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에딘버러 세계선교사대회와 선교교육 (Edinburgh World Missionary Conference And Mission Educ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0.07
30P 미리보기
에딘버러 세계선교사대회와 선교교육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교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선교신학 / 24권 / 24호 / 135 ~ 164페이지
    · 저자명 : 손윤탁

    초록

    “너희는 가서 모든 족속으로 제자를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이 이름으로 세례를 주고 내가 너희에게 분부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마28:19~20). 마태복음에 기록된 주님의 지상 명령(Great Commission)은 분명한 선교 명령이다. 그러나 그 내용은 분명한 교육명령을 포함하고 있다. 엄밀히 말하면 ‘선교교육 명령’이다. 교육의 대상은 ‘모든 족속’이다. 선교교육의 목표는 너무나 뚜렷하다. 다섯 개의 동사 중에서 본동사에 해당하는 것은 ‘제자를 만드는 일’이며, 그 방법은 나머지 분사형에 해당하는 네 개의 동사이다. ‘가서,’ ‘세례를 주고,’ 주님께서 분부하신 모든 것을 ‘가르쳐서,’ ‘지키게 함’으로 모든 족속, 모든 민족들을 주님의 제자로 만드는 것이다. 이 다섯 개의 동사는 선교 명령이자 교육 명령임을 분명히 한다.
    무엇보다 ‘제자 삼기’라는 분명한 교육 목표를 위해서, 그리고 주님께서 분부하신 모든 것을 ‘가르치고 지키게’ 하기 위해서 명령을 받은 우리들은 ‘가야 한다.’ “가라!”는 명령은 선교 명령이다. 선교는 가는 것이다. “경계를 넘어 가는 것이다.” 이 일을 위하여 주님은 “어떤 사람은 사도로, 어떤 사람은 선지자로, 어떤 사람은 복음 전하는 자로, 어떤 사람은 목사와 교사로” 친히 세우셨다 (엡 4:11). 예수 그리스도의 몸인 모든 교회는 주께서 하신 사역을 계속함으로 더욱 성장하고, 더욱 성숙해져야 하며, 더욱 새로워져야 한다. 이 교회로부터 거룩한 사명을 수여받은 직분자들은 모든 성도들을 온전케 하며(엡 4:11),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에 이르게 하며(엡 4:13), 육에 속한 자(고전 2:14)나 아직도 어린 아이와 같은 육신에 속한 자 (고전 3;1)가 아닌 신령한 그리스도인(고전 2;15)이 되게 하여야 한다. 이 일을 위하여 가서, 세례를 베풀고, 가르치고, 말씀을 지키게 함으로 모든 족속, 모든 민족들을 그리스도의 제자가 되게 하여야 한다. 이것이 바로 주님의 지상 명령이자 선교 명령이며, 교육 명령이자 선교교육의 목표이다.
    주님의 지상 명령에 의하여 세워진 교회는 – 적어도 누가에 의해 기록된 사도행전의 경우 성령이 임함으로 세워진 교회이므로 – 예루살렘과 온 유다와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 이르러 증인의 사명을 다하여야 한다. 교회가 감당하여야 할 당연한 의무가 선교이다. 물론 ‘선교’(Mission)라는 말 자체의 의미가 보냄(Missio)을 받은 사람으로서 당연히 ‘해야 할 일’을 하는 것이지만, 이것을 ‘잘 구별하여 양육하는’ 선교교육이야말로 반드시 교회가 해야만 할 사명인 것이다. 그러므로 교회 교육이 “신자들이 교회의 사명을 성취하면서 그리스도의 마음을 구하고, 그들 자신의 계획을 좇지 않고자 이해하고 결정하도록 도와주는 매우 결정적인 역할”이므로, 교회 교육은 곧 선교교육을 의미한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선교교육이 교회 안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물론 교회는 선교사를 길러내는 못자리인 동시에 선교사에게 필요한 모든 것을 교회에서 배웠다고 할 정도로 교회의 교육적 기능이 중요하고, 또 선교를 위한 인적 자원(선교사)과 영적 자원(중보기도), 그리고 물적 자원(재정후원)을 지역교회가 가지고 있지만 오히려 한국교회는 선교에 대한 전반적인 전문성이 거의 확보되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아직도 “선교단체 주도형에서 교회가 선교를 잘 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패러다임으로 진행 중이기 때문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회는 선교교육을 통하여 모든 그리스도인들에게 선교 의식을 고양시켜 세상으로 내보내야만 하고, 또한 선교사 후보생들을 배출하는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교회는 아직도 예수 그리스도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그리스도를 가르치고 전파함으로 믿음의 사람을 만들어야 하는 것과 이미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들을 더 잘 믿게 만들어서 자신에게 주어진 사명을 감당하는 온전한 그리스도인을 만드는 교육적 기능을 가진다. 믿지 않는 사람들을 믿게 만들고, 믿는 사람들을 더 잘 믿게 만드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refore, go and make disciples of all nations, baptizing them in the name of the Father and of the Son and of the Holy Spirit, and teaching them to obey everything I have commanded you” (Matthew 28, 19-20).


