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조포사와 진관사-조포사의 변천과 진관사 두부를 중심으로- (Joposa and Jingwan Temple in the Joseon Dynasty-A Study on the transition of Joposa and the Tofu of Jingwansa Temple-)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9.12
42P 미리보기
조선시대 조포사와 진관사-조포사의 변천과 진관사 두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70호 / 199 ~ 240페이지
    · 저자명 : 심승구

    초록

    동아시아 음식을 대표하는 두부가 언제 출현했는지는 자세하지 않다. 다만, 北宋의 陶穀(903~970)이 쓴 『清異錄』에 나타난 두부의 기록은 문헌상 가장 오래된 것으로 확인된다. 우리나라에서 두부가 전래된 시기는 고려 말이다. 이색의 『목은집』에 따르면, 1365년(공민왕 14)에 과거를 치룬 뒤 두부를 먹었다는 기록이 처음 확인된다. 그 뒤 두부는 육식을 금하던 사찰에서 주로 만들어졌고, 이는 왕실과 민가로 퍼져 나가는 배경이 되었다. 그 결과 ‘절’하면 으레 두부를 만드는 곳으로 인식하게 된 것이다. 다만, 우리나라에서는 두부를 ‘豆泡’ 또는 ‘泡’라고 불렀다. 사찰을 16세기 이후 造泡寺라고 부른 까닭이 여기에 있었다.
    그러나 조포사가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것은 조선후기에 이르러서였다. 조선왕조는 종래 ‘능침사’ 외에 ‘능침조포사’라는 명칭을 부여함으로써, 사찰이 국가 관리아래 놓인 국역의 주체라는 사실을 분명히 하였다. 조포사에게 능침 제향의 부담과 수호, 그리고 산림보호를 맡기는 대신, 그 외에 과도한 수탈을 방지하고자 한 것이다. 그럼에도 왕실의 보호가 약해진 상황에서, 사찰에 부과된 각종 국역과 과도한 僧役은 일반 사찰은 물론 조포사의 피폐와 몰락의 주요한 원인으로 대두되었다.
    18세기 말 정조는 능침 수호와 관리를 위한 사찰 개혁의 일환으로 조포사 정비를 추진하였다. 그 결과 각지의 사찰들은 스스로 조포사에 속하려고 하였다. 능침을 수호하는 조포사에 소속됨으로써, 중앙이나 지방의 과도한 부세 부담을 줄이고 수탈을 막고자 한 것이다. 조포사 屬寺의 잇따른 출현은 단순히 왕릉 관리를 위해 국가가 사찰을 늘이려는 의도라기보다는 사찰의 부담을 경감 시키려는 지방 사찰 스스로의 요구에 따른 것이었다. 결국 조선후기 조포사의 등장은 公으로의 전환이라는 과제가 실린 사찰 정비의 일환이자 능침의 수호와 관리를 통해 왕실 귄위를 회복하려는 18세기 개혁정치의 산물이었다.

    영어초록

    The time when tofu was introduced in Korea was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ccording to “The Wooden House”, a record of test takers eating tofu at a meal is confirmed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past took place in 1365 (the 14th year of King Gongmin). This fact is noteworthy in that it is the most advanced record related to tofu. Like the phrase “the most important and the most difficult” at the time, tofu making was both the most precious and difficult food to make. As a most precious food, they made tofu during a royal or ancestral rite, or during a state visit. Then, it was customary for an expert named Packaging to manufacture tofu to be provided by a nearby temple.
    However, it was not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that the temple was called Joposa in earnest. In particular, by the end of the 18th century, Joposa was the term used to build the new temple and the Junggeon of the temple. The purpose of the temple was to make it clear that the temple was the subject of the national anthem under the control of the state by giving it the name “Sungnim Joposa”,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
    Today, Joposa seems to be an excessive and unjust name for suppressing Buddhism in a Confucian society. However, by making it clear that it was a royal tomb inspection, the intention was to reduce the excessive amount of labor imposed on the temple. In a Confucian country where filial piety was considered the best ideal, the royal court could not neglect its eulogy. Instead of leaving the burden, protection, and forest protection of the tomb to the temple, the government wanted to prevent excessive exploitation given to the temple.
    Just like the Great East and the Equal Equilibrium Act, which was created to overcome the chaos and realize equal taxation, temples could not be an exception within the social system where all social members share roles equally. The temple wanted to belong to the temple. By belonging to the Joposa Temple, which protects the royal tomb, he wanted to reduce the burden of excessive wealth in the central or local areas and prevent exploitation. The successive appearances of the Joposa Soksa Temple were based on the local temple’s own request to ease the burden of the temple, rather than simply on the state’s intention to increase the number of temples to manage the royal tombs. In the end, the temple had its limits in Confucian society, but it was a product of 18th century temple reform with an epochal task of transitioning to public servi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