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복합전치사 ‘除(了)’의 문법화 연구 (A Study on the Grammaticalization of the Complex Preposion ‘Chu(除)/Chule(除了)’)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8.06
28P 미리보기
복합전치사 ‘除(了)’의 문법화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어중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중어중문학 / 72호 / 127 ~ 154페이지
    · 저자명 : 최재영, 권선아

    초록

    본고에서는 현대 표준중국어에서 ‘除了’의 통사적 특징과 의미기능을 파악한 후 이를 기초로 汉代부터 清代까지의 11종 문헌에 출현하는 ‘除’, ‘除了’의 전수조사를 통하여 전치사 ‘除’와 ‘除了’의 문법화 과정과 기제 및 경로를 논의하였다. 고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에 동사로 사용되었던 ‘除(了)’는 ‘S+V除+O1+V2+O2’구조를 형성한다. 이것은 ‘除(了)’가 전치사로 문법화되는 중요한 통사적 틀이다. 이러한 구조의 형성시기는 ‘除’의 경우 汉代에, ‘除X’의 경우에는 魏晋南北朝이다. 또한 ‘除X’의 경우 宋代이전까지는 ‘除去’, ‘除却’ 등으로 출현하였고 宋代이후에 ‘除了’가 출현하였다.
    둘째, ‘除(了)’가 수반하는 주어와 목적어 성분의 의미 변화이다. 唐代이후 주어는 행위자 뿐 아니라 비행위자가 출현하였다. 목적어는 ‘화, 질병, 근심’ 등 부정적인 의미색채를 나타내는 제한적 성분에서 ‘사람, 사건, 일’ 등과 같이 의미색채의 제한이 없는 일반적인 성분들로 확대되었다.
    셋째, 이러한 주어와 목적어의 변화는 ‘S+[V除(了)+O1]+V2+O2’구조를 재분석하여 ‘S+[Pre除(了)+O1(+外)]+V+O2’구조로 문법화되게 만들었다. 전치사로 문법화된 ‘除(了)’는 ‘~제외하고’의 의미를 가지게 되는데 동사일 때와 마찬가지로 [+소실]의 의미자질은 가지고 있으나 현실공간에서의 소멸(제거하다)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추상범위에서의 배제(제외하다)를 의미한다. ‘S+[Pre除(了)+O1(+外)]+V+O2’구조로 문법화된 이후에 의미중점은 문장의 술어인 ‘V+O2’에 있다.
    넷째, 明代이후 전치사 ‘除(了)’는 문법화가 심화되면서 후속절의 부사의 종류에 따라 전치사 ‘除(了)’의 의미와 기능이 보다 세분화된다.
    다섯째, 전치사 ‘除’는 출현 초기에 방위사 ‘外’를 수반하여 ‘Pre除+O+外’를 독립적으로 경계화시키고 이를 통해 동사 ‘V除+O’와 구분지었다. 반면에 ‘Pre除+X’의 경우 출현 초기부터 줄곧 방위사 ‘外’가 없는 예문의 출현빈도가 월등히 높은데 이는 아마도 ‘X’성분이 ‘外’와 경계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and semantic functions of “Chule(除了)” in Mandarin and investigate the grammaticalization, mechanism, and path of prepositions “Chu(除)” and “Chule(除了)” through the total inspection of “Chu(除)” and “Chule(除了)” in 11 types of documents from Han(汉) Dynasty to Qing(清) Dynasty.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Chu(除)/Chule(除了)”, which used to serve as a verb in the early days, formed a structure of “S+V除+O1+V2+O2”. It is an important syntactic frame for the grammaticalization of “Chu(除)/Chule(除了)” into a preposition. As for the time of their formation, “Chu(除)” and “Chu-X(除X)” took place during Han(汉) and Wei-Jin and South-North(魏晋南北朝) Dynasties, respectively. “Chu-X(除X)” appeared as “Chuqu(除去)” and “Chuque(除却)” until Song(宋) Dynasty and “Chule(除了)” after Song(宋) Dynasty.
    Second, there were semantic changes of the subject and object accompanied by “Chu(除)/Chule(除了)”. Since Tang(唐) Dynasty, both actors and non-actors appeared as subjects. Objects expanded from limited components to convey negative semantic colors such as “anger, disease, and worry” to general components with no restriction of semantic colors such as “people, events, and jobs”.
    Third, these subject and object changes reanalyzed the “S+[V除(了)+O1]+V2+O2” structure and grammaticalized it into the structure of “S+[Pre除(了)+O1(+外)]+V+O2”. After being grammaticalized into a preposition, “Chu(除)/Chule(除了)” got to have a meaning of “except for”. It still had a semantic feature of [+disappearance] like when it was a verb, but it meant exclusion(exclude) in an abstract scope rather than extinction(elimination) in a real space. After its grammaticalization into the structure of “S+[Pre除(了)+O1(+外)]+V+O2”, its semantic focus lied in “V+O2”, a predicate of a sentence.
    Fourth, entering Ming(明) Dynasty, the preposition “Chu(除)/Chule(除了)” grew further grammaticalized.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the preposition “Chu(除)/Chule(除了)” became more subdivided according to the type of adverb in the following clause.
    Finally, the preposition “Chu(除)” was accompanied by a localizer “Wai(外)” in its early days, creating an independent boundary for “Pre除+O+外” and thus distinguishing the verb “V除+O”. “Pre除+X”, on the contrary, recorded a considerably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in sentences without the localizer “Wai(外)” from the beginning, which is seemingly because the “X” component functions as a boundary against “Wai(外)”.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어중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