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중 불교음악의 사적 관계에 대한 - 중국 한족 불교음악사를 통하여 - (The Historical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and Korean Buddhist Music)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07.06
30P 미리보기
한·중 불교음악의 사적 관계에 대한 - 중국 한족 불교음악사를 통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음악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사학보 / 38호 / 153 ~ 182페이지
    · 저자명 : 윤소희

    초록

    한국의 불교가 중국 대승불교를 받아들였으므로 중국 불교음악의 전개에 대한 연구는 한국 불교음악에 대한 근원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한국 전통음악이 불교문화와 음악의 뿌리에서 생성되었음을 미루어 볼 때 중국 불교음악에 대한 연구는 한국전통음악의 연구에도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한국에 중국 불교음악에 대한 소개나 연구가 전혀 없었으므로 본고에서는 먼저 중국의 한족 불교음악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고찰한 뒤 한국불교음악의 관련성을 찾아보았다.
    인도의 불교가 중국으로 건너와 대승불교로 발전하면서 불교의식과 음악이 함께 형성되었다. 불타의 설교는 처음에 구전(口傳)으로 전해지다가 보다 많은 사람이 쉽게 기억하고 전파하기 위해 게(偈)와 송(頌)의 형식을 채용하기 시작하면서 패찬이 번성하게 되었다. 대승불교를 추구한 중국은 대중에게 쉽게 다가가기 위한 과정에서 다양한 예능적 수단이 동원되었으므로 소승불교를 추구한 지역보다 불교음악이 매우 다양하고 풍부하다.
    양무제가 제정한 불교의궤는 한국 불교문화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신라의 승려 중 최초로 유학 갔던 승려 각덕(覺德)은 양나라에 유학을 다녀왔다. 양나라의 사신과 함께 불타의 사리를 가지고 귀국한 각덕은 진흥왕(당시 재위 10년인 549년)의 각별한 환대를 받았다는 『삼국유사』의 기록이 있는데 이때는 월명사가 향가만 안다고 한 기록(경덕왕 19년 760년) 보다 약 200여 년이 앞선다. 어떤 종교를 배워온다는 것은 의식과 그에 따른 음악이 함께 들어오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인 점을 감안해 볼 때 월명사 당시에도 양나라의 다양한 불교음악이 신라에 불리고 있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양무제가 불교무용을 궁중무용화 했다는 기록은 있지만 현재 한족 불교에 불교 무용을 전혀 찾아 볼 수 없어 한국의 불교무용이 양무제 당시의 춤과 관련이 있는지는 많은 연구 과제를 남긴다.
    일본 승려 엔닌이 기록한 당대의 산동적산법화원 신라인의 불교의식을 보면, 한 의식 안에 당풍․신라풍이 교대로 쓰였다. 당대에는 경사(經師)와 창도사(唱道師)와 같은 승려가 범패로써 의식과 설법을 대신한 것을 알 수 있는데 특히 아름다운 음성으로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창도사와 같은 직승(범패승)이 당시에 있었음이 주목되는 사실이다. 또한 당대(唐代)는 문학의 전성기이기도 하였는데 이때의 시체가 한국 범패 가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진감선사가 유학할 당시는 당(唐)의 후기에 속한다. 그 당시는 인도 불교가 중국화되어 중국불교의 문화가 만개한 시기로 민중불교인 정토사상과 관음․미타․시왕 신앙이 번성한 때였다. 민중에 의한 불교가 확산됨으로써 민중 기예와의 융합이 활발했던 속강이 유행하였으므로 불교의 세계를 대중이 이해하기 쉽도록 노래와 재담으로 불교 교의를 설하기도 하였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세속적인 불교음악도 생겨났으므로 전독과 패독과 같은 낭송조의 노래를 비롯하여 수행자들이 주로 부른 조모과송과 속강과 강경에서 전문 도창사가 부른 기교적인 범패, 부모은중경과 같은 이야기 채 변문(變文) 등 다양한 장르의 불교음악이 유행하던 때이다. 이러한 가운데 과연 진감선사가 쌍계사에서 가르친 범패는 어떤 장르의 노래였는지 『삼국유사』의 기록은 너무도 짧은 기록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내막을 알 수가 없다.
