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기 유가사의 所知事에 관한 고찰 (A Study of the Jñeya-vastu(所知事)of the Early Yogācāra Buddhi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2.12
25P 미리보기
초기 유가사의 所知事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94호 / 51 ~ 75페이지
    · 저자명 : 안유숙

    초록

    초기 유가사는 명상의 과정에서 인식되어야 할 대상에 대한 체계를 세운다.
    『유가사지론」 「성문지」에서 인식되어야 할 사태(所知事)에 대하여 구체적으로서술하고 있다. 명상의 대상은 사마히타의 단계에 속한 작의의 경험에 의해 그인식되어야 할 사태와 유사한 이미지가 나타난다. 이 이미지를 소지사동분영상(所知事同分影像)이라고 한다. 인식되어야 할 사태는 비파샤나의 방식에 의해서 관찰하거나 또는 샤마타의 방식에 의해 나타나는 삼매의 영상으로서 인무아(人無我)와 법무아(法無我)의 통찰에 토대가 되는 항목이다. 유가행파의 명상과정에서 인식되어야 할 사태는 4종의 변만소연이다. 4종은 유분별영상, 무분별영상, 진소유성과 여소유성의 사변제성(事邊際性), 행해져야 할 것의 완성(所 作成瓣)이다. 여소유성의 4종도리(道理)는 인식의 대상을 심구(尋求)하는 방법으로서 ‘제법이 서로 의존하는 방식(觀待道理)’, ‘그와 같이 의존하는 이유(作用道 理)’, ‘그 자성을 토대로 한 여러 가지 작용(證成道理)’, ‘사물의 실상 그대로를 토대로 한 각각의 법의 자성(法爾道理)’을 의미한다. 『해심밀경』에서 여소유성의진여는 7가지로 나뉘며, 샤마타와 비파샤나에 의해 드러난다.

    영어초록

    In the Śrāvakabhūmi(the thirteenth stage in the Yogācārabhūmi), Early Yogācāra establishes a detailed system of objects of meditation.
    They define images that appear in meditation as "jñeyavastusabhāgaṃ pratibimbam(所知事同分影像)". This concept is based on the complete realization of non-existence of self(pudgala-nairātmya) and non- substantiality of dharma(dharma-nairātmya). There are four categories of jñeya-vastu(所知事): savikalpamālambana(有分別影像), nirvikalpam- ā lambana(無分別影像), two bhā vikatā (所有性) of the vastu- paryanta(事邊諦), kṛta-karaṇīyatā(所作成辦). Four applications of the y āthavad-bhāvikatā(如所有性) are meditation methods. Yogāc ār a seeks for four applications. They are (1)the application that relates to dependence(apekṣāyuktiḥ), (2)the application that relates to performance of an action(kāryakāraṇayuktiḥ), (3)the application that relates to demonstration of a proof(upapattisādhana-yuktiḥ), and (4)the application that relates to the nature of things(dharmatāyuktiḥ). In the Saṃdhinirmocana-sūtra, Tathatā(眞如) of the yāthavad-bhāvikatā is classified into seven categories and revealed by Śamatha-Vipaśyanā. Understanding and insight into the seven elements are very important in the practice of Yogācā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