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문학사와 고려속악가사 (Literary History of the North Korea and Their Viewpoint about Goryeo-Sogakgas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08.05
28P 미리보기
북한문학사와 고려속악가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19호 / 67 ~ 94페이지
    · 저자명 : 조규익

    초록

    이 논문은 고려속악가사(이하 ‘고려속가’로 약칭)에 대한 북한문학사의 해석과 이념적 지향성을 분석한 결과다. 표면적으로 볼 때 고려속가는 민중의 노래다. 그러나 고려속가가 궁중에 도입, 궁중악으로 개작된 이상, 그것들을 지배계층 노래의 한 부분으로 볼 수도 있다. 사실 국문학 연구가 시작된 이래 남북한의 학자들은 그 담당계층을 ‘민중’으로 보는 오류를 범했다. 상당수의 남한 학자들은 그것들을 ‘속요’라 하여 대중가요와 같은 부류로 보고 있다. 물론 그것이 ‘속악’인 이상 우리의 전통적 정서나 고유의 노래 관습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것은 사실이다. 그렇다 해도 곡조와 가사가 통합된 실체로서의 고려속가가 액면 그대로 민중의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적어도 고려속가에 대해서만큼은 북한의 학자들이 비교적 온당한 견해를 갖고 있는 듯하다. 물론 주제 해석에서 지나치게 이념 중심적인 논리를 펴고 있는 점은 흠이라 할 수 있으나, 고려속가들이 ‘곡조와 가사의 통합체’라는 전제 위에서 논리를 전개했고, 그런 전제로부터 담당계층ㆍ형태ㆍ미학 등에 관하여 비교적 타당한 결론을 도출했다는 점은 두드러진다.
    북한의 학자들은 도시의 평민층, 특히 여인들과 일부 봉건 관료들, 그리고 이름을 알 수 없는 사람들을 고려속가의 담당계층으로 꼽았다. 특히 사회적으로 천대를 당하던 당대 직업 예술인들을 포함하여 도시의 평민들 혹은 더 나아가 작자계층의 한 부분을 차지하던 여성들이 현실에 대한 불만과 불평을 노래에 표현했으며, 그것은 특정 계층에 국한되지 않고 보다 광범한 사회계층에 확산됨으로써 주제의 확장은 물론 내용의 다양성이나 복잡성을 보여주게 되었다는 것이 그들의 생각이다. 존재양상이나 형태의 면에서 그들은 고려속가를 분명한 노래로 파악함으로써 시종일관 시문학의 관점에서만 보려는 남한의 학자들보다 정확한 인식태도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북한의 학자들은 그들이 속해있던 체제의 한계를 벗어날 수 없었던 만큼 고려속가의 주제나 이념을 해석하는 문제에서는 어쩔 수 없는 한계를 노출했다. 노래들의 화자를 ‘봉건 통치 집단으로부터 지배를 당하는 무산계급 인민들’로, 노래되는 내용이나 주제를 ‘봉건 통치배들에 대한 저항이나 투쟁’으로 보는 것이 북한 학자들의 일반적인 관점이다. 고려속가와 같이 아무리 오래 된 노래들일지라도 그것들은 자신들이 현재와 미래에 이룩해야 할 ‘혁명과업’의 수단으로 존재해 왔다는 것이다. 그들이 담당계층이나 장르의 현실적 존재양상을 객관 타당하게 파악하고 있다 해도, 이면적 의미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이념적 경직성을 벗어나지 못하는 한 恣意的일 수밖에 없다. 이 점이 바로 고려속가에 대한 북한문학사의 해석이 보여주는 한계이자, 남북한 학자들이 격의 없는 대화를 통해 풀어가야 할 현실적인 문제점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was producted from researching about North Korea's viewpoint of Goryeo-Sogakgasa(abbreviation : Goryeo-Sog'ga), centering around their interpretation and ideological directivity. Outwardly, Goryeo-Sog'ga is a genre of popular songs. However, once the songs were introduced into the Royal Court and revised as their court music, we can't help regarding Goryeo-Sog'ga genre as music of the ruling class at that time. Actually, since researching about the Korean literature has been started, South and North Korean scholars made a mistake to regard the class in charge of Goryeo-Sog'ga genre as mass of the people. Especially most of the South Korean scholars call it Goryeo-Sogyo. It means that they regard it as something like popular song genre. Since it is Sog'ak, it is true that we are not free from our traditional emotion or peculiar singing custom. Although it is true, the Goryeo-Sog'ga genre as synthetic body of tune and lyric is not masses' property at its face value. Only about Goryeo-Sog'ga genre at least, North Korean scholars have comparatively reasonable opinions. Of course, we can say it is a kind of defect that they spread their ideology-centered interpretation. However, they developed their logic on the presupposition that Goryeo-Sog'ga genre is a synthetic body of tune and lyric, and drew a comparatively proper conclusion about the class in charge, form, and aesthetics, from the presupposition. The North Korean scholars took a count of the class of common people in a city, especially women and some old fashioned officials, and anonymous people as the class in charge of Goryeo-Sog'ga genre. Above all the classes, the common people including professional artists treated contemptuously at that time and women occupied in the class in charge disclosed their dissatisfaction and complaint about social reality into their songs. Their dissatisfaction and complaint expressed in the songs were disseminated throughout all classes. Recognition attitude of North Korean scholars who regarded Goryeo-Sog'ga genre as songs clearly is more accurate than South Korean scholars. But North Korean scholars disclosed their limits when they interpreted the themes and ideology of Goryeo-Sog'gas, because they couldn't get out of the limits from their ruling system. It is North Korean scholars' general viewpoints is to interpret the speaker in the songs as proletariats, and song's contents and themes as struggles and fights against the old-fashioned officials. However old any songs like Goryeo-Sog'ga may be, they have existed as a mean of revolution task for themselves to accomplish right now or in the future. Although they understand real aspect of their existent being properly, interpretation about inside meaning of the songs can't help being arbitrary. This is a limit of literary histories of the North Korea about Goryeo-Sog'ga, as well as a real problem that North and South Korean scholars have to solve through frank dialogu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온지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