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나옹혜근과 송광사 (Naong Hyekeun and Temple Songkwa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5.02
36P 미리보기
나옹혜근과 송광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43호 / 13 ~ 48페이지
    · 저자명 : 이철헌

    초록

    나옹혜근은 국내에서 조계선을 수학하여 깨침을 얻고 중국으로 들어가 西天 108祖 指空(1289~1363)과 임제종 平山處林(1279~1361)의 법을 이어 귀국한다. 혜근이 국내에서 수행한 조계선은 통일신라말부터 고려초까지 형성된 구산선문의 흐름에 고려초 법안종 영명연수의 사상이 들어오고, 지눌에 의해 선정과 지혜를 함께 수행하는 국내 선풍이라 할 수 있다.
    공민왕은 20년(1371)에 혜근을 왕사로 책봉하고 동방제일도량이라며 송광사에 머물도록 했다. 혜근이 송광사에 주석한 기간은 3년이지만 주지한 다음해 회암사에 머물고 瑞雲,吉祥 등의 산을 돌아다니다 돌아오고 해서 실제 송광사에 주석한 시간은 그리 많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송광사와 혜근의 인연은 매우 중요하다. 혜근의 뒤를 이어 제자인 무학자초․환암혼수․고봉법장 등이 송광사에 주지했으며, 지눌을 비롯한 송광사 16국사 가운데 마지막 국사가 혜근의 제자인 高峯국사이다.
    송광사 주지계보에 나타난 주지들을 혜근계(사굴산문계)와 보우계(가지산문계)로 나누어 이해하려는 학자도 있으나, 송광사 주지들은 모두 사굴산문 출신들이라 할 수 있다.
    修禪社 開祖인 普照국사 知訥(1158~1210)과 혜근 그리고 제자들은 모두 闍崛山門출신이므로, 혜근의 제자들은 수선사 선사들과의 교류하고 있다. 지눌은 중국에 들어가 임제선을 직접 배워온 것은 아니나 국내에서 독자 수행하여 임제 간화선의 참뜻을 깨달아 조계선의 전통을 세웠다. 지눌의 제자들은 조계선 전통을 계승하면서 중국 임제종 선사를 초청하여 교류하고, 蒙山德異(1231~1308)의 사상을 받아들여 간화선 전통을 확립했다.
    혜근은 지눌의 선사상을 계승하여 조선중기 청허휴정에 전하고 있다. 허균은 「石藏碑」에서 지눌과 혜근이 5조 홍인의 종지를 얻었으며 지눌과 혜근의 도맥이 사명유정에까지 전하고 있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당시 청허의 上代제자들은 이를 인정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조선중기 청허의 下代제자들이 임제선 중심의 법맥을 내세우면서 혜근의 제자인 혼수를 보우의 제자로 주장하면서, 태고를 해동초조로 삼았다. 혼수를 혜근의 제자가 아닌 보우의 제자로 바꾸면서까지 임제선 법맥을 주장하는 선사들의 주장은 오늘날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허구로 밝혀졌다.

    영어초록

    Naong Hyekeun found enlightenment through studying domestic Jokye-zen and went to China. He returned to his country after succeeding the law of Jigong and Cheorim. Jokye-zen, Hyekeun performed, was domestic trend that carried out zen idea and wisdom at the same time and was systemized by Jinul after Nine Mountain Monasteries, which was formed from late unified Silla until early Goryeo, and philosophy of Beobanjong Yeongmyeong Yeonsu in early Goryeo.
    King Gongmin appointed Hyekeun as a king's instructor in 1371 and made him stay in Temple Songkwang. Although Hyekeun's term in Temple Songkwang was 3 years, he rarely stayed in Temple Songkwang because he went to Temple Hoeam in the following year and wandered Mountains like Mt. Seoun and Mt. Kilsang. Nevertheless, the connection between Temple Songkwang and Hyekeun is really important. Hyekeun's disciples like Moohak Jacho, Hwanam Honsoo, Gobong Beobjang took the position of chief monk at Temple Songkwang and the last national priest of 16 Temple Songkwang's national priests including Jinul was Gobong Beobjang who was also Hyekeun's disciple.
    There were scholars who tried to understand chief monks in Temple Songkwang by dividing them into two categories: Hyekeun faction(Mt. Sagul Monastery), Bowoo faction(Mt. Gaji Monastery). In fact, they are all Mt. Sagul Monastery. In late Goryeo, each Monasteries integrated with Suseonsa at the center.
    Jinul who opened Suseonsa, Hyekeun and his disciples were all from Mt. Sagul Monastery and Hyekeun's disciples interacted with monks of Suseonsa. Although Jinul did not go to China to learn Imje-zen directly, he set the tradition of Jokye-zen after realizing the true meaning of Imje Ganhwa-zen by practicing asceticism on his own. Jinul's disciples succeeded Jokye-zen tradition and interacted with monks of Imjejong of China and set the tradition of Ganhwa-zen by accepting the idea of Monk Mongsan Deokyi.
    In the pedigree of Temple Songkwang, Mt. Sagul Monastery faction took the position of chief monks with Hyekeun and his students at the center. Hyekeun succeeded the zen idea of Jinul and passed down to Cheongheo Hyujeong in middle time of Joseon dynasty. Heogun stated in the Samyung's tombstone that Jinul and Hyekeun earned the will of Hongin and their lineage continued to Samyung Yujeong and early disciples of Chungheo at the time admitted this.
    Yet, late disciples of Chungheo in the middle Joseon regarded Bowoo as the first Zen master by putting up Imje-zen centered lineage and insisting Honsoo, Hyekeun's student, to be student of Taego Bowoo. Opinion of monks who insisted on Imje-zen lineage by converting Honsoo into Bowoo's disciple not Hyekeun's disciple turned out to be false by study of scholars of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조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