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3‧1운동과 감옥에 갇힌 여성 지식인들 - 최은희의 자기서사와 여성사 쓰기 (The March 1st Movement and the Female Intellectuals Behind the Bars - Self Narratives and Women’s History of Choi, Eun-Hee)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8.12
23P 미리보기
3‧1운동과 감옥에 갇힌 여성 지식인들 - 최은희의 자기서사와 여성사 쓰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85호 / 21 ~ 43페이지
    · 저자명 : 장영은

    초록

    이 글은 조선일보 최초의 여기자로 활동했던 최은희가 해방 후 여성독립운동사 서술과 3·1운동 기념사업 주도로 사회적 입지를 확보해가는 과정을 추적했다. 최은희는 1919년 3·1운동 참가로 수감 생활을 마친 후 일본 유학을 거쳐 조선일보에 입사한다. 한국 최초의 민간지 여기자로 취재에서 두각을 나타내던 최은희는 1932년 조선일보사를 떠난 후 해방 전까지 공적인 영역에서의 활동을 일체 중단한다.
    해방 직후인 1945년 9월부터 최은희는 여권실천운동자 클럽 조직, 여성신문 고문 취임, 대한여자국민당 서울시 당수 취임 등의 활동을 펼치며, 사회적 활동을 재기하지만 최은희가 적극적으로 추진했던 여성입각 운동은 좌절되었다. 임영신, 박순천 등의 여성 정치인들이 내각에 기용되지 못하는 상황에 분노한 최은희는 장면 정권을 향해 강도 높게 비판하는 논설을 발표하기도 했다. 하지만 최은희가 사회적 영향력을 미친 영역은 다른 곳에서 발견된다.
    1958년 정부가 주최한 “3·1운동 사건 사료 현상 모집”에 응모한 최은희는 사재(史材) 편에 당선된다. 1967년에는 자신을 비롯한 3·1운동에 참가했던 여성들을 “3·1 할머니”라고 지칭하며 이들과 함께 3·1운동 공원 조성식 행사를 개최하기도 했지만, 1975년 결국 무효화되고 만다. 하지만 최은희는 한국여성운동사를 집대성하겠다는 계획을 실천했다. 1973년 『조국을 찾기까지-1905년-1945 한국여성활동비화』를 발표했고, 1980년에는 자서전 『여성전진 70년-초대 여기자의 회고』를 출간했다. 한편 최은희는 1983년에는 조선일보사에 평생 모은 재산을 기탁하며 여기자상 제정을 부탁했고, 최은희가 사망한 1984년부터 지금까지 매해 최은희 여기자상이 수여되고 있다. 최은희는 자신의 생애와 여성 독립 운동가들을 역사에 기록했다. 여성이 자신의 삶과 시대를 증언할 수 있다면, 그 여성사는 정사(正史)가 되고, 그 정사의 집필자를 다시 역사가 기록하는 순환이 일어나는 과정을 최은희는 자신의 삶과 글쓰기로 증명했다.

    영어초록

    This paper traces the journey of Choi, Eun-Hee who was a student of Gyeongseong Women’s High School at the time she participated in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nd who also later became the first female journalist with the Chosun Ilbo. After leaving the newspaper in 1932, she stops all activities in the public eye until liberation. Starting in September 1945 which is just after Korean independence, Choi organizes a club to boost women’s rights, takes the post of a senior advisor for a women’s newspaper and heads the party for Korean Women’s Democratic Party in Seoul. Although she becomes more active, her efforts to have a woman in the government cabinet did not see success.
    Choi submitted her report to a call for essays on the March 1 movement. In 1967, Choi and other women who had taken part in the March 1 movement referred to themselves as the “March 1st grandmothers” and held events to build a memorial park but these efforts were nullified in 1975. She published in 1980 published an autobiography titled, “Seventy years of female progress – a retrospective of the first female journali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