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어사 교육을 위한 중세국어 자료 탐색 (An Educational Perspective to Medieval Korean Materials for Research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Languag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0.12
30P 미리보기
국어사 교육을 위한 중세국어 자료 탐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교육학연구 / 55권 / 4호 / 121 ~ 150페이지
    · 저자명 : 양영희

    초록

    본 논의는 중세국어 자료 개발을 목적으로 출발하였다. 「2015 교육과정」에서 국어사 교육의 목표를 중세국어와 현대국어의 차이를 깨달음으로써 ‘변화하는 언어’의 속성을 이해하도록 설정하였는데, 이때의 매개가 ‘중세국어 자료’인바 자료 선택은 국어사 교육의 성공 여부를 결정짓는 방향타로 작용한다는 판단에서이다.
    어휘 변화의 탐구를 위해서는 「훈민정음해례본」의 ‘용자례’를 선택하였다. 여기서는 어휘의 형태 변화와 의미 변화를 중점적으로 파악하는 가운데 음운, 표기 변화 등도 아울러 이해할 수 있다는 기대에서이다. 청자 높임법 변화의 탐구를 위해서는 「석보상절」, 「월인석보」, 「순천김씨 묘 출토 간찰」의 특정 장면을 선택하였다. 「석보상절」, 「월인석보」는 짧은 장면 안에서 ‘쇼셔, 야쎠, 라, 니’체의 평서형, 의문형, 명령형 등을 모두 확인할 수 있으며 줄거리가 있는 이야기 텍스트여서 학습자들의 흥미와 공감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이다. 「순천김씨 묘 출토 간찰」은 선인들의 사연을 읽을 수 있는 편지글이라는 점에서 학습자들의 공감을 얻을 수 있으며 15세기 ‘야쎠’체의 계승형으로 간주되는 16세기의 ‘’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이다. 마지막으로 의문법 변화의 탐구는 「번역 노걸대 상」의 첫 장면을 선택하였다. 전체 텍스트가 대화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중세국어 다른 자료와 차이를 보이면서 이 역시 짧은 장면 안에서 [-상위자]에 대한 의문형인 ‘ㄴ다, 명사+가(고), ㄴ가(고), 뇨(료, 려)’ 등을 확인할 수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medieval Korean materials. In the “2015 Korean education Curriculum,” the goal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was set to understand the nature of “changing language” by realizing the differences between medieval and modern Korean. It was judged that the selection of “medieval language materials” was important to the succes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explore the vocabulary change, “Hunminjeongeum” “Examples on the Use of Letters” was selected. Analysis is expected to enable changes in the form and meaning of vocabulary to be grasped, and changes in phonology and notation can be understood. To explore the change of hearer honorific expressions, specific scenes of “Seokboangjeol,” “Wolin-seokbo,” and “Letters on the excavation of Suncheon Kim’s grave” were selected. This is because declarative, interrogative, and imperative forms of “쇼셔, 야쎠, 라, 니” are used throughout the short texts of “Seokboangjeol” and “Wolin-seokbo,” which are story texts with a plot with which learners can gain interest and empathy.
    “Letters of Suncheon Kim’s grave excavation” contain stories related to the ancestors, so learners can gain empathy through the text. In addition, “” of the 16th century, which is considered as a succession form of the “야쎠” of the 15th century, can be found in the text. Lastly, the first scene of “Byeonyeok-Nogeldae” was chosen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interrogative forms. It is considered different from other medieval materials as the whole text is composed of dialogues, and interrogative forms of (-Upper), “-nda, noun+ga(go), -nga(go), nyo(ryo, ryeo),” are also used in short scen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