해 볼 필요가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개선된 제도가 시행되고 안착이 되면, 향후에는 학점이수제 취지에 맞도록 학점 이수 이후 전문기관에서 실무수습을 하도록 하는 방안이나 학점 이수만으로 조건충족을 인정하는 방안을 검토해 보아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law related to the bar exam stipulates seven specialized legal subjects in order to provide a wider range of legal services by producing practitioners with expertise in various fields. Contrary to the intent of the law regarding the designation of specialized law subjects, in reality, due to the burden of studying for basic required subjects and the pressure caused by the low passing rate, students do not select subjects that are actually necessary or interesting, but rather select subjects with the least exam burden and this phenomenon is becoming more and more severe. There have been discussions to improve these problems in the past, but they have not been improved until now. 15 years have passed since the start of the law school system, and there has been a decision to take the bar exam using the CBT method. Now is the time to improve the elective subject system according to the changing circumstances of the times.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e system, which is to train legal professionals through education rather than exams, and the problems with the current elective test system, it is judged that a credit transfer system that requires completion of two subjects (6 credits) will be an appropriate alternative. And it would be desirable to conduct a multiple-choice P/F test. Exams are conducted twice a year, in the summer and winter. In case of difficulty in obtaining credits, it can be considered students can earn credits at another school or through a common education program. Once this improved system is implemented and established,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consider a plan to require practical training at a specialized institution after completing credits or a plan to recognize the satisfaction of conditions only by completing credi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