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時代 士大夫 墓碑의 日月象 硏究 (A Study on Solar and Lunar Emblems seen the High official's Tombstone of Chosun Period)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2.12
34P 미리보기
朝鮮時代 士大夫 墓碑의 日月象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사학 / 58호 / 181 ~ 214페이지
    · 저자명 : 김주미

    초록

    조선시대 사대부 묘비 문양 중 日月象文을 중심으로 日月象文의 시기별 변화와 그 상징적 의미를 고찰했다. 또한 묘비 유형 중 圓首形 머릿돌(冠石)에 시문된 日月象文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조선시대 사대부 묘비에 시문된 日象文은 圓으로 태양을 형상화 한 것이 주류를 이룬다. 그 외에 태양 안에 새를 등장시킨 日象文을 살필 수 있다. 月象文은 보름달, 반달, 초승달로 표현되거나 달 안에 방아 찧는 토끼를 등장시키는 등 다채로운 모습을 보인다. 한편 16세기이후에는 日象文과 月象文, 龍文과 月象文, 日象文과 龍文, 日象文문과 구름문, 구름문과 月象文, 日象文과 구름문, 朱雀과 龍文, 龍文과 朱雀, 朱雀과 月象文 등 여러 문양들이 묘비 앞뒷면에 다채롭게 시문되었다. 하지만 日月象文이 점차 龍文과 구름문으로 대체되면서 18세기 이후에는 묘비 문양에 잘 나타나지 않는다.
    조선시대에는 中原 유교 문화권의 日象文 전통을 반영하는 둥근 원의 日象文이 사대부 묘비에 많이 시문되었다. 이는 유교 정통주의를 표방했던 明나라와 사대 관계를 맺으며 중국 중심의 국제 질서 하에 있고자 했던 당시 조선의 정치 상황을 반영한다. 또한 조선 전기에는 초승달로 月象文을 표현한 것이 많고, 조선 후기에는 보름달로 月象文을 나타낸 것이 주를 이룬다. 그 배경은 초승달은 만월인 보름달로 가는 달로 팽창과 번영을 의미하며, 만월인 보름달은 풍요를 상징하기 때문이다. 한편 둥근 원 안에 날개를 펴고 날아가는 새로 표현된 日象文은 묘주가 中宗 反正과 직간접으로 연계되어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지금까지 살펴본 묘비에 시문된 日月象文을 통해 조선시대 사대부의 生死觀을 고찰해보면, 첫째 정치적 영향력과 신분적 지위를 지녔던 사대부 묘비에 日月象文을 나타낸 것은, 해와 달은 주기적 회귀의 규칙성을 지니며 늘 순환하고 재생하기 때문에, 현세의 삶이 저 세상까지 이어지기를 바라는 繼世 사상을 반영한다. 둘째 묘제 장엄에 등장하는 新生과 풍요를 상징하는 日月象文에는 묘주가 살았을 때의 정치적 시대상과 천하관, 묘주의 삶의 행적이 투영되어 있다. 따라서 日月象文이 죽은 이를 위한 묘제 장엄에 사용된 것임에도 불구하고 死後세계보다는 현실세계를 적극적으로 담아내고 있다.

    영어초록

    Ilwolsangmun(日月象文), which is often encountered in the tomb culture in Korea, was selected as the subject of study on tombstone patterns. The study of gravestone patterns in the study of the tombs of the four grandfathers was not don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hanges of Ilwolsangmun according to the times and its symbolic meaning, focusing on Ilwolsangmun among the tombstone patterns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Joseon Dynasty, when Confucianism was adopted as the state religion, in both the early and late periods, the sun was formed in a circular circle. The fact that many round circles of daily texts reflecting the traditions of the Ilsangmun of the Confucian culture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were expressed on the gravestones of the four grandfathers of the Joseon Dynasty. Reflects the political situation. The reason for this view is that the Han Chinese (漢族) Jungwon(中原) Confucian culture recognized the expression of hyeonjo (玄鳥), such as a three-legged crow in a circle, as representing the sunspot of the sun, and the sunspots were also considered to cover the sun, the symbol of the king. This is because the expression of the present expression in everyday sentences gradually disappeared, and instead, everyday sentences in which the sun was expressed as a circle became common.
    Also, in the early Joseon Dynasty, many moonsangmuns were expressed as a crescent moon, an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appeared as a full moon. This is because the new moon is the moon that goes to the full moon, which means expansion and prosperity, and the full moon symbolizes abundance. On the other hand, the newly-expressed daily statement, which spreads its wings and flies in a round circle that symbolizes the sun, appears in the tombstone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such as Lee Guk-ju, Lee Gon, Park Un, and Byeon An-ryul in the mid-to-late 16th century.
    It is noteworthy that the expression of a bird flying in the daily door is seen at a time when it was recognized that correcting the mind of the monarch was an important issue while experiencing the tyranny of Yeonsan-gun. Moreover, Gon Lee is a person who participated in the anti-jeong of Jungjong, and Woon Park is the son of Won-jong Park, who served as the best contributor to the anti-jeong of Jung-jong. Considering these facts, the bird (Hyeonjo), a messenger of a thousand people flying in the circle, said, “If the monarch does a real situation, the sky warns him of the situation, and if he still does not realize it, the heavenly mandate is transferred to the virtuous and compassionate monarch. Let's succeed in power.” can be seen as representing the theory of sensation of heaven in the East, Middle East, and the like (天人感應說).
    To summarize the life and death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Ilwolsangmun, which was published on the tombstones examined so far, first, the sun and the moon always circulate and regenerate in the same form. By reading Wolsangmun, it reflects the world of the world where life in this world is hoped to continue to the other world. Second, the daily texts appearing in Myoje's magnificence contain the political times when Myoju(墓主) lived, the view of the world, and the life of Myoju, and reflects religious influences. Therefore, despite the fact that everyday and Wolsangmun are expressed in the grandeur of Myoje for the dead, they actively contain the real world rather than the after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