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공 역사 관점 구술사교육의 가능성 모색 : 구술사 탐구 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Oral Education from Public History Perspective: Focusing on the Case Discussion of the Oral Investigation Project)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24.04
38P 미리보기
공공 역사 관점 구술사교육의 가능성 모색 : 구술사 탐구 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구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구술사연구 / 15권 / 1호 / 113 ~ 150페이지
    · 저자명 : 황현정

    초록

    최근 공공 역사를 역사학과 역사교육에 접목하려는 논의가 활발하다. 그리고 구술사가 공공 역사와 접목될 수 있으며, 역사 교사가 공공 역사가로 활동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시도교육청 단위에서 2019년부터 추진된 역사교육 정책 중‘구술사 탐구 프로젝트’ 사례를 검토하여 공공 역사와 구술사가 역사교육에 주는 교육적 함의를 찾아 보고자 하였다. ‘구술사 탐구 프로젝트’, ‘지역사 교육 자료 개발’, ‘지역사 교육과정 연구회’ 운영의 3가지 교육 활동과 이를 분석한 글을 검토하여 어떤지점에서 강점을 가질 수 있는지 살펴 보고자 하였다. 이들 활동은 학생과 교사가 함께 구술을 통해 지역의 근현대사를 발굴하면서 활동한 교육청 주도 사례였다.
    이들 활동이 가지는 역사교육적 함의는 첫째, 학습자 주도성의 강점이다. 이는 동기유발에 유리하며, 학생들의 주체적 배움으로 연결될 수 있었다. 둘째, 지역사 교육의 활성화이다. 학생 및 학부모나 지역민은 국가사 보다 지역사 배움을 요구하고 있다. 구술사 탐구 프로젝트는 이를 내실 있게 풀어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민주적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구현을 가능하게 하였다. 지역사를 발굴하고 이를 교육자료로 개발하는 과정에서 학생과 학부모 그리고 지역민과 소통하였다. 이는 교사의 주체적이고 자율적인 교육권한을 담보하는 것이며, 교육과정 거버넌스 구현의 좋은 사례임을 확인하였다.
    요컨대, 공공 역사로의 전환과 구술사교육의 활용은 역사학습이 민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학습자 및 교사의 주체적 활동을 담보하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역사교육의 시민교육으로의 방향 설정이 공공 역사로의 전환으로 가능하리라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영어초록

    Recently, public history has permeated history and history education.
    And the discussion that oral history can be combined with public history and that history teachers can act as public historians is expanding.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public history and oral history on history education by reviewing the case of the ‘Oral History Exploration Project’ among the history education policies promoted by the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since 20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hre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Oral History Exploration Project’, ‘Development of Local History Education Materials’, and ‘Local History Curriculum Research Group’ and to examine the analytical articles to see at what points they can have strengths. These activities are examples of students and teachers working together to discover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the region through oral statements.
    The historic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se activities are, first, the strength of learner-led feature. This is advantageous for motivation and could lead to independent learning of students. Second, the vitalization of local history education. Students, parents, and local residents are demanding to learn local history rather than national lyrics. The oral history inquiry project has shown that it can be solved faithfully. Third, realization of democratic curriculum governance. In the process of discovering local history and developing it as educational materials, students, parents, and local residents were communicated with. It was confirmed that this guarantees the teacher’s independent and autonomous educational authority and is a good example of implementing curriculum governance.
    In short, the transition to public history and the use of oral history education could be a way to ensure the independent activities of learners and teachers for history learning to be democratically achieved. This showed the possibility that the future direction of history education to civic education will be possible through the transition to public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