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호시전』의 사무사(思無邪) 해석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 of ‘Having No Depraved Thoughts(思無邪)’ in the CiHuShiChuan)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3.12
35P 미리보기
『자호시전』의 사무사(思無邪) 해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양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양명학 / 71호 / 5 ~ 39페이지
    · 저자명 : 이동욱

    초록

    이 논문은 송대(宋代) 양간(楊簡)의 『자호시전』에 나타난 ‘사무사(思無邪)’ 해석이 가진 시경학(詩經學)의 특징과 의미를 분석하고, 양간의 심학(心學)이 『시경』 해석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이 논문에서는 남송(南宋) 시기 시경학의 세 분파를 형성한 주희 『시경집전(詩經集傳)』』, 여조겸 『여씨가숙독시기(呂氏家塾讀詩記), 양간 『자호시전(慈湖詩傳)』의 “思無邪”에 대한 입장과 해석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이 논문은 다음의 세 가지 결론에 도달했다.
    첫째, 양간의 『자호시전』은 『시경』에 대한 체계적이고 독자적인 접근법과 시해(詩解)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주희, 여조겸과는 다른 시경학을 정립했다. 양간은 『시경』의 모든 시는 도심의 발현 혹은 회복이라고 해석함으로써 주희의 음시설(淫詩說)에 반대했다. 그리고 『시서』를 비판함으로써 여조겸의 한당(漢唐) 경학에 대한 묵수적 태도에 반대했다. 심학 계열 학자였기에 지금까지 양간의 경학은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양간의 경학은 당대의 주희, 여조겸에 비견할 수 있을 정도의 체계성과 독자성을 가지고 있다. 양간의 경학 체제에 대한 조명은 송대 신유학의 지평을 확대할 뿐만 아니라, 특히 심학의 사유를 확대하고 심화시킨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자호시전』은 시해(詩解)에서 ‘도심(道心)’ 개념을 핵심적으로 활용한다. 도심(道心)은 인간 마음의 본래성인데, 양간은 사람들의 일상적이고 일반적인 마음인 인심(人心)과 도심(道心)을 구분할 필요가 없다는 ‘인심즉도심(人心卽道心)’을 강조한다. ‘인심즉도심(人心卽道心)’에 근거하여 『자호시전』은 시(詩)에 나타난 감정의 다양성과 역동성에서 순수한 선의지를 포착하려고 한다.
    셋째, 『자호시전』의 ‘도심(道心)’ 개념과 ‘인심즉도심(人心卽道心)’ 명제는 육구연이 주희와 대립한 주제 중 하나인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 그리고 왕수인이 심학의 핵심은 인심도심(人心道心)이라고 한 생각과 연결되며, 이러한 연결에서 『자호시전』의 심학적 경학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analyse the features and implications of ‘having no depraved thoughts(思無邪)’ interpretation in Yang Jian(楊簡)’s CiHuShiChuan(慈湖詩傳) and to explore how Yang Jian brings his XinXue(心學) into the ShiJing(詩經) commentary.
    To this 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s and analyses the stance and interpretation of ‘having no depraved thoughts’ in Zhu Xi(朱熹)’s ShiJingJiChuan(詩經集傳), Lu Zuqian(呂祖謙)’s DuShiJi(讀詩記), and Yang Jian’s CiHuShiChuan(慈湖詩傳), which formed the three branches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poetics. Through this analysis, the paper reaches three conclusions.
    Firstly, the CiHuShiChuan presents a distinct poetics from that of Zhu Xi and Lu Zuqian, as it offers a systematic and independent approach to interpreting poetry. Yang Jian opposes Zhu Xi’s theory of obscene poetry by interpreting all poetry of the ShiJing as a manifestation or restoration of the moral mind(道心). He also opposes Lu Zuqian’s taciturn attitude towards the study of Confucianism classics during the Han and Tang dynasties by critiquing the Poem preface(詩序). As a scholar of the XinXue, Yang’s poetics has not received the attention it deserves.
    Secondly, the CiHuShiChuan places great emphasis on the concept of 'the moral mind'. The moral mind is the nature of the human mind, and Yang Jian emphasizes that there is no ne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human mind(人心), which is people’s everyday and common mind, and the moral mind(道心): “the human mind is the moral mind(人心卽道心)”. From the position of “the human mind is the moral mind”, the CiHuShiChuan tries to find out the good will of the human mind in the diversity and dynamism of human emotions expressed in poetry of the ShiJing.
    Thirdly, the CiHuShiChuan’s notion of “the moral mind” and the proposition that “the human mind is the moral mind” are connected to one of the themes of Lu Jiuyuan(陸九淵)’s confrontation with Zhu Xi, the theory of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and Wang Shouren(王守仁)’s statement that the core of the XinXue is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and it is in this connection that the study of Confucianism classics in the XinXue’s way is show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