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팔공산 ‘夫人寺’의 탄생 (The Establishment of the Buin-sa Temple in the Palgong-san Mountai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7.09
34P 미리보기
팔공산 ‘夫人寺’의 탄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62호 / 307 ~ 340페이지
    · 저자명 : 이영호

    초록

    부인사는 대구의 진산인 팔공산 자락에 위치한 유서 깊은 사찰이다. 신라시대부터 존재한 고찰로 오늘날까지 법등이 이어지고 있으며, 동화사와 함께 팔공산을 대표하는 사찰로서 중요하다.
    부인사의 창건 경위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문헌자료에서 관련 기록을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러 유적·유물들을 통해 신라·고려 시대는 물론, 조선시대에도 한 동안 대찰로서 존재하였음이 밝혀졌다. 부인사가 크게 주목된 것은 고려시대에 초조대장경 봉안과 관련해서였다. 부인사에 대한 연구도 대부분 초조대장경과 관련하여 진행되어 왔다. 그러다 보니 부인사의 처음 명칭과 창건 경위에 대해서는 큰 관심이 베풀어지지 못하였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그간 소홀히 다루어져 온 부인사의 창건과 관련된 문제들을 검토하였다.
    부인사의 명칭은 符仁寺, 夫人寺, 夫人之寺 夫仁寺, 夫仁山寺 등 여러 표기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문헌자료와 금석문, 명문와편 등을 통해 검토한 결과 정확한 표기는 줄곧 夫人寺였다. 符仁寺, 夫仁寺 등의 예도 있었지만, 이는 신라시대 부인사의 성격이 변질된 후대의 표기로 파악되었다.
    夫人寺가 신라시대의 명칭이라면, 처음 창건시의 이름은 ‘△△夫人寺’로 이해할 수 있었다. 그래서 ‘△△夫人’의 실체를 밝혀, 부인사는 태종무열왕 김춘추의 3째 딸로 김유신의 처가 된 智炤夫人의 원당으로 추론하였다. 지소부인은 말년에 비구니가 되고, 성덕왕대에 ‘부인’으로 책봉되었거니와, 부인사의 창건시기도 성덕왕대로 파악하였다. 나아가 성덕왕이 부인사를 창건하고, 부인사가 팔공산 자락에 건립된 것은, 이 지역이 김유신의 세력 기반 가운데 하나였기 때문으로 추론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seeks to examine some significant, yet neglected issues over the foundation of the Buin-sa temple. With a historic background, Buin-sa is located on the slope of the Palgong-san mountain representing mountains in Daegu. It has existed from the Silla period and, together with the Donghwa-sa temple, stands for Buddhist temples scattered in the Palgong-san area. Because of virtual absence of historical records, details of the establishment of Buin-sa have been unknown. But some historical remains and relics testify that Buin-sa was a large Buddhist temple not only for the Silla and Goryeo eras but for some length of time in the Joseon period. The temple has become the center of public attention, because it stored 6,000-volume wood-blocks for the printed Tripitaka completed in 1087. The study of the temple has thus focused for the most part on the first set of the wood-block print editions of Buddhist scriptures. As a result, its original name and circumstances over its foundation have not become of a matter of primary concern.
    The name of Buin-sa has had several different meanings in Chinese characters. But some historical records, epigraphic records, and inscriptions engraved on roof-tile pieces show that its exact meaning was the “lady [buin] temple.” If the name “lady temple” was used in the Silla period, its original name might have been understood as the “temple of lady xx.” This study infers that the temple may have been the Buddhist sanctum for prayer of lady Jiso, the third daughter of King Muyeol as well as the wife of General Kim Yushin. Lady Jiso became a Buddhist nun in her later years and was invested with the title of “lady” by King Seongdeok. This demonstrates that the Buin-sa temple may have been founded in the reign of King Seongdeok. Also the fact that it was established on the slope of Palgong-san means that the mountain area might be one of Kim Yushin's power bas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