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화사 내원암 목조보살좌상 연구 (A Study on the Wooden Seated Bodhisattva Statue in Naewonam Hermitage, Donghwasa Temple)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0.06
46P 미리보기
동화사 내원암 목조보살좌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 수록지 정보 : 禪文化硏究 / 28호 / 337 ~ 382페이지
    · 저자명 : 이희정

    초록

    대구광역시 팔공산 내원암(內院庵)은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의 산내 부속 암자이다. 이 절은 '조선사찰사료(朝鮮寺刹史料)'와 '동화사사적비(桐華寺事跡碑)'에는 1626년(인조 4년)에 유찬(留贊)이 창건했다고 전하며, 1727년 무월(霧月)이 중건하고, 일제강점기인 1937년 보월대사(寶月大師)가 삼창(三創)하였다 한다. 지금의 비구니 선원은 1958년 국일암 승려 장일(長一)이 원명과 이룬 것으로 동화사 내원암 목조보살좌상은 이때 인근의 폐사로부터 옮겨온 것으로 추정된다.
    내원암 보살상은 머리에 높은 화려한 보관을 쓰고 당당한 신체에 근엄한 인상을 갖고 있으며, 천의식 착의법은 조선전기 불상의 양식을 계승한 옷 모습으로 17세기 전반 경상도 지역에서는 보기 드문 보살좌상이다. 이 상이 갖고 있는 얼굴과 전체적으로 긴 신체비례, 가늘고 긴 여성스러운 손, 도드라진 이륜의 귀 등 세부적 표현까지 청허의 거창 심우사 목조아미타불좌상(1640)과 같은 특징으로 같은 조각승에 의해 조성된 것으로 파악된다.
    청허는 원오계 조각승으로 전라도와 충청도에서 수련과정을 보냈으며, 1610년대부터 경상도 지역에서 활동하던 현진과의 인연을 시작으로 내원암 보살상과 심우사 아미타상 등은 현진·청헌계 조각승과 협업하였다. 1640년을 전후한 시기에 청허의 활동권 중심이 경상도 지역으로 옮겨오면서 자연스럽게 계파의 분화가 이루어지 되었으며, 경상권에서 정착해 나가는 과정을 살필 수 있다. 이런 변화의 계기는 원오의 죽음 혹은 선배조각승의 은퇴 등 여러 이유로 구심점이 약화되었거나 불교를 억압하는 분위기에 조각승 스스로 자생하기 위한 자구책일지 모른다.
    내원암 보살상은 심우사 불상과 함께 청허의 가장 빠른 작품으로, 17세기 전반 조선 후기 불상의 보편적인 양식은 물론 이전 시기 양식까지 확인되어 청허가 갖고 있는 폭넓은 불상의 이해와 조각적 역량을 보이기에 충분한 상으로 그 중요성이 무엇보다 크다 할 것이다

    영어초록

    Naewonam is a hermitage of Donghwasa Temple located in Palgongsan Mountain in Daegu City, Republic of Korea. In 1958 when the hermitage underwent a renovation, a wooden Bodhisattva statue was transferred from a ruined temple nearby and enshrined in Naewonam Hermitage.
    The Wooden Seated Bodhisattva of Naewonam Hermitage wears a tall, splendid crown and seats in confident posture with facial expressions conveying solemn mood. With a robe draped over its shoulder, the Bodhisattva wears a skirt covering from its chest to the lower body with long laces and edge of the skirt.
    The way the Bodhisattva is dressed succeeds the modality of Buddhist statues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Few statue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shows such features. The detailed and subtle expressions of the statue including the shape of the face, hands, and ears, body ratio and facial expressions are similar with th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of Simwoosa Temple located in Geochang County, Korea carved by a monk scultor Cheongheo in 1640. Such similarity gives us good grounds to belive that the Bodhisattva of Naewonam was created by the same monk sculptor.
    As a member of the Won - o Circle, Cheongheo worked and trained with other monk sculptors from the same circle including Wono, Gakmin and Hengsa in Jeolla-do and Chungcheong-do Province of Korea. Starting with collaboration with Hyunjin, a celebrated monk sculptor of the 1610’s from Gyeongsang - do Province, Chengheo worked with other monk sculptors from Hyunjin Circle such as Beophyeon and Hyeonyun to create the Bodhisattva Statue of Naewonam and Amitabha of Simwoosa Temple. It is estimated that Cheongheo continued his artistic career in Gyeongsang - do Province around 1640 when the statues were made. Given that no major artistic activity by Wono Circle except for those by Cheongheo has been identified since the 1610’s, relocation of Cheongheo might be linked with the decline of Won - o Circle supposedly caused by the death of Wono, his master, and retirement of senior monk sculptors. The Bodhisattva of Naewonam Hermitage made in Gyeongsang - do Province, one of Cheongheo’s earliest works demonstrates signature traits of Buddhist statues of the early 17th century as well as splendid yet subtle expressions of the earlier times. As such, the Bodhisattva of Naewonam Hermitage holds great significance as the statue embraces Cheongheo’s profound understanding on Buddhist statues and considerable potential as a sculpt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文化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