    This great commission in the Gospel Matthew is clearly a mandate for mission and teaching. Under this supreme commission, the church must bear the witness from Jerusalem, Judea, Samaria and to the end of the earth and also teach the people to become complete Christians. Those unbelievers must be taught to become the believers and the believers, the true believers. The Christians must be taught about Jesus through the Bible. The Church must be industrious in teaching the Christians to be do mission works through obedience, making the world to believe in the gospels.
    The Edinburgh World Missionary Conference in 1910 was the fruit of mission works up to 19th century and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to create a future mission works. The mission education received the same benefit. The mission education during the 18th and 19th centurie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lassifications; the first is the pietism through which spiritual revival could be achieved. The second is the mission expansion by the missionaries with the mission literatures and funds to support the mission works. These movements, later, were responsible for creating mission networks and sects. The third is the establishment of the colleges for the teachings of the missions in the 19th century.
    Prior to the Edinburgh World Missionary Conference, there were the mission conference at Liverpool, 1860, London, 1880, New York, 1900 and others. Preparatory Committee for the Edinburgh World Missionary Conference in 1910, recognizing the prior London and New York conference, called its meeting as the third Ecumenical missionary conference. But the Edinburgh called “The Evangelization of the World in This Generation” as its slogan, giving inspiration for 'Student Volunteer Movement for Foreign Mission' in 1880 and 1890s.
    However, after the Edinburgh World Missionary Conference, the movements for sects and orders, evangelism and ecumenicalism created problems including the separation of the teachings for the believers and the non-believers, and of the gospel and the culture. In conclusion, it should be clarify to divide between the mission education to focus on ‘already’ christians and education mission, ‘yet’ christians.
    The 1910 Edinburgh Missionary Conference assigned the Eight Commissions. The Commission Ⅲ dealt with the education for the mission.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Christianization of national life” and focused on the reason why the education for the mission is necessary for the non-Western world people. The education for the mission included the general welfare promotions but the main emphasis was to integrating the Christian spirits into the their lifes.


    To do that, the mission works must be integrated into their schools. Secondly, teachers in the schools must be trained and educated and thirdly, the leaders in the communities must be schooled in the Christianity. These were reported as the evangelical, edificatory and Leavening. Finally, it is also reported that it is the express of ‘the philanthropic desire to promote the general welfare of the people’.
    As the concrete example of the third issue, it is reported that education is a part of the mission works, the strategy for the Three-Self Church, is for expansion of the Christianity and towards universal key. Especially it is admitted that the christian mission schools are the major institutions to convert non-christians, but never easy. Additionally, Rev. Samuel A. Moffett submitted his evaluation of the Mission works and education through ‘Bible Training Classes’ in Korea.
    General Conclusion, At the 1910 World Missionary Conference, the Mission Education is no longer a secondly mission support work but became a integral part of the mission which should be provided to the non-Christians. After this Conference, the christians supports for ‘Education Mission’ were reported as a part of the Mission. The building the native Christian leaders was emphasized as a means to expand the Christia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교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