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미인의 문학사, 그 체계와 의의: 김윤식의 문학사 연구에 대하여 (The Literary History of A Meaning Person, Its System and Its Implications: On Kim Yoon-shik’s Literary History Stud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9.08
34P 미리보기
의미인의 문학사, 그 체계와 의의: 김윤식의 문학사 연구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보학보 / 22호 / 51 ~ 84페이지
    · 저자명 : 문흥술

    초록

    이 글은 김윤식(1936~2018)의 문학사 연구와 관련해 그리고 거대한 학문 체계와 관련해, 그 모든 것의 주춧돌 같은 형태로 『한국문학사』가 자리하고 있다는 판단 하에 『한국문학사』의 체계와 그 의의를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먼저, 패배한 외국 이론과 주변문화론을 극복하는 방법과 관련된 측면이다. 김윤식은 13세기의 사대주의, 그리고 개화기 이후의 맹목적인 서구추수주의로 인해 한국은 문화적 변방으로 전락했다고 판단하면서, 이러한 주변문화적 사고가 1970년대 한국 문학에서도 여전히 만연하고 있는데, 그것이 외국문학 전공자들에 의한 한국 문학 폄하 현상이라 비판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김윤식은 문화적 ‘굴절’에 주목하고, ‘한 문화를 수용하는 토양의 성질’ 즉 주체적인 문화 수용의 입장에서 한국문학에 접근하면서 한국문학은 세계문학의 한 요소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다음, 영정조 시대 기점설, 그리고 개별문학으로서의 한국문학과 관련된 측면이다. 김윤식은 근대화=서구화라는 등식에 의해 한국 근대문학의 기점을 개화기로 잡는 것을 비판한다. 개별, 보편, 특수라는 변증법적 인식에 기초해 김윤식은 한국적 특수성으로서의 근대문학에 주목하고, 한국 근대문학의 기점을 한민족의 자체 내의 모순을 표현하는 언어의식(근대의식)이 대두된 영정조 시대로 설정한다. 이러한 기점 설정에 의해 한국문학은 서구 문학, 일본 문학과는 다른 특수성을 지닌 개별문학으로 정립되고, 그 결과 주변문화론을 극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마지막으로 의미인으로서의 문학사이다. 당대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 절망한 의미인으로서의 문학사가가 사회 모순에 문학적으로 응전하는 방식을 추동하기 위해 전사로서의 과거의 문학적 집적물에 주목하면서, 사회의 총체성을 구현하는 문학이라는 입장에서 각 시대의 문학적 특성에 해당하는 의미망을 구축한다. 그리고 이 의미망에 의해 예외적 개인으로서의 작가와 유효한 작품에 대해 ‘문학사는 실체가 아닌 형태’라는 입장에서 가치 판단을 내린다. 이것이 의미인으로서의 문학사이다.

    영어초록

    In relation to the study of literary history by Kim Yoon-shik(1936-2018), and in relation to his huge academic system, this article examined the system and significance of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three respects.
    First, it is the aspect related to how to overcome the defeated foreign theory and marginal cultural theory. Judging that Korea was reduced to a cultural upheaval due to the 13th century toadyism and blind westernism after the enlightenment period, Kim Yoon-shik criticizes such marginal cultural thinking as a phenomenon still rampant in Korean literature in the 1970s, which is disparaging Korean literature by foreign literature majors. To overcome this, Kim Yoon-shik pays attention to the cultural reflection. He approaches Korean liter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ature of the soil that embraces one culture,’ namely self-contained cultural acceptance. And he emphasizes that Korean literature should be an element of world literature.
    Next, it is related to the theory of starting point of Yeong Jeongjo period, and Korean literature as an independence literature. Kim Yoon-shik criticizes the marking the beginning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s a floral period, through the equation of modernization: westernization. Based on the dialectical perception of individual, universal and special, Kim Yoon-shik pays attention to modern literature as a Korean speciality, and sets the foundation of modern Korean literature into the era of Yeong Jeongjo expressing in language the contradictions within the Korean people themselves. By setting such a starting point, Korean literature is established as an independence literature with a speciality different from Western literature and Japanese literature.
    Lastly, it is the literary history as a meaning person. A literary historian as a meaning person desperate for social contradictions of the day pays attention to the literary aggregates of the past to respond to social contradictions in a literary way, and establishes a semantic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each era from the standpoint of literature that embodies the general nature of society. And by this semantic network, he make a value judgment about writers as exceptional individuals and valid works from the standpoint of ‘the literary history is not a substance but a form.’ This is the history of literature as a meaning pers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