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학설사 속의 ‘단군민족주의’ (Theoretical Study on 'Dankun Nationalism' of Korea in Early 20th Century - Relating to Korean Empire's Compiling Project for History and Institution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4.03
26P 미리보기
근대 학설사 속의 ‘단군민족주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72호 / 237 ~ 262페이지
    · 저자명 : 이민원

    초록

    20세기 초 한국의 역사학자들이 단군에 관심을 드높이게 된 배경에 대한제국의 국가체제 정비사업이 있었다. 아울러 일본의 종교적 침략에 대응해 단군교(대종교)가 등장하고, 전국에서 애국계몽운동이 전개된 과정과도 무관하지 않았다. 이런 흐름이 일제하의 독립운동과 함께 한국고대사 및 국조 단군에 대한 관심 고양으로 이어져 ‘단군민족주의’ 현상과 제 학설을 낳는데 크게 일조했다고 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특히 대한제국의 선포와 문물정비사업은 한국의 역사와 민족의식 환기에 주요한 계기였다. 황제체제에 입각한 체제정비와 증보문헌비고 편찬은 특히 단군에 대한 관심을 새롭게 하는 주요 계기였다. 학자적 소양이 풍부한 관료들이 역대전적을 공동 열람하면서 일본 신도의 침략 앞에 민족의 역사와 시조에 깊이 관심을 갖게 되었던 것이다. 이들 사업은 조선 후기의 실학, 특히 영ㆍ정조 당시의 문물정비와 학풍을 이은 것이기도 했다.
    대한제국의 편찬사업이 단군을 중심으로 한 민족의식 확산에 중요한 계기가 된 점은 『증보문헌비고』 편찬에 참여한 인사들의 학풍과 이를 이은 국학자들의 활동에 잘 드러난다.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학자였던 김교헌 등은 물론, 신채호, 박은식, 신규식, 정인보, 최남선, 장도빈, 안재홍 등이 바로 그들이다. 이들에 의해 낭가사상, 조선의 혼, 백, 얼, 정신, 심 나아가 홍익인간 등의 학설이 등장하여 단군에 대한 이해를 높였던 것이다. 이런 현상을 ‘단군민족주의’의 표현이라고도 칭한다. 남북의 통일이 화두로 대두하고 있는 현재에도 단군은 여전히 역사학과 현실 사이에서 중요한 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e Establishment of Daehan Empire of Korea in 1897 was an important turning point for many confucian scholars of Korea to get interested in Korean history and culture. Particularly the compilation project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by the government in 1900s was a good chance for scholar-officials to review Korean cultural assets and also Dankun as the originator of Korean Nation. Moreover the aggressive movement of Japanese religion 'Sinto' to Korea early 20th century was a provocative stimulation for them to get interested in Korean thought and religion.
    Several scholar-officials including Kimkyoheon took the role of combining Dankunkyo(Daejongkyo) and Korean scholars or independent activists. Daejongkyo originated by Nacheol, a scholar-official of Korean government was one of Korean national religions in early 20th century. Those who believed in Daejongkyo worshiped Dankun as the originator of Korean People. Most of the nationalistic scholars thought Dankun as a powerful lever and tool for the national integration of Korean people and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y researched the mithology of Dankun and found special concept such as 'Nanggasasang', 'Hon', 'Korean Spirit', 'Korean Mind', 'Hongikinkan'. Some of scholars nowaday calls it is a kind of 'Dankun Nationalism' phenomenon. They say 'Dankun Nationalism' was an expression of modern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Nowadays it is regarded as one of promising levers for unifying two Kore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