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통신사 사행록 연구 - <海東諸國紀>와 <和國志>의 同異点 분석 - (A study on the Sahaengrok of the Joseon Tongsinsa - The analysis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and -)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1.09
36P 미리보기
조선통신사 사행록 연구 - &lt;海東諸國紀&gt;와 &lt;和國志&gt;의 同異点 분석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30호 / 185 ~ 220페이지
    · 저자명 : 손승철

    초록

    이글은 통신사 사행록 중 ‘日本國志’의 성격을 지닌, <海東諸國紀>와 <和國志>의 同異点을 분석하여 조선전기와 후기의 일본인식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신숙주시대 대일관계의 주요목표는 왜구금압과 통교체제의 구축이었다. 따라서 <海東諸國紀>의 주요내용도 일본인의 약탈적 습성을 이해하고, 그에 대한 대책으로 朝鮮來朝者들에게 통교를 허락해 줌으로써 우호관계를 구축해 가는 것이었다.
    반면, 원중거시대의 한일관계는 동아시아 국제정세도 안정되고, 조·일간에 큰 외교 갈등도 없었다. <和國志>는 일본개관에서부터, 역사, 전쟁사,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산업등 방대한 분량으로 다양하게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원중거는 여러 곳에서 일본은 조선을 침략한 원수의 나라이니 경계를 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 일본의 실상을 정확히 파악할 것을 주장했다.
    즉 신숙주의 경우, 왜구에 의한 피해의식, 약탈을 막기 위해 일본과 통교체제를 구축하여 교린을 지속해야 한다는 목적이 있었고, 원중거의 경우는 임진왜란에 의한 피해의식, 일본을 복수의 대상, 재침략을 막기 위한 경계의 대상으로 인식했고, <通信有五利>를 강조함으로써 통신사의 왕래를 통해 교린관계는 유지해야 한다고 했다.
    이점에서 두 책은 일본과의 교린관계를 유지하려는 외교적인 목적을 위해 쓰여졌다는 공통점을 가지는 반면, <海東諸國紀>가 약탈자 일본과 어떻게 하면 통교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가가 목적이었다면, <和國志>는 침략자 일본을 어떻게 이해하고, 대비해가면서 우호관계를 유지해 갈 것인가가 목적이었다는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nalyzed the characters of ‘Ilbongukji’(日本國志) through the analysis of <Haedongjegukgi> and <Hwagukji> to understand Joseon's awareness upon Japan in early and later Joseon period respectively.
    In the era of Shin Sook-Joo, the main target of the relation with Japan was to prevent Waegu(Japanese pirate raiders) and to construct diplomatic relation. Accordingly, major contents of <Haedongjegukgi> is to figure out the plundering habit of the Japanese and to establish relationship by allowing friendly relationship with Joseon's foreign envoys.
    On the other hand, the Joseon and Japan relation in the era of Won Jung-Geo was stable in terms of international politics without any huge diplomatic conflicts. <Hwagukji> describes the introductory survey of Japan including history, history of warfare, political, economical, social, cultural and industrial aspects. However, Won Jung Geo argued that Joseon should take alert against Japan as a country of invasion, and also understand the actual state of Japan accurately.
    While Shin Sook-Joo intended to establish friendly relationship with Japan to prevent plunder, Won Jung-Geo saw Japan as a country to be alerted to prevent another invasion thanks to the victim mentality caused by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But as he emphasizes <Tongsinyuori>(通信有五利) he argued to maintain the foreign diplomatic relation through the exchange of the Tongsinsa.
    In this sense, both books have similarities to keep foreign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 But they have differences: <Haedongjegukgi> considered how to maintain friendly relation with Japan as a plunder, but, <Hwagukji> intended how to keep friendly relation with Japan as an invader while understanding their characters and preparing measurement against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