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아동문학비평사 시고(試攷) (The Criticism history for Korean Children's literatur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5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0.05
57P 미리보기
한국아동문학비평사 시고(試攷)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동문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아동문학연구 / 18호 / 97 ~ 153페이지
    · 저자명 : 최지훈

    초록

    한국아동문학비평사는 1950년 6월을 기점으로 일단 전기(前期)와 후기(後期)로 나눈다. 그것은 광복으로부터 6.25전쟁 발발 때까지의 해방공간 5년을 일제 강점기의 비평사의 연속으로 본 것이며, 그 이후는 완전 분단 상태로 반도 남쪽만의 비평사이기 때문이다. 전기를 다시 비평 맹아기, 오욕수난기로, 후기는 비평모색기, 기초 형성기, 비평전문화기, 비평발전기 등으로 세분했다.
    비평 맹아기(1908-1925)는 최남선(崔南善)의 『소년(少年)』이 창간될 때부터 소파(小波)의 『어린이』지를 비롯한 어린이 잡지가 속출하기 시작하던 1920년대 전반까지이다. 이때는 비평의 맹아라 할 수 있는 투고 작문을 꼲고 평하던 글을 발견할 수 있었던 때이다.
    오욕 수난기(1925-1950)는 일제강점기 후반에서 해방공간 5년간을 포함한 기간으로, 이 시기에 본격적인 비평과 이론이 전개되기 시작했다. 이는 주로 문학을 사회주의 운동의 방편으로 삼고 이 이념을 문학 가치의 기준으로 삼고자 하던 주장(카프 문학 활동)이 일색을 이루었다. 1930년대 후반부터 광복이 되기까지 10여 년간은 일제의 탄압으로 우리말과 글로 된 모든 문학 활동이 정지된 암흑기여서 비평도 사라졌다가 광복이 되자 카프의 활동이 그대로 복원되어 나타났다.
    비평모색기(1950-1967)는 6.25전쟁과 전후기로 일컬어지는 1950년대와 그리고 4.19와 5.16으로 시작되는 60년대 전반기의 비평 활동이다. 이때는 남북이 적대적인 관계로 완전한 분단을 이루고, 국토와 국민의 삶이 완벽하게 피폐해진 때다.
    50년대 전반은 비평이 사라진 진공 상태로 있다가 50년대 후반부터 연평, 계평, 월평 등의 시평 위주로 발표된다. 이때는 ‘반공’ 이념이 절대적인 사회와 국가의 가치로 지배되던 때로서 전 시기에 있었던 사회주의 이념은 완전하게 배격되었다.
    이런 때에 아동문학 전문지로서 비정기 간행물인 《아동문학》이 약 10년간 10호까지 발행되어 아동문학 기초이론의 전개를 중심으로 아동문학 비평의 재건이 시도되었다.
    기초형성기(1967-1976)에는 전국에 초등교육을 맡을 교사 양성 기관으로서 국립 교육대학이 설립됨으로써 아동문학도 학문적 연구의 대상이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비평 문학의 토대가 되었다. 서민 문학론이 등장하면서 열도 높은 논쟁이 전개되었다. 그것은 이재철의 「아동문학개론」과 같은 탁월한 아동문학연구서와 이오덕의 「시정신과 유희정신」과 같은 평론집, 무크지 《아동문학사상》와 월간 《횃불》과 같은 아동문학 비평 전문지가 간행되었기 때문이었다.
    이 시기(1967-1976)는 아동문학 연구와 함께 그 이전의 어느 때보다 활발하게 비평이 전개되었다. 그 대표적 연구자와 논객들은 이재철, 박경용, 임헌영, 오규원, 김요섭, 이상현, 유경환, 이오덕 등이었다.
    비평 전문화기(1976~1990)는 계간 아동문학을 위한 비평 전문지 <아동문학평론>가 창간된 1976년을 시발점으로 한다. 이는 이 논문이 발표되는 2010년 현재까지 35년간 계속 발간되고 있는 아동문학사 초유의 전문잡지이면서 비평전문지다. 이 잡지의 존재는 아동문학을 전문으로 하는 평론가가 존재하게 하였으며 아동문학을 위한 비평이 상존하게 했다. 그래서 이 시기에는 신진 전문 평론가들이 잇달아 나타나 한국아동문학 르네상스라고 할 전성기를 열어가는 세력이 되었다.
    이 시기에는 아동문학을 학문의 대상으로 연구하는 신진학자들도 여러 대학에서 배출되었으며 중요한 논문들이 계속 생산되었고 한국아동문학학회가 조직되어 오늘까지 활동하면서 한국 아동문학 연구와 비평의 중심이 되고 있다.
    비평 발전기(1990~현재)는 한국 아동문학의 르네상스로 일컬어질 만한 시기였다. 특히 이 시기에는 동화문학이 융성해졌고, 아동문학 전문지가 속속 창간되었으며 아울러 아동문학을 전문으로 하는 젊은 전문 평론가가 대거 등장했다. 이 시기의 특징으로 ①아동문학 평단의 여성화 추세가 가속화했다. ②많은 젊은 어머니들이 아동도서에 대한 모니터 능력이 탁월해졌다. ③사업이 된 독서지도 운동이 전개되어 비평의 바탕적 분위기를 형성했다. ④ 아동문학 전문지의 족출(簇出)과 좌우 이념적 평단이 형성되었다.

