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만주’ 표상의 조선 고대사 -1950~60년대 북한 역사학계와 고대사 연구의 지향- (Ancient History of Joseon with a “Manchuria” Representation - The Circles of Historical Studies and the Orientation of Ancient History Researches in North Korea in the 1950s and 1960s -)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3.12
42P 미리보기
‘만주’ 표상의 조선 고대사 -1950~60년대 북한 역사학계와 고대사 연구의 지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112호 / 325 ~ 366페이지
    · 저자명 : 이경섭

    초록

    북한 역사학계는 해방 이후 식민주의 역사학의 극복과 과학적인 조선사 체계를 세우려고 했으며, 한국전쟁을 경과하면서 과학원 력사연구소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할수 있었다. 그러나 전쟁과 전후 복구 시기였던 박시형 소장 체제에서는 이렇다할 성과를 내놓지 못했다. 1956년 1월 김석형이 소장으로 임명되고, 1956년 8월 전원회의 사건과 1957 년 김일성종합대학 및 과학원에서 전개된 반종파투쟁의 여파로 대다수의 근현대사 연구자들이 숙청되면서 북한의 역사학계는 새로운 전기를 맞이한다.
    가장 먼저 사회경제 구성에 입각한 조선사의 기원과 시대구분 문제를 해결하는데 집중하여 고대를 삼국시대 이전으로 획정하고, 곧이어 고조선의 중심지와 영역 문제에 대한 논의를 마무리하였다. 비슷한 시기에 박시형의 발해사 연구도 이루어진다. 이 과정 속에서 고조선-부여-고구려-발해로 이어지는 조선사 체계를 완성했으며, 해방 후 오랜 과제였던 식민사관 극복을 위한 고대 조일 관계와 광개토왕비에 대한 새로운 연구 성과들도 내놓았다.
    고조선-부여-고구려-발해로 이어지는 조선사 체계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중국 동북지역(만주)의 조사 연구가 필요했는데, 마침 소련과의 대립 과정에서 북한의 지지가 필요했던 중국은 공동 조사연구(1963~1965)를 승인했다. 이 조사연구는 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 소장인 도유호가 배제된 채 김석형의 주도로 진행되었으며, 박시형·리지린·림건상· 주영헌·김용간·황기덕 등이 참여했다. 이 조사연구를 토대로 만주를 조선 고대사 체계 속으로 편입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조선 고대사 체계가 정립되는 이면에는 남로당계와 연안계·소련계의 연이은숙청과 만주파의 승리가 놓여 있었다. 특히 8월 전원회의 사건과 반종파투쟁 이후 혁명전통을 만주 빨치산 투쟁으로 일원화시키면서 ‘만주’를 표상으로 하는 전일적인 조선사 체계가구축될 수 있었던 것이다. 이제 만주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역사의 기원이자 현재로서, 조선사와 혁명전통의 표상으로 자리매김한다.

    영어초록

    The circles of historical studies in North Korea tried to overcome colonial historical studies and establish a scientific system of Joseon history after Liberation. Going through the Korean War, they were able to conduct full-pledged researches around the History Research Institute under the Science Academy. They failed to produce mentionable results under the leadership of Director Park Si-hyeong when post-war restoration efforts were made following the war. In January, 1956, Kim Seok-hyeong was appointed as Director. There was the plenary meeting event in August, 1956. The anti-sectarian struggle unfolded at Kim Il-sung University and the Science Academy in 1957. The aftermath of these events saw a majority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ians purged, which meant that the circles of historical studies faced a new turning point.
    They first focused on addressing the origin of Joseon history and the issue of period division based on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 demarcating ancient times before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and then wrapping up discussions about the central place and territorial issue of Gojoseon right away. Park Si-hyeong conducted researches on the history of Balhae during a similar period, in which process the system of Joseon history from Gojoseon through Buyeo and Goguryeo to Balhae was completed. New research achievements were also unveiled regarding ancient Joseon-Japan relations and the tomb of King Gwanggaeto to overcome the colonial view of history that was an old task after Liberation.
    They needed to conduct a research study on the northeastern part(Manchuria) of China to support the system of Joseon history from Gojoseon through Buyeo and Goguryeo to Balhae. China needed support from North Korea during its confronta-tion with the Soviet Union at that time and accordingly gave approval for a joint research study(1963~1965), which was led by Kim Seok-hyeong with the exclusion of Do Yu-ho as the Head of Archeology at Science Academy and Director of Folklore Research Institute. Park Si-hyeong, Lee Ji-rin, Im Geon-sang, Ju Yeong-heon, Kim Yong-gan, and Hwang Gi-deok participated in it. Based on this research study, they were able to incorporate Manchuria into the ancient history system of Joseon.
    There were successive purges of the Namrodang line and the Yeonan and Soviet line and the victory of the Manchuria faction behind the establishment of the ancient history system of Joseon. They identified the revolutionary tradition with the North Korean partisan struggle in Manchuria after the plenary meeting event in August and the anti-sectarian struggle, thus establishing the holistic system of Joseon history whose representation was “Manchuria”. Manchuria was then established as the origin and present of the history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nd the representation of Joseon history and revolutionary trad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