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곡사 오층석탑에 관한 고찰 (Consideration of Five-Storied Magoksa Temple Stone Pagod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5.02
23P 미리보기
마곡사 오층석탑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문화 / 1권 / 52호 / 5 ~ 27페이지
    · 저자명 : 박경식

    초록

    마곡사 대웅전 앞에 건립되어 있는 오층석탑은 상륜부에 놓인 풍마동으로 인해 그간 라마탑의 영향을 받은 석탑으로 분류되어 왔다. 그러나 이 석탑에 구현된 여러 양식들을 세세히 살펴본 결과 삼국시대 이래 확립된 한국 석탑의 전통적인 양식은 물론 고려시대에 이르러 유행했던 백제계 석탑의다양한 기법이 확인되었다. 이같은 양상은 특히 기단부에서 확인되었는데, 상자를 포개어 놓은 듯한기단의 축조방법은 물론 면석에 부조된 중첩된 우주, 이원식 구조체등에서 그 특성이 파악되었다. 탑신부에 있어서도 초층과 2층 탑신에 부조된 문비와 사방불 그리고 2층 옥개석에서 특이한 양상이 파악되었다. 즉, 기왕의 석탑에서는 초층탑신에 방업조식이 집중되는 반면, 이 석탑에서는 초층과 2층에 걸쳐 부조되어 전통적인 석탑과는 다른 수법이 파악되었다. 더불어 2층탑신과 옥개석은 건탑 이후 고려시대에 다시 제작된 것으로 보았다.
    이 석탑이 라마식 불탑으로 분류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상륜부재 즉, 風磨銅의 평면구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이에 구현된 斗出形의 평면은 원나라 불탑의 특징이 아니라 간다라 지역의 불탑에서시작된 양식이 실크로드를 거쳐 전래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뿐만 아니라 원대에 건립된 라마식 불탑과 풍마동을 비교해 볼 때 이는 본래부터 상륜부로 제작된 것이 아니라 사찰의 공예탑으로 제작되었던 것을 후대에 상륜부재로 활용한 것으로 보았다.

    영어초록

    Five-Storied Magoksa Temple Stone Pagoda has been regarded as a stone pagoda influenced by Lamaisticpagoda due to Poongmadong( ) on steeple. As a result to investigate various styles for the stone pagodain detail, traditional styles of Korean stone pagoda that have been established since the period of the threeKingdoms, and various Baekje styles that were popular during Koryo Dynasty were figured out. In particular,the styles were shown on stylobate, they are not only a way to build stylobate that seems boxes are overlappedbut also an overlapped corner pillar that is a relief on facing stone, and two stage structures. When it comesto pagoda body, unique styles were investigated through a door plate and four-directional Buddha that is arelief on the basic story and pagoda body of second story, and roof stone on second story. That is, as forprevious stone pagoda, basic story of the pagoda body focus on severe-ornament. One the other hand, theMagoksa temple stone pagoda shows a relief on the basic story and second story, that is a difference fromstyles of traditional stone pagoda. Besides, it seems pagoda body on second story and roof stone were rebuiltduring Koryo Dynasty after building the pagoda. After analyzing the flat surface of Poongmadong that is a partof steeple to consider the pagoda as Lamaistic pagoda, the flat of bulging pagoda part comes from not YuanDynasty’s pagoda but Gandhara pagoda through Silk roads. Furthermore, in comparison between Lamaisticpagoda and Poongmadong built during Yuan Dynasty, it was originally produced not for steeple but for craftpagoda of a temple and used for the part of steeple la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