    영어초록

    The Criticism history for Korean Children's literature[C.h. 한국아동문학비평사} is divided the Former term and the Latter term from June 1950.
    I consider that C.h of 5 years, from the Liberation(Aug. 1945) to the Korean war(Jun. 1950)[to be called 'the time of liberation(해방공간)'] is continuity of C.h under the Japanese imperalistic rule. And I consider that C.h after the Korean war is distinguished from C. h before it C.h because of only the Southern Korea without the N. K.
    C. h of the Former term [the Former] is subdivided in two, the Bud term and the Suffering term.
    C. h of the Latter term[the Latter] is subdivided into four, the Groping term, the Forming Basic term, the Professional Criticism term, the Developing Criticism term.
    The Bud term(1908-1925) is from when Namsun Choi published the 1st edition of magazine 'Sonyun[boy]' (1908) to the ist half of 1920s when all sorts of magazine headed by 'Orini[Children]'(by Jungwhan Bang) for children were published. This term is when the comment for contributions are found that the words is called buds of review(or criticism).
    The Suffering term(1925-1950) is the last term of the Japanese imperalistic rule and 'the time of liberation'. This term was beginning to be developped in earnest criticism and literature theory.
    Such operations are exclusively occupied by KAPF that the critics who use the literatures as an instrument for the socialism or communism movement make the socialism the standard of the value of literature.
    About 10 years, from the latter half of 1930s to the Liberation of Korea(1945), Korean literatures were the dark term because could not use the Korean words and latters by the Japanese imperalistic rule. Therefore the criticism of literature were disappeared. But when Korea became independent from the Japanese imperalistic rule, the operations of KAPF were intactly restored to the former state.
    The Groping term.(1950-1967) is the time of the criticism works from the Korean War(1950) to the first half year of 1960s that began with the 4.19(the democratic revolution) and the 5.16(the military coup).
    This term was the days when the Korean Peninsula was completely divided into two domains on South and North, and S. Korea have made hostile relations with N. Korea. And the term was the days when the life of people have thoroughly become impoverished.
    On the postwar days -the first half of 1950s, there were not the criticism, but there were the views of year or month or season.
    On this term, the national worth and ideology was only 'The Anti-communism'. To say nothing of communism, even any socialism cann't be admitted, because anti-communism was the national doctrine or dogma in the boundary of Korea society.
    At such a time, a mook 'Adong-Munghak(아동문학/ 'the Children's literature') that had been published vol-number from 1st to 10th for about 10 years. These magazines had attemptted rehabilitation of the criticism of the Korean Children's literatur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basic theory.
    On the Forming Basic term(1967-1976), the Children's literature became the subject of study, because there are founded the national teacher's collages for elementary education on all parts of country. And the criticism of the children's literature was based on these situations.
    On this term, there was full of controversial ardor according to advent of the literature for the humble classes[서민문학].
    A cause of these states of the controversy was because of prominent works to be published. There were books of research about the children's literature as Jeachul Lee's 'The survey of Children's literature[아동문학개론]', essays in criticism as Oduk Lee's 'The spirit of Poet and the spirit of Pastime[시정신과 유희정신]', and the children literary journals as mook "Adongmunhak Sasang[아동문학사상/ the thought of Children's literature]" and monthly "Hwetbul[횃불 / the torchlight]" etc.
    And then, on this times(1967-1976), there were more activity developed work of research and criticism for the children's literature than former times. The representative learned men(scholars) and critics(essayist) were Jaechul Lee, Kyung-yong Park, Hunyung Im, Kyuwon Oh, Yosup Kim, Sanghyun Lee, Kyungwhan Yu, Oduk Lee etc.
    the point of beginning of The Professional Criticism term(1976~1990) is 1976 when the quarterly critic "Criticism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아동문학평론]" was issued its 1st number.
    This quarterly is really unexampled in the criticism history of Korean as the children literary and criticism journals that is issuing for 35 years since founded 1976 to 2010 when I read this thesis now.
    Being of this quarterly is to be the critics to make subject of criticism about the children's literature, and to be still in being the criticism for the children's literature.
    Then, on this term, there have appeared in succession new critics and they became a leading group to be the palmy days to be called 'as the renaissance' for the children literature.
    On this term, several collages or universities have come forward in succession rising scholars who study for the children's literature, and they have produced many good theses. And It has organized The Korean Children's Literature Society and it is a centeral service of learning and criticism for Korean children literature up to these days.
    The Developing Criticism term(1990~this day) is the time as entitled to call 'the renaisance of children's literature'.
    Specially, the literature of juvenile story has been prosperous, many magazines of the children's literature have one after another issued theirs first numbers, and the young critics for the childtren's literature have plenty appeared on the literature stage.
    The keynote of this term;①On the stage of the criticism for the children's literature, there are acceleratedly increased women.
    ②Many young mothers are excellent ability of monitoring the books of children.
    ③According to 'movement of reading & reading guidence' to be produced on a commercial basis, the fundamental surrounding are formed for acts of the criticism.
    ④There are highly productive of magazines of the children's literature, and they have formed the ideological critics stage of the Right and Lef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