    한국에 낙양춘(洛陽春)과 보허자(步虛子)가 전해졌을 만큼 번성했던 송(宋)의 사악은 송대에 유행한 사(詞)의 문학적 번성과 관련이 있다. 평측과 횡측의 다양한 자수를 규합한 사는 본래 청루의 노래 가사에서 비롯됐을 만큼 음악적인 성격이 매우 두드러진 문학 장르인데, 현재의 중국 범패 중 사를 가사로 하는 찬류 악곡이 음악 형식과 선율 전개에서 예술성이 가장 높은 악곡으로 남아 있다. 송 사악이 불교 음악화 된 시기는 명․청대인데 한국 범패에는 송대의 사(詞)에 해당하는 가사는 그 어디에도 찾아 볼 수 없었다. 대개 종교 음악은 세속음악 보다 한 시대 쯤 뒤에 그 음악적 흐름을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는데 송의 사악이 범패화 된 명․청대에 조선조는 억불 정책을 폈으므로 중국의 새로운 범패를 수입할 처지가 못 되었던 것이 그 원인으로 보인다.
    고려시대에 향해진 연등회는 송대에도 널리 행해진 불교행사였다. 정월 16일에 거행되던 상국사의 연등회를 비롯하여 중국 전국 사원의 연등회는 서민들이 정월 기분을 맛보는 유일한 것이었다. 한편 고려시대의 국가적 행사로 열렸던 팔관회와 명칭이 유사한 팔관재와 팔관재회는 남북조 시대의 강남의 귀족들에 의해 널리 행해졌다고 하는데 이는 주로 귀족들에 의해 계를 지키고 경을 독송하며 교리를 논의한 것이어서 대중불교가 성행한 송대에는 보이지 않았다. 필자가 대만의 진강밍스(金剛明寺)에서 팔관재계(八關齋戒)를 보았는데 이는 매월 행해지는 신행의 과정이었지 한국의 것과는 관련이 없는 것이었다. 이를 볼 때 팔관회는 삼국시대부터 전해온 토속신의 제전이 불교 행사화한 것이지 중국의 영향으로 생겨나 한국화 한 것인지 좀더 면밀한 연구를 계속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불교문화사를 통해 그 어디에도 ‘영산재’라는 명칭을 발견할 수 없었고, 한국 불교사에서도 조선 말기 이전에 영산재를 찾아볼 수 없어 영산재의 연원을 어디까지 거슬러 올라 갈 수 있을지 의문이다. 한국의 작법과 비슷한 불교무용이 중국 불교 중 티벳 계통인 장족(藏族)불교에 매우 비슷한 모습을 발견할 수 있는 점에서 앞으로 티벳과 중국 장전 불교에 대한 연구를 한다면 한족 불교에서 다 밝혀지지 못한 한국 불교음악과 무용, 문화에 대한 다수의 근원을 찾아 낼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Study of Chinese Buddhist music plays a key role in understanding the root of Korean Buddhist music because Korean Buddhism has accommodated Mahayana Buddhism of China. Also, studying Chinese Buddhism is crucial to the research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ince Buddhist culture and music is supposed to be the found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owever, up to the present, there has been no research at all regarding Chinese Buddhist music in Korea. So, this study first inquires into the historic development of Chinese music.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Buddhist music and Korean Buddhist music is examined.
    According to the Japanese monk Ennin's writing, Silla immigrants who settled in the Shandong 山東 region of China employed Buddhist ritual style of Tang 唐 and Silla alternatively in the Pŏphwawŏn 法華院 temple. Masters of scriptures (經師) and preaching (唱導師) performed Buddhist rituals and preaching using Buddhist chants and hymns during the Tang dynasty. It is noteworthy that professional masters of preaching captivated many Buddhist believers with beautiful voices in those days. Also, Tang period was the heyday of the literature and the prevailing verse style of the period was that of Silla, namely, pŏmp'ae 梵唄.
