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봉산 천축사 목조삼존불좌상 연구 (A Study on Wood Seated Buddha Triad Cheonchuksa at Mt.Dobo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5.06
26P 미리보기
도봉산 천축사 목조삼존불좌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역사편찬원
    · 수록지 정보 : 서울과 역사 / 90호 / 130 ~ 155페이지
    · 저자명 : 최선일

    초록

    본 논문에서는 서울특별시 도봉산 천축사 대웅전 목조삼존불좌상의 양식적 특징과 내부에서 발견된 발원문을 통하여 제작 시기와 조각승을 추정해 보았다. 이 목조삼존불좌상은 2013년에 서울특별시 문화재 지정조사를 계기로 내부 복장물을 확인하게 되었다. 불상에서 발견된 발원문은 두 종류로, 목조삼존불좌상을 개금한 발원문과 다른 석가삼존불을 조성한 발원문이다.
    목조삼존불좌상은 중형 불상으로 머리를 앞으로 약간 내밀어 구부정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오른손은 바닥을 향해 무릎 위에 가지런히 놓고, 따로 제작된 왼손은 엄지와 중지를 둥글게 맞대고 있다. 바깥에 걸친 대의는 오른쪽 어깨에서 완만하게 팔꿈치와 복부를 지나 왼쪽 어깨로 넘어가고, 반대쪽 대의는 왼쪽 어깨를 완전히 덮고 내려와 하반신에 펼쳐져 있다. 왼쪽 어깨에 대의자락이 한 가닥 수직으로 흘러내려 끝단이 둥글게 마무리되었다. 하반신에 걸친 대의자락은 복부에서 오른쪽으로 몇 가닥이 완만하게 펼쳐지고, 가장 안쪽 옷주름은 두툼하게 접혀 있다. 대의 안쪽에 입은 僧脚崎는 상단이 수평으로 마무리되고, 대각선으로 접혀 있다.
    내부에서 발견된 발원문 두 장은 1713년에 북한산 노적사에서 불상을 개금한 내용과 1735년에 북한산 서봉사에서 불상을 조성한 기록으로 천축사 목조삼존불좌상의 정확한 조성 시기를 알 수 없다. 다만 1713년 개금발원문에 “萬曆造成三尊”이라는 언급이 있어 1573년부터 1619년 사이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임진왜란 이후에 불상이 주로 제작되는 상황을 근거로 17세기 초반에 활동한 조각승의 기년명 불상을 중심으로 비교한 결과 천축사 목조삼존불좌상은 1610년대에 각민이나 그 계보에 속하는 조각승이 제작하였다는 결론을 유추하였다.
    사적기를 중심으로 살펴본 조각승 覺敏은 1605년에 전주 위봉사 북암 목조보살입상 4구를 만들 때 上金 施主로 참여한 후, 1605년에 수화승 원오를 따라 완주지역 불상을 제작하고, 1606년에 수화승으로 공주 동학사 목조삼세불좌상을 조성한 후, 1614년에 수화승으로 전남 순천 송광사 대웅전 삼존불상을 제작하였다. 그는 임진왜란 기간에 소실된 순천 송광사 중창에 참여한 것으로 보아 부휴선수 계보에 속한 스님이다. 천축사 목조삼존불좌상과 양식적으로 유사한 불상은 1610년 김제 문수사 목조여래좌상과 제작연대를 알 수 없는 군산 상주사 목조삼세불좌상이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천축사 목조삼존불좌상은 임진왜란 이후에 서울 근방에서 만들어진 불상으로 가장 오래된 작품이고, 18세기 초반에 북한산 서봉사에 봉안되었다가 서울 흥천사를 거쳐 현재 천축사로 옮겨 모셔졌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o scrutinize Cheonchuksa wood seated Buddha Triad at Mt.Dobong based on votive inscriptions, which was found in these Buddha Triad. Through the inspection for listing 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Seoul Metropolitan City, two different kinds of votive inscriptions were found. The first inscription is for re-glittering votive inscription for Cheonchuksa wood seated Buddha Triad, and the second one is not related to Cheonchuksa Buddha Triad.
    Wood seated triad are mid-size sculptures. The heads of Buddha Triad are slightly bent forward. Its right hand points downward over the right leg and its left hand thumb touches own the middle finger. One side of the outer robe covers its right shoulder and right elbow and extend form its abdomen to left shoulder. Another side of the robe overlays its left shoulder and wraps the lower half of the body. The inner robe covers the statue's chest.
    The two votive inscriptions, unveiled from inside of Buddha Triad, do not give a specific information of production date about Cheonchuksa seated Buddha Triad. The first inscription is for re-glittering record of Nojeoksa at Mt. Bukhan in 1713. The second one is for rendering Buddha images of Seobongsa at Mt. Bukhan in 1735. However, one phrase "these Buddha Triad were rendered between 1573 and 1619" in 1713 votive inscription provides a clue to estimate Cheonchuksa seated Buddha Triad production date. Based on formal analysis of Cheonchuksa Buddha traid, the monk sculptor, who created this Buddha images, can be Gakmin or one of members of Gakmin school.
    The Gakmin's activities are recorded in various temples history. He was a gold patron for rendering Wibongsa four standing bodhisattva at Jeonju in 1605. He created Wood seated Buddhas of Three Ages Donghaksa at Gongju in 1606 and Buddha Triad Songgwangsa at Suncheon in 1614. Based on Gakmin's Buddha images' formal analysis, Munsusa wood seated Buddha at Gimgea and Sangjusa wood seated Buddha Triad share remarkable similarities to Cheonchuksa Buddha Triad.
    In this paper, we have explored the possibility that Cheonchuksa Buddha Triad can be the oldest the late Joseon dynasty Buddha image after Japanese Invation(1592-1598)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rough the re-glittering votive inscription, these Buddha triad was originally enshrined in Seobongsa at Mt.Bukhan. However, Buddha triad moved to Heungcheonsa, Seoul and then finally has stayed in present temple, Chenchuks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과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