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호남읍지湖南邑誌의 고려시대안렴사按廉使 명단 검토 (An Examination of a List of Anryeomsa duringGoryeo Dynasty Recorded in ‘Honameupji’)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8 최종저작일 2017.03
35P 미리보기
호남읍지湖南邑誌의 고려시대안렴사按廉使 명단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 수록지 정보 : 국학연구 / 32호 / 199 ~ 233페이지
    · 저자명 : 허인욱

    초록

    안렴사는 안찰사‧제찰사‧도관찰출척사 등으로 직임이 변천을 하였는데, 현재 그 명단이 온전히 전하고 있지는 않다. 이 글은 고려시대 안렴사 명단의 복원의 일환으로, 1790년대 간행된 『호남읍지』에 전하는 공민왕 7년부터 공양왕 4년까지 기재된 53인의 명단이 믿을 만한지를 검토해 본 것이다. 53인 가운데 대략 43%인 23인을 다른 기록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과정에서 『호남읍지』에 누락됐던 3인의 안렴사를 더 찾을 수가 있었다. 확인되는 명단 가운데는 이름의 오류가 8건 정도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필사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 정도로 판단된다.
    『호남읍지』에 기재된 공민왕 21년 춘하번으로 파견된 윤진의 경우에는 안렴사가 아닌 안집사로 직임이 기재되어 있어, 의문을 갖게 한다. 안집사가 안렴사와 유사한 임무를 수행했다거나 충청도지역에도 안집사가 파견된 사례가 있으며, 공민왕 4년과 우왕 6년에 경상도에 파견된 안렴사의 직임에 ‘안집’의 임무를 겸한 사실이 있음을 고려하면, 안집사로 기재된 것도 오류로 볼 수는 없다. 공민왕 21년 춘하번에 윤진이 안렴사가 아닌 안집사로 기재된 이유는 경인년 이후 지속된 왜구의 침입으로 인해 해안가의 백성들의 삶이 힘들어져 유망한 백성들이 많았던 것과 관련지어 볼 수 있다. 고려 정부의 입장에서는 이들을 평화롭게 살 수 있도록 하는 안집의 일이 급선무였고 그로 인해 안집사로 기재된 것이 아닌가 한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we organized a list of anryeomsa in Jeolla Province as listed in the book ‘Honameupji (A record of Honam regional affairs).’ Among 53 listed people between the 7th year of King Gongmin's reign and the 4th year of King Gongyang, records of 23 people, or about 43%, were found in other documents as well. And, in other documents, records on three more anryeomsa were found that were left out of ‘Honameupji.’ Among the records, eight names appeared differently, probably due to a difference in spelling method.
    In ‘Honameupji,’ Yun Jin, who was dispatched as chunhabeon in the 21st year of King Gongmin's reign, is listed as ‘anjipsa,’ not ‘anryeomsa.’ This is probably not an error, considering that the two positions involved similar tasks, and there are cases of dispatching anjipsa in Chungcheong Province, and that anryeomsa that served in Gyeongsang Province between the 4th year of King Gongmin and the 6th year of King Wu also carried out the role of anjipsa. The reason that Yun Jin was listed as anjipsa is because many people from the coastal areas had been wandering around since the 2nd year of King Chungjeong’s reign amid continued invasion of the Japanese. For the Goryo royal palace, it was an urgent task to make these people settle, and presumably, officials were dispatched as anjipsa for this purpo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6 오전