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회사에 나타난 청소년 사역 (Historical Research of the Youth Minist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1.02
33P 미리보기
교회사에 나타난 청소년 사역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선교와신학 / 27호 / 13 ~ 45페이지
    · 저자명 : 김영동

    초록

    우리는 그 동안 서구 교회의 약화, 쇠퇴 내지는 몰락에 대해서 많이 들어 왔다. 서구 교회와 제3세계 교회를 수평적으로 비교하기가 어렵지만 우리 한국 교회가 유럽을 이어 미국에서 나타나는 교회의 약화 추세를 따라 가는 듯한 현상을 부인할 수 없을 것 같다. 유럽 교회가 텅 비고 유럽에 있는 신학교들이 학생이 없어 폐쇄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고 미국에서도 그런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으니 한국 교회라고 안전하다고 장담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한국 교회 미래 역사와 운명을 결정짓는 다음 세대 청소년 선교는 반기독교 정서가 팽배하며 자본주의와 다원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이 지배적인 가치관을 제공하는 사회 문화에서 중차대한 과제임을 인정한다. 종교 다원주의와 혼합주의가 복음의 정체성과 선교를 위협하는 시대에 과연 청소년 선교는 어디로 가야 하는가? ‘웹2.0세대’ 혹은 ‘미전도 세대’로 불리는 청소년 세대를 향한 사역은 과거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고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과거는 현재를 직시하게 하는 거울이요 미래를 열어 가는 자원이라 할 수 있다. 역사가 카(E. H. Carr)는 역사의 개념 정의를 ‘과거와 현재의 만남’이라 했다. 따라서 과거 교회사 속에 나타난 청소년 선교(혹은 사역)를 이해하는 것은 시의적절하며 의미 있는 일로 생각된다.
    이러한 시대적 절박한 도전 앞에서 본 논문에서는 과연 우리는 청소년 선교를 어떻게 정의하고, 그 역사의 흐름은 어떠했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교회사 속에 나타난 청소년 사역에 대한 자료가 빈약하여 제한된 자료로 연구를 하였지만, 본 논문의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우선 청소년 선교 운동의 역사를 통해서 청소년이 선교의 대상으로서는 물론 선교 주체로서 점점 그 중요성이 더해진다는 점이다. 두 번째 결과는 19세기 이래로 발전되어 온 청소년 선교 운동, 특히 대학생 선교 운동의 역사적 교훈이다. 그 역사적 교훈은 하나님은 구원 역사에 쓰실 사람들을 부르시고 훈련시키셨다는 점, 기독 학생 운동은 세계 선교라는 뚜렷한 이상과 신학적 정체성을 세우고 그것을 이루기 위해 순교 정신으로 헌신했다는 점, 하나님의 역사에 쓰임받는 조직은 성령 충만했고 자발적이며 창조적이며 깨어 있었다는 점, 기독 학생 운동은 복음적인 교회 연합 운동에 적극 동참한 것과 평신도 선교 사역 및 사회 개혁과 문화 창달에 기여한 바가 크다는 점 등이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한국 교회가 청소년 선교에 더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Korea’s population is forecast to decline beginning in 2020 due to its low fertility rate. If the birth rate stays at its current level, it will drain the nation’s labor pool and create demand for an improved social safety net to cope with the aging population. Not just social problem, but also the challenge to church and mission will be caused due to the declining population, especially because the children and youth population will be reduce rapidly. More critical point for the future Korean church is so to speak ‘the unreached generation’. This means the new generation, who are no more confess christian faith, even though their parents are committed christians. That’s why we have to focus on the theme of youth ministry.
    In this research I am studying the historical context of youth ministry, because I want to find out how youth ministry be developed through the christian and missionary history in oder to help church minister and youth worker understand how youth ministry should be defined theologically and so that they facilitate their youth ministry mor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The way we outline the historical context of youth ministry is greatly dependent on how we define youth and youth ministry. It is common that youth means teenager, but this research takes the position that youth is to designated as the period of human development sociologically defined as adolescence. For the practical purpose this research takes teenager and student as youth. It also accepts that youth ministry could be defined both youth evangelism and youth education. Youth ministry has multi-dimensional work, on the one hand, it does intentionally evangelize youth and student, on the other hand, it give commitment to the educational components. Youth ministry has to be both missional and educational - concerned with both evangelism and discipleship. Although the history in a sense shows the dichotomy between missions and education, evangelism and discipleship, it is false theological dichotomy. The purpose of youth ministry cannot be one-sided. Whil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is holistic perspective as it is revealed in the christian history, it is equally important to reflect on the impact this perspective has on contemporary youth ministry and on the future history of youth ministry.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two main chapters. At first, it deals the history of youth ministry as evangelism and education. Secondly, the history of the christian student missionary movement is handled as the pivotal power of the modern protestant missionary movement.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history of youth ministry is to be studied mainly by focusing on the English and American missions. Next, the section of the history of youth ministry as evangelism and education use Mark W. Cannister’s research, “Youth Ministry’s Historical Context: The Education and Evangelism of Young People,” (in : Kenda Creasy Dean, Chap Clark, David Rahn(ed.), Starting Right : thinking theologically about youth ministry, Grand Rapids, MI : Zondervan Publishing House, 2001, 77-90) as the primary source.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firstly, youth is not just the object of youth ministry, but also its subject. secondly, youth as the agent of God’s mission is filled with Holy Spirit and trained as disciple, and committed themselves totally and voluntarily. Youth ministry has great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e ecumenical movement, the lay missionary work, and social, cultural renew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선교와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