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기 기비사의 건립과 기능 (The establishment and function of Gibisa Temple during the period of Goryeo Dynast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2.02
30P 미리보기
고려시기 기비사의 건립과 기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 수록지 정보 : 항도부산 / 43호 / 147 ~ 176페이지
    · 저자명 : 조명제

    초록

    ‘만덕사지’라는 명칭은 충혜왕의 서자인 석기를 유배하였던 만덕사를 부산의 만덕동에 있었던 사찰로 본 추론에서 비롯되었다. 그러나 전근대에 만덕사가 전국에 몇 군데나 존재하였고, 고려시기에는 백련결사의 중심지였던 강진의 만덕사가 유명하다. 정사 기록만으로 석기가 유배된 만덕사가 어디인지를 알 수 없고, 부산에 있던 사찰이라고 볼 수 있는 근거가 없다. 더욱이 발굴 조사를 통해 기비사가 새겨진 명문 기와가 나왔기 때문에 사찰의 명칭은 만덕사가 아니라 기비사가 옳다.
    기비사는 『장아함경』에 붓다가 설법하던 곳에서 유래한 사찰 명칭이다. 이와 비슷한 명칭은 경주에 세운 기원사, 기림사 등이 있으며, 사원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의도에서 비롯된 작명이다. 1178년에 기비사 주지가 금산사 향완을 조성하는 데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으므로 기비사는 유가종에 소속된 사찰이었다.
    기비사가 건립된 배경은 후삼국 전쟁기에 동남해 연안과 낙동강 하류 지역이 갖는 전략적 중요성과 관련된다. 고려왕조는 후삼국을 통합한 후에 후백제와 세력 다툼을 벌였던 낙동강 하류 지역을 안정적으로 지배하고, 지방 세력을 통제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비사를 건립하여 주지를 파견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기비사는 동래와 구포를 연결하는 고개에 있으며, 육로와 수로를 통해 부산, 양산, 김해로 이어지며, 나아가 동남해 항로로 연결되었다. 기비사는 이러한 교통 네트워크와 연관된 원의 기능을 갖고 있었다. 나아가 기비사는 빈민 구제, 여행자를 위한 다양한 사회사업을 수행하였으며, 그러한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보를 운용하였다. 한편, 김해의 낙동강 하구(현재 부산 녹산)에 일본과의 외교 기능을 담당하던 동남해도부서가 설치되었고, 일본과의 불교 교류가 인근 지역에서 이루어졌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면 기비사는 일본과의 불교 교류에 일정한 기능을 수행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영어초록

    The name of Mandeoksa(萬德寺) Temple Site originated from the record in Goryeosa(高麗史) that Seokgi(釋器), the son of King Chunghye, was exiled to Mandeoksa Temple. However, in the pre-modern period, there were several temples called Mandeoksa Temple nationwide, and Mandeoksa Temple in the Goryeo Dynasty was famous as the center of a religious association led by Yose(了世) in Gangjin, Jeollanam-do. Therefore, there is no basis for considering Mandeoksa Temple, to which Seokgi was exiled, as a temple in Busan. Moreover, the claim that name of temple is Mandeoksa cannot be valid as a tile engraved with Gibisa(祇毗寺) Temple was uncovered by an excavation team of the Busan Museum, The origin of the name, Gibisa Temple, can be traced back to the place known as where Buddha preached as described in Digha Nikāya. This is also the case with the name such as Giwonsa(祇園寺) Temple and Girimsa(祇林寺) Temple, which were built in Gyeongju during the period of Silla dynasty. In 1178, the chief monk of Gibisa Temple played a central role in creating the incense burner of Geumsansa(金山寺) Temple. Considering this, Gibisa Temple can be seen as one of the temples that belonged to the Yuga Order(瑜伽宗).
    The background of the construction of Gibisa Temple is related to the strategic importance of the southeast coast and the downstream Nakdonggang River during the Later Three Kingdoms War. The Gibisa Temple seemed to be built by the active support of the new regime, Goryeo Dynasty as an attempt to control the area of down the Nakdonggang River, the former centre of power struggle between Goryeo and Hubaekje.
    Gibisa Temple is located on a pass that connects Dongnae and Gupo, and leads to Busan, Yangsan, and Gimhae through land and waterways, and further connected to the Southeast Sea route. Gibisa Temple functioned as lodgings, which can be attributed to its location associated with the transport network, Furthermore, Gibisa carried out various social projects for the poor and travelers, and had a financial foundation for implementing such projects. Meanwhile, it is presumed that Gibisa Temple performed functions related to Buddhist exchanges with Jap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항도부산”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