    It was the latter Tang period when Master Chin'gam (眞鑑 774~850) went the China for study. At that time, Chinese Buddhism has completely accommodated Indian Buddhism and Chinese Buddhist culture was in it's golden age. So Buddhism for the laymen, such Pureland thought, Avalokitêśvara (觀世音) devotion, and Ten King faith (十王信仰) flourished. As Buddhist preaching for the ordinary people (俗講), combined with the popular arts, was in vogue, Buddhist doctrines were taught through songs and stories in order to make them more approachable to the ordinary people.
    During this process, various kinds of Buddhist music prevailed, such as sutra recitations (轉讀), chants (唄讀), Buddhist preachings for the ordinary people, chants in morning and evening lessons (早暮課頌), artistic Buddhist hymns sung by professional singers (導唱師) based on the scriptures (講經), and story-telling musics like the Sutra of Filial Piety (父母恩重經), described in the lecture for general Buddhist (俗講). It is unclear to which genre Buddhist chants taught by Master Chin'gam belong, since the record in th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三國遺事』) does not mention such music.
    The lyric songs of Song dynasty such as Lo-yang-ch'un 洛陽春 (Nagyangch'un in Sino-Korean) and Pu-hsü-tzŭ 步虛子 (Pohŏja) were so popular in China that they were transmitted to Korea. It can be said such trend has some relationship with the literal prosperity of the lyric poem in Song dynasty. Lyric poem is a kind of literature genre originating from high-class restaurants, which has a strong musical character. Praise chants for Buddha with lyric poem has the highest artistic merit in terms of musical form and melodic development among the Chinese ceremonial Buddhist chants.
    The lyric songs in Song dynasty prospered during the Ming 明 and Ching 淸 dynasties. However, in Korea, we cannot find any vestige of them. We cannot find any trace of lyric songs of Song dynasty in the Buddhist ritual manual such as Pŏmŭm sanbojip 『梵音刪補集』 and Sŏkmun ŭibŏm 『釋門儀範. Also, no trace of lyric songs of Song 宋 dynasty can be found in any current Buddhist chants in Korea. Generally speaking, religious music tends to accomodate the trend from secular music only after one or two generations. However, the Buddhist music of the Song could not be introduced into the Chosŏn Dynasty (1392~1910) because the Chosŏn had proclaimed anti-Buddhist policy.
    The Buddhist Lantern-lighting Ceremony (燃燈會) which prevailed in Koryŏ dynasty (918-1392) was a similar Buddhist ceremony that was also very popular in the Chinese Song Dynasty. On the other hand, P'algwanhoe (八關會: Festival of the Eight Vows; national festival held yearly in the capital city), with a very similar name to p'algwanjae 八關齋 and p'algwanjaehoe 八關齋會, was widely held among the aristocratic class during the North-South-dynasty-period (南北朝 1336~1392). However, the two ceremonies were held only among the aristocratic class and not by the lay Buddhists, which consisted of reading the sutras, preserving precepts, and discussing religious issues. Therefore, we cannot find the two ceremonies in Song Dynasty when lay Buddhism prevailed.
    When I visited the Jingangmingsi 金剛明寺 temple, I had an opportunity to watch Eight precepts of a one day vow holder (八關齋戒). It was only a monthly religious ritual, and had nothing to do with the p'algwanhoe 八關會 of Korea. The p'algwanhoe is a national festival praying for the prosperity and safety of the nation, held annually in the capital city. It is a syncretic court rite incorporating shamanism and Buddhism during Koryŏ dynasty which originated from the Three Kingdom period in Korea. Whether or not it was influenced by the Chinese needs to be examined in the future.
    Throughout the whole history of China, we cannot find the name Yŏngsanjae (靈山齋 'Eagle Peak ritual'; a Buddhist tribute-rite; the memorial service held on the forty-ninth day after a person's death). In Korean Buddhist history, we cannot find the origin of Yŏngsanjae until late Chosŏn. Accordingly, the origin of Yŏngsanjae has yet to be researched and investigated. Tibetan Buddhist ritual dance in China is quite similar to that of Korea. So, if we further research the Tibetan Buddhism of China, we might find the origin of Korean Buddhist dance, which, in addition to studies of dance and culture in general, has not been fully explained in the Han 漢 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