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新羅四天王寺 建立過程 再考 (Reconsideration on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Sacheonwangsa Temple in Silla)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9.04
14P 미리보기
新羅四天王寺 建立過程 再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건축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건축역사연구 / 28권 / 2호 / 77 ~ 90페이지
    · 저자명 : 이정민, 미조구치 아키노리

    초록

    신라사천왕사는 삼국통일 직후인 679년에 낙성된 사원이다. 본 연구는, 근년 사천왕사지 발굴조사보고서 등을 통해 대두된, ‘선대금당’의 존재를 전제로 하는 제 편년관을 건축사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새로 확인된 금당지 내 선축기단유구의 축조시기와 성격에 대한 재해석을 중심으로 사천왕사 건립과정 을 재고찰한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선덕왕지기삼사조의 ‘創’은, 640년 이전 안함에 의해 입안되었던 사천왕사 건립이, 문무왕 재위초(661~) 비로소 논의를 거쳐 확정된 사실을 전하는 것으로 추찰된다. 2)발굴조사 이후의 제설은 어느 것이나 ‘선대금당’의 존재를 전제로 하고 있으나, 금당지 내 선축기단유구 위에 지붕과 기둥·벽을 갖춘 항구적인 전신건물이 세워졌다고 볼만한 확실한 근거는 사실상 없다. 선축기단유구는 670년의 ‘以彩帛營寺’ 즉 ‘祖創’과 관련된 것으로서, 조영계획이 정식 확정되기 이전에, 그러나 나중에 금당건립 시 쓰일 것을 전제로 하여 축조된 기단의 잔존으로 추찰된다. 3)정식 조영계획에 입각해 ‘攺刱’에 착수한 것은 670~672년 사이로 판단된다. 이 때, 당초의 가람중축선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부지 상 평탄부 남한을 경계로 하여 북으로, 새로 확정된 가람일곽과 일곽 내 금당의 상대위치를 전개·구현한 결과, 선축기단과 금당 양자의 중심은 남북으로 어긋나게 된 것으로 추찰된다. 4)679년의 사천왕사 낙성은 670년의 ‘以彩帛營寺’ 즉 ‘祖創’에 대한 ‘攺刱’의 완결로 이해된다. 금당 차양칸 설치는 당초 계획에 없었던 것으로 보이나, 금당·익랑 접속부 관계로부터 볼 때, 익랑 도리칸 분할보다 이른 단계에서 결정된 것이 분명하며, 익랑을 매개로 하여 가람 중축선상 금당의 남북위치와 동서회랑의 도리칸 분할은 밀접한 관계를 맺는 바, 차양칸 설치의 시종은 사천왕사 낙성(679) 이전의 일로 판단된다.

    영어초록

    The Sacheonwangsa temple in Silla was completed in 679, just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In recent years, we have been critically considering the history of the chronology based on the existence of ‘Geumdang of the previous generation’, which has emerged through the research report of the Sacheonwangsa temple. It is the one to reconsider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Sacheonwangsa temple centering on the re-interpretation of the construction time and the character of the first stage of the foundation which was confirmed from within the Geumdang sit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The “Chang(創) of Sacheonwangsa temple” in [Three Affairs that Queen Seondeok had already known] that it is presumed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Sacheonwangsa temple, which was designed by Anham before 640 years ago, will convey the fact that the first of the King Munmu's reign (661∼) has been finalized after the initial discussion. 2)Although the theories after excavations are predicated on the existence of ‘Geumdang of the previous generation’, there is no reason to believe that a lasting predecessor building with roof and pillar walls on predecessor buildings is considered to have been built. The foundation was associated with the “build a temple out of coloured silk(以彩帛營寺)” i.e. ‘Jochang(祖創)’ in 670 years before the construction plan was formally finalized. However, it is presumed that the remains of the platform construction on the premise that it will be used on the construction of Geumdang. 3)The decision to ‘rebuilding(攺刱)’ based on a formal construction plan is determined to be from 670 to 672 years. The maintaining of the original cathedral axis line, to the north on the boundary of the southern limit of the foundation flat portion, the result of developing and embodie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Geumdang in the newly determined cathedral unfold and embody, the center of the building base and Geumdang, it is presumed that the centers of them are divided into North and south. 4)The completion of the Sacheonwangsa temple in 679 is understood as the conclusion of ‘rebuilding’ to “build a temple out of coloured silk” i.e. ‘Jochang’ in 670 years. The pent roof of the Geumdang was initially considered not to be in the plan, but it is judged to be before the completion of the Sacheonwangsa tem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건축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