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한국문학사’에서의 한국고전문학사 인식과 서술양상 (The Perceptions and Description Patterns of the History of Ancient Korean Literature in Two Books o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Japanes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7.09
30P 미리보기
일본 ‘한국문학사’에서의 한국고전문학사 인식과 서술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비교문화연구 / 48권 / 1 ~ 30페이지
    · 저자명 : 류정선

    초록

    본 연구는 일본에서 저술된 한국고전문학사를 중심으로 일본문학사와 남북한 문학사와의 문화횡단적 양상을 살핌으로써 한국문학사에 대한 인식과 서술양상을 규명하고자 했다. 그 분석대상은 일본인과 재일조선인을 대상으로 일본어판 『조선문학사』를 저술한 김동욱과 변재수이다. 일본문학과의 비교문학적 관점인 김동욱의 『조선문학사』(1974)와 재일조총련계로서 사회주의적 관점에서 저술한 변재수의 『조선문학사』(1985)는 자국문학사의 가치를 평가하는 기준과 인식이 서로 달랐다. 이것은 무엇보다 분단체제로 인한 남북한의 문학사가 이질적으로 전개되는 현실에서 그들의 『조선문학사』는 남북문학사의 균열상을 담아내고 있다. 하지만 그 한편으로 한문문학의 가치와 향가, 한글창제, 그리고 판소리의 독자성을 높이 평가하고 있으며, 한국문학으로서 한글문학과 한문문학이 서로 상호작용 했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는 점은 공통적이다. 뿐만 아니라 그들의 일본어판 『조선문학사』의 저술의의는 민족주의적 시각하에 일반적으로 한국문학을 중국문학의 아류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한국문학의 가치를 재정립시키고, 일본인에게는 한국문학의 우수성을 재일동포에게는 민족적 자긍심을 고취시키기 위한 노력이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wo books o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ritten in Japanese, taking special interest in ancient Korean literature, examining transcultural patterns between the history of North and South Korean literature and that of Japanese literature, and thereby identifying perceptions and description patterns of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literature. This study analyzes two books with the same title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written in Japanese by Kim Dongwook and Byeon Jaesoo. The two books are not translations of Korean books but were written in Japanese for Japanese and ethnic Korean readers in Japan.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1974) by Kim Dongwook mainly compares Joseon literature with Japanese literature.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1985) by Byeon Jaesoo, an ethnic North Korean in Japan, was written from socialistic perspectives. The two books have different standards for evaluating value of th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and different perceptions about it. Due to the divis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the history of literature is unfolding in different ways in the two Koreas, and the two books reflect such differences. However, they have several common features. For example, they highly regard the value of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nd originality of hangga (a folk song of Silla), Hangeul (the Korean alphabet), and pansori (a form of Korean folk music in which a singer accompanied by a supportive drummer sings and chants an epic story). In addition, they both demonstrated that literature written in Hangeul and that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nteracted with each other as the same Korean literature.
    When the two books were writte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had been considered a subunit of the history of East Asian or Chinese literature. However, as this study found, Kim and Byeon wrote the two books from a perspective of departing from this view based on nationalism, re-establishing the value of Korean literature, promoting Japanese people’s understanding of the high quality of Korean literature, and imbuing ethnic Koreans in Japan with nationalistic prid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